목차
1 남한의 언어 순화 정책
2. 북한의 말 다듬기 정책
2. 북한의 말 다듬기 정책
본문내용
신고죄
만년
늘그막
매실
매화열매
무명지
약손가락
③ 본래말이 아직 사용되는 경우
본래말이 아직도 일부 사용되고 있어 표제어로 올린 경우로서, 아직도 본래말을 사용하고 있는 현실을 반영하는 한편 다듬은 말을 쓰도록 이끌어 주기 위한 것이다.
무연근
끼여든풀이
문미
문틀보
(4) 고쳐 다듬은 경우
다듬었던 말이 여러 이유로 적절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어 달리 고쳐 다듬은 경우이다.
마사
잉아끈
베실
목두채
두릅싹
두릅나물
막시목
벌목
나무베기
미저골
꼬리밑뼈
꽁무니뼈
모
어미
어머니
멜란지사
색섞은실
멜란지실
(5) 본래말과 다듬은 말이 모두 사전에 등재되지 않은 경우
① 단어화하지 못하여 등재되지 않은 것으로 짐작되는 경우
마령서균(X)
감자균(X)
마찰키(X)
쓸림키(X)
막골(X)
귀청뼈(X)
마미신경(X)
말꼬리신경(X)
마트운동(X)
깔개운동(X)
만곡(X)
굽음(X)
② 설명식으로 풀이되어 있어 등재되지 않은 것으로 짐작되는 경우
만권목관(X)
다감긴나무토리(X)
명란초침(X)
명란애벌절임(X)
면균작업(X)
면고루기작업(X)
모발상터짐(X)
머리칼모양터짐(X)
모지내전근(X)
엄지손가락모음살(X)
모피조제(X)
털가죽첫손질(X)
위의 경우가 설명식으로 풀이되어 단어로서의 지위를 획득하기 어려웠다면, 설명식으로 풀이되어 있어도 언중 사이에서 세력을 얻어 다듬은 말로서의 지위(단어로서의 지위)를 당당히 차지하고 있는 경우도 있다. 그 예는 다음과 같다.
만경식물
감는줄기식물
명시거리
잘보임거리
망문도관
그물무늬끌
관모자칸
애기어머니칸
망상맥
그물모양잎줄
모유영양
어머니젖영양
만년
늘그막
매실
매화열매
무명지
약손가락
③ 본래말이 아직 사용되는 경우
본래말이 아직도 일부 사용되고 있어 표제어로 올린 경우로서, 아직도 본래말을 사용하고 있는 현실을 반영하는 한편 다듬은 말을 쓰도록 이끌어 주기 위한 것이다.
무연근
끼여든풀이
문미
문틀보
(4) 고쳐 다듬은 경우
다듬었던 말이 여러 이유로 적절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어 달리 고쳐 다듬은 경우이다.
마사
잉아끈
베실
목두채
두릅싹
두릅나물
막시목
벌목
나무베기
미저골
꼬리밑뼈
꽁무니뼈
모
어미
어머니
멜란지사
색섞은실
멜란지실
(5) 본래말과 다듬은 말이 모두 사전에 등재되지 않은 경우
① 단어화하지 못하여 등재되지 않은 것으로 짐작되는 경우
마령서균(X)
감자균(X)
마찰키(X)
쓸림키(X)
막골(X)
귀청뼈(X)
마미신경(X)
말꼬리신경(X)
마트운동(X)
깔개운동(X)
만곡(X)
굽음(X)
② 설명식으로 풀이되어 있어 등재되지 않은 것으로 짐작되는 경우
만권목관(X)
다감긴나무토리(X)
명란초침(X)
명란애벌절임(X)
면균작업(X)
면고루기작업(X)
모발상터짐(X)
머리칼모양터짐(X)
모지내전근(X)
엄지손가락모음살(X)
모피조제(X)
털가죽첫손질(X)
위의 경우가 설명식으로 풀이되어 단어로서의 지위를 획득하기 어려웠다면, 설명식으로 풀이되어 있어도 언중 사이에서 세력을 얻어 다듬은 말로서의 지위(단어로서의 지위)를 당당히 차지하고 있는 경우도 있다. 그 예는 다음과 같다.
만경식물
감는줄기식물
명시거리
잘보임거리
망문도관
그물무늬끌
관모자칸
애기어머니칸
망상맥
그물모양잎줄
모유영양
어머니젖영양
키워드
추천자료
북한 경제특구정책: 운용 및 성과
김일성부자의 삶과 북한의 정책
남한의 통일정책
남북한 언어 규범의 비교
[탈북자][북한이탈주민]탈북자(북한이탈주민)문제의 원인, 경향과 북한의 태도 및 정부 정책 ...
북한체육정책 및 체육인양성 육성 , 북한 체육의 날
북한의 핵 수준, 북한 핵문제의 특징과 북미갈등의 본질, 북한 핵문제의 상황, 북한 핵문제의...
[북한스포츠][북한][스포츠][남북한스포츠][프로스포츠][남북관계]북한 스포츠의 정책, 북한 ...
국어(우리말, 한국어) 정의와 격문법이론, 국어(우리말, 한국어) 기본어휘와 로마자표기, 국...
[북한 문학예술][북한 문학예술의 이론][문학중심문예]북한 문학예술의 개념, 북한 문학예술...
[한반도냉전구조, 북한핵문제, 대북포용정책]한반도냉전구조의 성격과 현황, 한반도냉전구조...
북일국교정상화협상(북한일본국교정상화)과 일본정치, 대북정책(대북한정책), 북일국교정상화...
북한 7 1조치(북한 7 1경제관리개선조치)의 역사, 북한 7 1조치(북한 7 1경제관리개선조치)의...
[북한사회의 이해] 교통대학교② - 박근혜 정부의 통일·대북정책의 기조 및 구체적 정책구상의...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