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리더: 누가 그 자리를 채울 수 있는가?
2. 리더의 임무: 리더가 해야 할 일
3. 리더의 사람됨: 리더의 성품
4. 격려: 당신이 이끄는 사람들의 기운을 복돋아주라
5. 갈등과 비판: 어떻게 반대를 처리하는가?
6. 비전: 미래에 대한 기대
7. 변화: 당신의 조작에 변화를 일으켜라
8. 리더십 팀: 당신 주위의 리더들을 계발하라
9. 창조성: 리더십에서 창의성을 계발해라
10. 리더의 인생 사이클: 리더십 인생의 사계절
2. 리더의 임무: 리더가 해야 할 일
3. 리더의 사람됨: 리더의 성품
4. 격려: 당신이 이끄는 사람들의 기운을 복돋아주라
5. 갈등과 비판: 어떻게 반대를 처리하는가?
6. 비전: 미래에 대한 기대
7. 변화: 당신의 조작에 변화를 일으켜라
8. 리더십 팀: 당신 주위의 리더들을 계발하라
9. 창조성: 리더십에서 창의성을 계발해라
10. 리더의 인생 사이클: 리더십 인생의 사계절
본문내용
팀을 구성하는 것이다. 그렇지만 알맞은 리더들을 찾는 일이 당신에게는 최대의 도전이 될 것이다.
팀을 선발할 때는 현재 당신과 함께 일하고 있는 리더들과 장래의 잠재적인 가능성을 지니고 있는 리더들 모두를 세심하게 이끌어 낸 리더십 선발 기준을 적용시켜서 검토하도록 하라. 담임 목회자나 사역 책임자가 지니고 있는 최고로 중대한 책임은 자기 주변에 최적의 팀을 선발하는 것이다. 나는 잠재력 있는 리더십의 스태프를 인터뷰할 때면 다음의 질문들을 묻고 그에 대한 대답들을 검토해 보고 있다.
다음 세대를 위한 리더들을 만들어내는 일은 모든 사람의 과제 가운데 들어가야 한다. 우리가 그 일을 어떻게 할 것인가의 문제는 멘토링과 많은 관계가 있다. 멘토링은 일종의 관계적 경험이다. 단순히 사람들을 강의실에 들여보내 놓고서 그들이 성숙한 리더들이 되어 그 교실에서 나오리라고 기대 할 수는 없다.
사도 바울은 멘토링의 대가였다. 우리는 그에게서 책상 뒤로 숨어서는 효과적으로 리더십을 발휘할 수 없다는 것을 배운다.
9
창조성
리더십에서 창의성을 개발하라
창의적이 된다는 것은 “창조하는 힘 혹은 자질을 소유하는 것”이나 혹은 “모방된 것이 아닌 창작된 것의 자질을 소유하는 것”을 의미한다. 그것이 창조성의 핵심에 있는 것이다.
사역 활동에서의 창의성은 그 어느 때보다도 오늘날 더욱더 필요하다. 이는 우리가 살아가고 있는 시대가 변화가 많은 시대이기 때문만은 아니다. 우리는 우리보다 더 젊은 세대들이 우리의 교회와 선교 단체들 가운데 들어와서 우리가 그려놓은 노선들 밖에서 다채로운 색을 칠할 수 있도록, 즉 하나님께서 우리에게 주신 사역 활동들에 그들의 흔적을 남길 수 있는 그들 나름대로의 기회들을 가질 수 있도록 허용해야 한다.
10
리더의 인생 사이클
리더십 인생의 사계절
사도 바울이 겪은 시련들은 하나님께서 사도 바울을 사용하셨던 길의 핵심적인 부분이었다. 그 시련들은 결국 그의 리더십을 뒷받침하는 데 도움을 주었다. 그러한 시련들은 하나님께서 리더로 부르신 그 때에 그가 하나님의 사람이 되는 데 필요한 모든 것에 들어가는 비용의 일부였다.
바울은 최소한 네 가지 점을 배웠으리라 생각한다.
첫째, 기도의 능력을 배웠다.
그는 하나님과의 수직적인 관계에서 힘을 얻을 필요가 있었다.
둘째, 바울은 인내를 배웠다.
하나님께서 “가라!”는 신호를 주실 때까지 기다리는 법을 배웠다.
셋째, 바울은 성경에 나오는 하나님과의 약속들과 어떻게 그 약속들이 자기를 부르신 것과 관련되어 있는지를 배웠다.
넷째, 바울은 검증된 인품의 중요성을 배웠다.
끝을 잘 마무리를 짓는 일은 아주 중요하다.
하나님과의 생생한 교제와 배움의 자세 그리고 그리스도의 성품을 유지하여 마무리를 잘 지어야 한다.
느낀 점
리더십 파워를 읽고 나서 내가 신학생으로서, 앞으로의 목회자의 길을 갈 사람으로서 꼭 필수적으로 갖추어야 할 자질이라고 강한 도전을 받았다.
처음엔 리더십이란 그저 리더의 성격이 타고난 사람만이 하는 분야로만 생각을 했다.
하지만 그 것이 아니라는 것을 깨달았다. 리더십은 하나님께서 우리 그리스도인 종들에게 주신 과제이자 만들어 나갈 능력이었다. 하나님의 종으로서 양 때를 이끌어 나갈 목회자가 리더십이 없이 양 때의 수 만 늘리는 것을 목표로 삼았다면 그 양들은 다 실족하거나 뿔뿔이 흩어질 우려가 있다. 그러므로 체계적이고 올바른 리더 훈련을 받아야 한다.
리더로서의 특성들은 장기간 걸쳐 능력이 입증되고 그리스도께 복종하며 성품을 닮고 모든 사람들과의 관계에 있어서 편안하고 일을 탁월하게 해내며 헌신적인 특성들을 가지고 있다.
이것은 몇 달 만에 훈련을 받아 생기는 것이 아니다. 몇 년 또는 몇 십 년에 걸쳐 느리게 성장하지만 거대한 폭풍에도 견딜 수 있는 참나무와 같게 되어진다.
성경에 대표적으로 리더십을 잘 발휘한 인물들이 나온다.
다윗, 모세, 사도바울 등 이와는 반대로 실패한 사울 같은 인물도 나온다.
이 것을 통해 어느 모습이 참 리더의 모습인지를 배울 수 있어 좋았다.
물론 성경에 나온 인물 중 리더십을 제일 잘 발휘한 인물을 꼽으라면 단연 예수님이다.
리더십 그 자체이시자 하나님의 아들이신 예수님. 오늘 날의 리더자들은 그 분을 닮아가는 자세를 항상 가져야 한다.
이렇듯 이 책을 통해 또 리더십이란 주제를 통해 이 시대의 암울한 포스트 모던 리더십 이론들 속에서 그리스도의 리더십이라는 멋진 소망의 나침반을 들고서 이 세계를 리더해 나가는 하나님의 일꾼들이 되어야 하겠다.
팀을 선발할 때는 현재 당신과 함께 일하고 있는 리더들과 장래의 잠재적인 가능성을 지니고 있는 리더들 모두를 세심하게 이끌어 낸 리더십 선발 기준을 적용시켜서 검토하도록 하라. 담임 목회자나 사역 책임자가 지니고 있는 최고로 중대한 책임은 자기 주변에 최적의 팀을 선발하는 것이다. 나는 잠재력 있는 리더십의 스태프를 인터뷰할 때면 다음의 질문들을 묻고 그에 대한 대답들을 검토해 보고 있다.
다음 세대를 위한 리더들을 만들어내는 일은 모든 사람의 과제 가운데 들어가야 한다. 우리가 그 일을 어떻게 할 것인가의 문제는 멘토링과 많은 관계가 있다. 멘토링은 일종의 관계적 경험이다. 단순히 사람들을 강의실에 들여보내 놓고서 그들이 성숙한 리더들이 되어 그 교실에서 나오리라고 기대 할 수는 없다.
사도 바울은 멘토링의 대가였다. 우리는 그에게서 책상 뒤로 숨어서는 효과적으로 리더십을 발휘할 수 없다는 것을 배운다.
9
창조성
리더십에서 창의성을 개발하라
창의적이 된다는 것은 “창조하는 힘 혹은 자질을 소유하는 것”이나 혹은 “모방된 것이 아닌 창작된 것의 자질을 소유하는 것”을 의미한다. 그것이 창조성의 핵심에 있는 것이다.
사역 활동에서의 창의성은 그 어느 때보다도 오늘날 더욱더 필요하다. 이는 우리가 살아가고 있는 시대가 변화가 많은 시대이기 때문만은 아니다. 우리는 우리보다 더 젊은 세대들이 우리의 교회와 선교 단체들 가운데 들어와서 우리가 그려놓은 노선들 밖에서 다채로운 색을 칠할 수 있도록, 즉 하나님께서 우리에게 주신 사역 활동들에 그들의 흔적을 남길 수 있는 그들 나름대로의 기회들을 가질 수 있도록 허용해야 한다.
10
리더의 인생 사이클
리더십 인생의 사계절
사도 바울이 겪은 시련들은 하나님께서 사도 바울을 사용하셨던 길의 핵심적인 부분이었다. 그 시련들은 결국 그의 리더십을 뒷받침하는 데 도움을 주었다. 그러한 시련들은 하나님께서 리더로 부르신 그 때에 그가 하나님의 사람이 되는 데 필요한 모든 것에 들어가는 비용의 일부였다.
바울은 최소한 네 가지 점을 배웠으리라 생각한다.
첫째, 기도의 능력을 배웠다.
그는 하나님과의 수직적인 관계에서 힘을 얻을 필요가 있었다.
둘째, 바울은 인내를 배웠다.
하나님께서 “가라!”는 신호를 주실 때까지 기다리는 법을 배웠다.
셋째, 바울은 성경에 나오는 하나님과의 약속들과 어떻게 그 약속들이 자기를 부르신 것과 관련되어 있는지를 배웠다.
넷째, 바울은 검증된 인품의 중요성을 배웠다.
끝을 잘 마무리를 짓는 일은 아주 중요하다.
하나님과의 생생한 교제와 배움의 자세 그리고 그리스도의 성품을 유지하여 마무리를 잘 지어야 한다.
느낀 점
리더십 파워를 읽고 나서 내가 신학생으로서, 앞으로의 목회자의 길을 갈 사람으로서 꼭 필수적으로 갖추어야 할 자질이라고 강한 도전을 받았다.
처음엔 리더십이란 그저 리더의 성격이 타고난 사람만이 하는 분야로만 생각을 했다.
하지만 그 것이 아니라는 것을 깨달았다. 리더십은 하나님께서 우리 그리스도인 종들에게 주신 과제이자 만들어 나갈 능력이었다. 하나님의 종으로서 양 때를 이끌어 나갈 목회자가 리더십이 없이 양 때의 수 만 늘리는 것을 목표로 삼았다면 그 양들은 다 실족하거나 뿔뿔이 흩어질 우려가 있다. 그러므로 체계적이고 올바른 리더 훈련을 받아야 한다.
리더로서의 특성들은 장기간 걸쳐 능력이 입증되고 그리스도께 복종하며 성품을 닮고 모든 사람들과의 관계에 있어서 편안하고 일을 탁월하게 해내며 헌신적인 특성들을 가지고 있다.
이것은 몇 달 만에 훈련을 받아 생기는 것이 아니다. 몇 년 또는 몇 십 년에 걸쳐 느리게 성장하지만 거대한 폭풍에도 견딜 수 있는 참나무와 같게 되어진다.
성경에 대표적으로 리더십을 잘 발휘한 인물들이 나온다.
다윗, 모세, 사도바울 등 이와는 반대로 실패한 사울 같은 인물도 나온다.
이 것을 통해 어느 모습이 참 리더의 모습인지를 배울 수 있어 좋았다.
물론 성경에 나온 인물 중 리더십을 제일 잘 발휘한 인물을 꼽으라면 단연 예수님이다.
리더십 그 자체이시자 하나님의 아들이신 예수님. 오늘 날의 리더자들은 그 분을 닮아가는 자세를 항상 가져야 한다.
이렇듯 이 책을 통해 또 리더십이란 주제를 통해 이 시대의 암울한 포스트 모던 리더십 이론들 속에서 그리스도의 리더십이라는 멋진 소망의 나침반을 들고서 이 세계를 리더해 나가는 하나님의 일꾼들이 되어야 하겠다.
추천자료
경영학도가 생각하는 리더와 리더쉽
[리더쉽] 과업지향적 리더 연구 조사
여성 리더의 리더쉽 완벽 분석 (커뮤니케이션) & 여성 ceo 인터뷰
[리더쉽] 전 재정경제부장관 강봉규를 통해 살펴본 리더십과 리더의 역할
조직의 리더와 리더쉽
혁신리더로서 가져야 할 점과 과감히 버려야 할 자세(이순신장군의 리더쉽)
리더와 관리자의 차이, 소프트,하드,스마트파워 특징비교, 정보화시대의 리더쉽
[지도자][지도성][리더][리더십][리더쉽][스포츠][생활체육][레크레이션]생활체육지도자(생활...
[리더십][리더쉽][지도성][지도자][리더][정치][여성][장학]지도자(리더)와 공동체, 지도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