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후기산업주의로서의 정보사회 : 다니엘 벨을 중심으로
2.정보, 민족국가 그리고 감시 : 안토니 기든스를 중심으로
3.정보와 선진자본주의 : 허버트 쉴러를 중심으로
2.정보, 민족국가 그리고 감시 : 안토니 기든스를 중심으로
3.정보와 선진자본주의 : 허버트 쉴러를 중심으로
본문내용
하여 기업 자본주의 확산의 역사는 미디어 기업의 확산의 역사이기도 하다. 이러한 특징으로 볼 때 현대 매스미디어가 자본주의체제의 열렬한 지지자라는 사실에 놀랄 필요가 없다고 쉴러는 말한다.
④ 시장원리
: 자본주의의 핵심적인 관심사는 시장으로부터 시작하는 것이 유용하다. 쉴러의 주장은 자본주의사회의 전영역에서와 마찬가지로 정보적 영역에서도 시장원리 특히 이윤 극대화의 추구가 많은 영향력을 행사한다는 것이다. 그 결과 정보는 이윤을 남기면서 판매될 수 있는 곳에서만 생산되고 상품화되며 이득의 기회가 매우 분명한 곳에서만 양질의 정보가 대량 생산된다.
⑤ 계급적 불평등
: 정보영역에서 시장이 중심적인 역할을 한다는 것은 곧 정보와 정보기술이 그에 대한 대가를 치를 수 있는 사람을 위해서 생산되고 그들만이 이용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다는 것의 의미한다. 다시 말해 계급 불평등이 '정보사회'에서 중심적인 힘을 행사한다는 것이다. 정보의 생산과 그에 대한 접근에 결정적인 힘으로서 지불능력이 강조된다. 즉 계급체제속에서 상층에 있는 사람일수록 더욱 풍부하고 더욱 이용성이 많은 정보에 접근할 수가 있으며 사회적 척도에서 아래로 내려올수록 그 사람은 점점 열등한 종류의 정보만 접하게된다. 지불능력이라는 기준의 중요성 그리고 이것이 계급불평등에 대해 갖고 있는 밀접한 관계를 고려하여 허버트 쉴러는 국가 내외부에서의 '정보부자'와 '정보빈자'를 구분한다.
: 쉴러는 '정보혁명'이 계급사회속에서 진행됨에따라 기존의 불평등에 의해 영향을 받게되고 더 나아가 그것을 악화시킬수도 있다고 생각한다. 그리하여 이른바 '정보격차'라는 것이 확대될 수 있으며, 경제적으로 부유하고 교육을 받은 특권층이 온라인 데이터베이스나 발달된 컴퓨터 통신시설등을 이용하여 자신들의 이득을 확대시킬 수 있는 반면, 계급구조의 하층을 점하는 사람들은 기분전환, 즐거움, 잡담거리를 제공하여주지만 정보적 가치가 거의 없는 '쓰레기 정보'를 점점 많이 접하게된다. 여기서 쉴러는 정보의 증가 자체가 반드시 사람들의 삶을 윤택하게하는 것은 아니라고 주장한다.
⑥ 기업자본주의
: 쉴러에 의하면 '정보혁명'의 주된 수혜자는 기업자본주의이다. 정보와 그에 관련한 기술은 기업시장을 최우선적으로 고려하여 개발되고 적용된다는 것이다. 요약하자면 '정보사회'는 선진자본주의의 시장원리, 그 불평등구조 그리고 기업적 조직에 의해 형성되고 선진자본주의에 가장 이로운 것이라고 주장한다.
④ 시장원리
: 자본주의의 핵심적인 관심사는 시장으로부터 시작하는 것이 유용하다. 쉴러의 주장은 자본주의사회의 전영역에서와 마찬가지로 정보적 영역에서도 시장원리 특히 이윤 극대화의 추구가 많은 영향력을 행사한다는 것이다. 그 결과 정보는 이윤을 남기면서 판매될 수 있는 곳에서만 생산되고 상품화되며 이득의 기회가 매우 분명한 곳에서만 양질의 정보가 대량 생산된다.
⑤ 계급적 불평등
: 정보영역에서 시장이 중심적인 역할을 한다는 것은 곧 정보와 정보기술이 그에 대한 대가를 치를 수 있는 사람을 위해서 생산되고 그들만이 이용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다는 것의 의미한다. 다시 말해 계급 불평등이 '정보사회'에서 중심적인 힘을 행사한다는 것이다. 정보의 생산과 그에 대한 접근에 결정적인 힘으로서 지불능력이 강조된다. 즉 계급체제속에서 상층에 있는 사람일수록 더욱 풍부하고 더욱 이용성이 많은 정보에 접근할 수가 있으며 사회적 척도에서 아래로 내려올수록 그 사람은 점점 열등한 종류의 정보만 접하게된다. 지불능력이라는 기준의 중요성 그리고 이것이 계급불평등에 대해 갖고 있는 밀접한 관계를 고려하여 허버트 쉴러는 국가 내외부에서의 '정보부자'와 '정보빈자'를 구분한다.
: 쉴러는 '정보혁명'이 계급사회속에서 진행됨에따라 기존의 불평등에 의해 영향을 받게되고 더 나아가 그것을 악화시킬수도 있다고 생각한다. 그리하여 이른바 '정보격차'라는 것이 확대될 수 있으며, 경제적으로 부유하고 교육을 받은 특권층이 온라인 데이터베이스나 발달된 컴퓨터 통신시설등을 이용하여 자신들의 이득을 확대시킬 수 있는 반면, 계급구조의 하층을 점하는 사람들은 기분전환, 즐거움, 잡담거리를 제공하여주지만 정보적 가치가 거의 없는 '쓰레기 정보'를 점점 많이 접하게된다. 여기서 쉴러는 정보의 증가 자체가 반드시 사람들의 삶을 윤택하게하는 것은 아니라고 주장한다.
⑥ 기업자본주의
: 쉴러에 의하면 '정보혁명'의 주된 수혜자는 기업자본주의이다. 정보와 그에 관련한 기술은 기업시장을 최우선적으로 고려하여 개발되고 적용된다는 것이다. 요약하자면 '정보사회'는 선진자본주의의 시장원리, 그 불평등구조 그리고 기업적 조직에 의해 형성되고 선진자본주의에 가장 이로운 것이라고 주장한다.
추천자료
정보사회와 대중문화
정보사회가 가족 관계에 미치는 영향
정보사회가가족관계에미치는영향
정보화사회 신화와 혼돈을 읽고
정보사회의 순기능과 역기능
정보화사회에서의 위험과 위험관리
정보화사회 가상현실과 가상공동체의 출현과 윤리적 문제들
파놉티콘-정보사회의 감시
지식정보사회(knowledge-information-based society)로의 발전- (주요 국가의 정책사례포함 )
정보화사회의 문제점과 대응방안
정보사회와 행정 A+ 레포트
정보사회와 행정 A+ 레포트 2
정보사회 음모론 정의, 유래, 특징, 구조, 음모론 관계, 사례 분석, 한계점, 변화, 특징, 현...
정보사회의 역기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