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교경영) 노키아와 애니콜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비교경영) 노키아와 애니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기업 선정 이유

2. 휴대폰 시장 환경 분석
2-1. 세계 휴대폰 시장의 과거와 미래
2-2. 세계 휴대폰 시장 동향

3. Nokia
3-1. 개요
3-2. 성공요인
3-3. 위기
3-4. 나아갈 방향

4. Anycall
4-1. 개요
4-2. 성공요인
4-3. 위기
4-4. 나아갈 방향

본문내용

등 협력관계를 대폭 강화해 주목을 끌고 있다. 이러한 다양한 마케팅 전략을 펼침으로 애니콜을 세계적인 브랜드화 시킨 것이다.
7) 브랜드 파워구축
애니콜의 성공요인은의 원동력은 애니콜이라는 브랜드의 구축이다. 언제(anytime), 어디서나(anywhere) 전화를 받을 수 있는 휴대폰이라는 의미를 가진 아주 기억하기 쉬운 브랜드 명으로 시작된 애니콜은 한국인의 자부심을 상징하는 글로벌 브랜드로 성장하였다. 또한 세계적 골퍼 박세리를 애니콜의 사용자로 등장시킨 광고를 통해 세계적인 애니콜로 그 이미지를 부상시킴으로 애니콜은 한국의 대표브랜드로 굳건히 자리잡게 되었다.
국내에서의 확고한 브랜드 이미지 구축은 세계로 진출하는 교두보를 마련하게 되었다. 중국에서는 “Samsung Anycall"로, 동남아나 미국, 유럽등지에서는 ” Samsung Mobile Phone"으로 애니콜의 이미지를 구축하였고 미국의 시사주간지 비즈니스 위크와 브랜드 컨설팅 사인 인터브랜드가 공동 평가한 2005년 글로벌 100대 브랜드에서 삼성은 브랜드 가치 149억 달러를 평가받고 있다.
8) 고가전략
애니콜의 브랜드이미지를 강화시켜준 것은 고가전략이었다. 유럽과 아시아등 국제시장에서 성공하게 된 요인은 “제일작고, 제일 가볍고, 제일 많은 기능을 갖춘 제품을 비싸게 팔았기 때문”이라고 보는 견해도 있다. 2001년 출시된 SCH-100의 가격은 대당 4백-5백 달러로 4백 달러선을 조금 넘는 세계적인 브랜드(노키아, 모토로라, 에릭슨)보다도 비싸가 책정됐다. 가격이 비싸도 핸즈프리기능, 음성 다이얼등 새로운 기능들이 장착되고 무게도 가벼워, 재고가 없을 만큼 잘 팔렸다. 중국에서는 30%이상 비싸게 팔아도 무섭게 팔려나갔다. 프리미엄 고가 브랜드 전략은 시장 진입 단계부터 ‘프리미엄 브랜드’라는 인식을 심어주게 되었다. ‘메이드 인 코리아 = 중저가 가전’ 이라는 이미지를 ‘애니콜=IT명품’ 으로 바꾸는데 무게중심을 두어 전 세계 시장에서 애니콜은 가장 고급스런 휴대폰으로 인식되고 있다.
3-3. 위기
1) ‘High-end 시장 집중공략’ 전략에 대한 비판론
휴대폰의 국내외 시장 모두 올해에 비해 큰 폭으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지만 중저가 휴대폰 시장의 성장폭이 더 큰 것으로 보여 장기적 안목에서 시장 점유율 확대를 위한 전략 변화가 불가피하다는 분석이 제기되고 있다. 삼성전자는 와이브로와 DMB, 4G 등 차세대 기술의 연구개발에 매출의 7-8%에 달하는 비용을 집중투자하는 계획을 세우고, 노키아와 모토로라 등 글로벌 휴대폰 업체들의 마케팅에 맞서 해외 유통시장 영향력을 확대하기 위해 ‘대형 글로벌 휴대폰 전문 브랜드 숍’ 런칭계획을 가지고 있다. 특히 내년 휴대폰 시장의 급성장이 예상되는 BRICs를 비롯한 신흥지역에 집중적으로 투자한다는 계획을 세우고 있다.
그러나 ‘하이엔드 시장 집중공략’의 틀에서 벗어나지 않는 것으로 보여 현재 시장 상황에 안이한 대처가 아니냐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삼성전자는 휴대폰 교체자들은 더 많은 가치를 찾게 되고 기능이 많고 개선된 고가의 휴대폰을 구매하게 된다는 흐름에 따라 마케팅을 진행하고 있다. 삼성전자의 하이앤드 시장 공략 전략은 구매자의 수입이 고정적이거나 늘어난다는 전제를 깔고 있어 현재 확대되고 있는 시장이 개발도상국인 만큼 신규시장에서 교체수요자의 수입은 제한적이라는 것이 하이앤드 전략을 비판하게 된 이유다.
현재 포화상태에 이른 유럽, 미국 시장에서는 지금 점유율을 유지하는 수준에 머무를 것이고 위와 같은 이유로 신규 창출 시장에서는 영향력이 하락할 수 밖에 없다는 것에 대해 삼성전자의 하이앤드 전략이 흔들리고 있는 실정이다.
2) 삼성-퀄컴의 경쟁구도
최근 퀄컴이 자체 개발한 이동방송 기술인 ‘미디어 플로’를 내년 10월 상용화하겠다고 발표하였다. 이에 따라 한국에서 지상파DMB기술을 상용화하고 세계 각지에 수출을 추진하고 있는 삼성전자와의 경쟁이 불가피해졌다. 또 이에 따라 내년에는 핀란드 노키아가 주도하는 유럽식 이동방송 표준인 DVB-H까지 합류, 세계 이동방송 시장을 놓고 세 기술이 경쟁양상을 펼칠 것이다.
‘미디어 플로’는 퀄컴이 3년 전부터 이동방송 시장을 겨냥하여 개발한 기술로 한국의 지상파 DMB에 비해 상용화 시기가 늦어지긴 했지만 모바일 방송으로서 충분히 강점을 갖추었다. 삼성전자 등이 개발한 지상파 DMB는 방송기반기술로 통신기술에서 출발한 퀄컴의 미디어 플로나 노키아의 DVB-H에 비해 투자비 측면에서 유리한 점이 있다.
ETRI는 2010년까지 세계 이동방송 장비 시장 규모가 350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내다봤다. 이 가운데 40%인 140억 달러를 한국의 지상파 DMB가 차지할 것이라고 전망하였다. 하지만 세계 이동방송 시장에서 세 기술을 가진 세 기업의 경쟁양상이 과열화 될 것이다.
3-4. 나아갈 방향
1) 신흥 시장(BRICs) 공략
세계 휴대 전화 시장은 중국,인도,브라질,러시아 등 이른바 브릭스(BRICs)로 불리는 신흥시장에서 급속하게 성장하고 있다. 삼성전자 애니콜은 신흥시장을 공략하여야 한다. 현재 신흥시장은 중*저가의 제품들이 각광을 받고 있다. 이에 따라 애니콜의 입지가 우려되는 실정이다. 하지만 애니콜은 'high-end' 전략을 구사하여 타 제품과 다른 이미지를 심어주어야 한다. 기존의 고가격보다는 낮으면서도 중,저가의 제품보다는 높은 가격을 설정하여야 한다.
또 신흥시장의 특성에 맞춘 제품 개발을 하여야 한다 해당 시장에서 출시되는 모델을 적극적으로 개발,모색함으로 현지시장의 소비자에 적합한 제품을 개발을 함으로 신흥시장을 공략하여야 할 것이다.
2) 새로운 시장에 대한 대응
위의 위기에서 나타나듯 앞으로 성장할 것이라 예상되는 이동방송 시장에서 퀄컴, 노키아 등과의 경쟁이 불가피해지고 있다. 또 CDMA 시장은 정체되고 3G가 활성화되는 추세에 대응한 제품을 출시하여야 한다. 앞으로 나타날 4세대(4G)를 주도하기 위한 핵심기술 개발과 4G포럼 등 표준화를 선도하는 방안도 강구하여야 한다. 이처럼 앞으로 나타날 신 시장에 적극적으로 대응하여 시장을 주도해나가야 할 것이다.

키워드

추천자료

  • 가격2,000
  • 페이지수15페이지
  • 등록일2006.06.07
  • 저작시기2005.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5371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