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론
락 오페론의 개요
본론
1. 유전자 발현 조절
1) 유전자 발현의 의미
2) 유전자 발현의 \"결정\"
3) 유전자 조절 과정
4) 전사된 RNA의 종류
5) 단백질 조합체
2. 락 오페론
1) Lac operon의 작동
2) Lac operon의 예
결론
락 오페론의 개요
본론
1. 유전자 발현 조절
1) 유전자 발현의 의미
2) 유전자 발현의 \"결정\"
3) 유전자 조절 과정
4) 전사된 RNA의 종류
5) 단백질 조합체
2. 락 오페론
1) Lac operon의 작동
2) Lac operon의 예
결론
본문내용
가 Lac 억제물질에 결합하여 형태 변화를 일으켜 억제물질이 DNA에서 덜어지게 한다. 그러면 RNA 중합효소가 방해받지 않고 DNA를 따라 움직이게 되고 이어지는 세개의 구조 유전자의 유전정보는 3개의 mRNA로 전사된다. 이 mRNA는 리보솜에서 3개의 단백질로 번역되어 유당 대사가 일어나게 된다.
②유당(lactose)이 없어지면 억제물질은 다시 원래 모습으로 돌아가서 DNA에 결합하고
RNA 중합효소는 더 이상 포로모터를 지나갈 수 없게 된다. RNA와 단백질은 만들어지지 않는다.
RNA 중합효소가 이동해 갈 수는 없지만 포로모터에 결합되어 있는 것을 유의하라. 이것은 세포는 Operon을 작동시킬 준비가 되어 있다는 뜻으로 RNA 중합효소는 제 자리에서 전사 시작 명령을 기다리고 있다 ; 유당이 첨가되면 오페론은 전사 준비가 되어진다는 것이다.
③세포 안에 포도당(catabolite)농도가 높으면 환형 구조의 AMP(cAMP)는 생성되지 못한다. 포도당 농도가 떨어지면 cAMP는 더 많이 생성된다. cAMP와 CAP (catabolite activator protein) 단백질에 연결되면 DNA상의 CAP 결합부위에 결합한다. 이는 RNA 중합효소의 결합 친화도를 증가시켜 전사를 촉진시키는 작용을 한다. 이러한 현상은 활성화(촉진화) 시키는 일이기에 잘못 이름지어진 것 같은 "catabolite repression"이라 부른다. 그러나 포도당이 존재하면 다른 당류의 대사 오페론이 억제되어지므로 이해될 수 있다.
(포도당이 존재하면 유당이 존재하여도 유당 대사 유전자는 발현되지 못한다.)
2) Lac operon의 예
유전자 작용에 대한 조절 기작으로 좋은 예는 스테로이드(steroid) 호르몬이 있다. 스테로이드 호르몬은 표적(target)세포내로 유입된다. 만일 그 세포가 정확한 표적이면 그 세포 내에는 반드시 스테로이드 호르몬에 특이하게 결합하는 수용체 단백질(recepter protein)을 가지고 있어서 스테로이드 호르몬과 수용체 단백질이 복합체를 형성하게 된다.그래서 이 스테로이드 호르몬 복합체가 핵 속으로 이동 DNA에 결합한다. 결과적으로 이 특이한 mRNA에 의해 단백질이 생성된다. 그래서 세포 내로 들어간 호르몬은 그 속에 존재하는 수용체 단백질에 의해 작용이 조절된다. 다시 말하면 호르몬-수용체 복합체가 그 어떤 방법으로 RNA 중합 효소의 작용을 조절한다고 볼 수 있다.
결론
① 생체내에서 물질 대사는 항시 조절된다.
② Operon은 Promotor, Operator, Structural gene으로 구성되어 있다.
③ 프로모터에서 만들어진 억제자는 오페론의 프로모터에 Binding하여 구조 유전자의 전사
(Transcription)를 방지한다.
④ 하지만 개시자의 첨가시 전사(Transcription)를 재개한다.
참고사이트
http://www.earthlove.co.kr
http://dasan.sejong.ac.kr
http://www.hoseo.ac.kr
http://biob.sch.ac.kr
②유당(lactose)이 없어지면 억제물질은 다시 원래 모습으로 돌아가서 DNA에 결합하고
RNA 중합효소는 더 이상 포로모터를 지나갈 수 없게 된다. RNA와 단백질은 만들어지지 않는다.
RNA 중합효소가 이동해 갈 수는 없지만 포로모터에 결합되어 있는 것을 유의하라. 이것은 세포는 Operon을 작동시킬 준비가 되어 있다는 뜻으로 RNA 중합효소는 제 자리에서 전사 시작 명령을 기다리고 있다 ; 유당이 첨가되면 오페론은 전사 준비가 되어진다는 것이다.
③세포 안에 포도당(catabolite)농도가 높으면 환형 구조의 AMP(cAMP)는 생성되지 못한다. 포도당 농도가 떨어지면 cAMP는 더 많이 생성된다. cAMP와 CAP (catabolite activator protein) 단백질에 연결되면 DNA상의 CAP 결합부위에 결합한다. 이는 RNA 중합효소의 결합 친화도를 증가시켜 전사를 촉진시키는 작용을 한다. 이러한 현상은 활성화(촉진화) 시키는 일이기에 잘못 이름지어진 것 같은 "catabolite repression"이라 부른다. 그러나 포도당이 존재하면 다른 당류의 대사 오페론이 억제되어지므로 이해될 수 있다.
(포도당이 존재하면 유당이 존재하여도 유당 대사 유전자는 발현되지 못한다.)
2) Lac operon의 예
유전자 작용에 대한 조절 기작으로 좋은 예는 스테로이드(steroid) 호르몬이 있다. 스테로이드 호르몬은 표적(target)세포내로 유입된다. 만일 그 세포가 정확한 표적이면 그 세포 내에는 반드시 스테로이드 호르몬에 특이하게 결합하는 수용체 단백질(recepter protein)을 가지고 있어서 스테로이드 호르몬과 수용체 단백질이 복합체를 형성하게 된다.그래서 이 스테로이드 호르몬 복합체가 핵 속으로 이동 DNA에 결합한다. 결과적으로 이 특이한 mRNA에 의해 단백질이 생성된다. 그래서 세포 내로 들어간 호르몬은 그 속에 존재하는 수용체 단백질에 의해 작용이 조절된다. 다시 말하면 호르몬-수용체 복합체가 그 어떤 방법으로 RNA 중합 효소의 작용을 조절한다고 볼 수 있다.
결론
① 생체내에서 물질 대사는 항시 조절된다.
② Operon은 Promotor, Operator, Structural gene으로 구성되어 있다.
③ 프로모터에서 만들어진 억제자는 오페론의 프로모터에 Binding하여 구조 유전자의 전사
(Transcription)를 방지한다.
④ 하지만 개시자의 첨가시 전사(Transcription)를 재개한다.
참고사이트
http://www.earthlove.co.kr
http://dasan.sejong.ac.kr
http://www.hoseo.ac.kr
http://biob.sch.ac.kr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