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전자발현의 조절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유전자발현의 조절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서론

2.본론
2.1 원핵세포에서의 유전자 발현조절
2.2 진핵세포에서의 유전자 발현조절

3.결론

본문내용

intron이라 한다. 그림7에 나타낸 것처럼 이런 유전자도 일차적으로는 암호화하거나 하지 않는 배열이 모두 전사되어 전사물에 포함된다.
1차 전사물(premessenger RNA)은 이어서 mRNA의 번역을 촉진하는 capping과 분해를 방지하고 또 핵에서 세포질로 이동하는데 작용하는 polyadenylate(poly A) 꼬리의 첨가를 거쳐 삽입배열(intron)은 제거되고 암호배열(exon)은 연결되는 재연결(splicing)을 거치면 성숙한 mRNA를 생성하게 된다.
Intron이 제거되는 기구는 확실하지 않으나 작은 RNA와 단백질로 구성된 spliceosome에 의해 일어나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Intron은 일반적으로 GU로 시작해서 pyrimidine이 풍부한 부위에 이어서 AG로 끝나는데 이러한 배열은 재연결에 대한 신호의 일부라고 생각된다.(그림8 참조) 이러한 유전자의 재연결은 하등의 진핵세포생물에서는 적고 고등동물에서는 많다. 전사와 가공과정은 핵에서 일어나고 성숙한 mRNA만이 세포질로 수송되어 polypeptide로 번역된다.
그림8. Intron의 구조
이러한 mRNA 1차 전사물의 성숙과정은 재연결과 poly A 꼬리의 첨가에 의해 조절되며 이것은 mRNA의 수명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3.결론
위와 같이 유전자발현의 조절을 원핵세포와 진핵세포로 각각 나누어서 알아보았다.
원핵세포에서 유전자 산물을 조절할 필요가 있을 때는 즉시 합성을 중단 또는 재개할 수 있기 때문에 mRNA의 수명을 조절할 필요가 거의 없으나 진핵세포에서 특정 단백질이 대량으로 필요할 때는 mRNA의 수명을 연장시켜 생산하는 경우가 많다.
또 원핵세포는 환경변화에 대응하여 유전자 발현을 비교적 쉽게 변화시킬 수 있지만 분화된 진핵세포에서는 특정 유전자가 영구적으로 전환(switching)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영구적인 전환은 유전자 소실(gene loss), 유전자 불활성화(gene inactivation), 유전자 증폭(gene amplification) 및 유전자 재배치(gene rearrangement) 등에 의해 일어난다.
또 세포내에서 특정 단백질이 일정한 양이나 비율로 요구될 때 원핵세포에서는 polycistronic mRNA를 생산하여 조절하지만 진핵세포는 monocistronic mRNA를 생산하므로 원핵세포와는 다른 조절방법이 있어야 하는데 커다란 전구체 단백질을 절단해서 활성형 단백질을 생성하는 것이 그 방법 중 하나일 것이다.
※ 참고문헌
1.대한내분비학회지/김경진,이병주/대한내분비학회/1989/p190∼197
2.생화학뉴스9권4호/유향숙/한국생화학분자생물학회/1989/p282∼289
3.생화학총설집/유향숙/한국생화학분자생물학회/1992/p47∼53
4.생명공학회지23권1호/임수빈,박재균,송지환/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2004/p11∼16
5.산업미생물학회지19권1호/황용일/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1991/p37∼45
6.유전공학연구소보7권/이인구 외3인/경북대학교 유전공학연구소/1992/p9∼18
  • 가격1,4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4.12.25
  • 저작시기2004.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8017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