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서론
II. 본론
1. 카메라의 높이
2. 극적앵글
3. 멀티레벨 액션
4. 풀 백 리빌
5. 원형회전
6. 마스크, 비네트
7. 팬(pan)
8. 트래킹(tracking)
9. 크레인 숏(crane shot)
10. 줌 숏(zoom shot)
11. 들고 찍기(handheld shot)
12. 고속촬영/저속촬영
13. 장시간 촬영(longtake)
14. 눈을 통한 전환
15. 삶의 단편
16. 혼합미디어
17. CGI 기법
III. 결론
II. 본론
1. 카메라의 높이
2. 극적앵글
3. 멀티레벨 액션
4. 풀 백 리빌
5. 원형회전
6. 마스크, 비네트
7. 팬(pan)
8. 트래킹(tracking)
9. 크레인 숏(crane shot)
10. 줌 숏(zoom shot)
11. 들고 찍기(handheld shot)
12. 고속촬영/저속촬영
13. 장시간 촬영(longtake)
14. 눈을 통한 전환
15. 삶의 단편
16. 혼합미디어
17. CGI 기법
III. 결론
본문내용
, 그림, 사진과 같은 다른 미디어를 혼합한 결과이다. 컴퓨터가 생성해 낸 이미지와 광학 프린터와는 달리, 전통적 영화 제작의 제약은 오직 있는 현실 그것만을 촬영할 수 있다는 것이다. 카메라는 상상적 이미지를 잡아낼 수 없다. 다른 형태의 매체를 사용함으로써, 필름메이커는 전통적 의미에서 불가능한 영화적 기법을 완성할 수 있다.
- 효과 : 재정적으로 비용이 많이 들어가는 장면을 비교적 쉽고, 재미있게 표현할 수 있다.
- 예로 들 영화 : 《누가 로저 래빗을 모함했나》와 《쿨 월드》에서 동화 인물들이 살아 있는 상대역과 상호작용한다. 《탱크 걸》에서 만화들과 애니메이션 단편들을 라이브 액션과 적절히 배치하여 이야기에 변화를 준다.
17. CGI 기법
- 개념 : 컴퓨터 그래픽을 이용한 computer generated imagery(컴퓨터 출력 형상)를 의미한다. 컴퓨터가 더욱 강력해지고 정밀해지면, 생명체와 같은 창조물, 모델, 그리고 특수 효과를 출력하는 능력도 발전한다.
- 효과 : 현실 세계에서는 불가능한 복잡한 영화적 움직임들을 표현할 수 있다. 가상 세계에서는 카메라가 어느 곳이든 어떠한 속도로든 이동할 수 있다. 영화 속의 세상에 현실감 부연을 부여한다.
- 예로 들 영화 : 《영 셜록 홈즈》 (최초의 CGI 기법을 이용한 영화)
《쥬라기 공원》《터미네이터 2》는 CGI의 길을 터주었다.
III. 결론
우리는 “왜 사람들은 영화를 보면서, 시나리오 작가보다 영화감독 얘기를 하는 걸까?”라는 의구심을 가지고 있다. 사실, 영화의 기본은 단지 메시지의 전달 ,즉 대사에 있다고 생각하기 쉽다. 하지만 이번 발표 조사를 통하여 영화는 전달하려는 메시지를 대사를 통하지 않고도 충분히 알릴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바로 촬영기법을 통해서 말이다. 어떻게 촬영을 하느냐에 따라서 우리는 그 영화를 다른 감동으로 볼 수 있는 것이다.
감독은 수많은 촬영기법을 통해서, 우리에게 영화에 담고자 했던 자신의 의도를 선보일 수 있으며, 그것은 처음의 시나리오와는 또 다른 영화를 만들어 낸다. 컴퓨터 그래픽을 이용한 놀라운 특수효과 보다 오히려 눈치 채지 못하게 우리의 시선을 유도하고 있는 기본적인 촬영기법들을 알게 됨으로써 우리는 영화 안에서 배우나 작가가 아닌 감독과의 의사소통을 하고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17가지의 촬영 기법은 여타의 수많은 촬영 기법 중 ‘빙산의 일각’에 지나지 않는다. 하지만 지금까지 다룬 17가지의 의의와 그 효과만 보더라도 촬영 기법은 비단 영화를 꾸미는 한낱 장식물이 아니라 감독의 의도를 표현할 수 있는 뛰어난 도구이며 감독이 관객과 대화하는 통로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번 촬영 기법 조사를 하면서, 지금까지 영화의 형식적인 면에서나, 내용적인 면 둘 다 제대로 보지 못하고 영화를 봤구나하는 생각이 들었다. 좀 더 깊이 있게 영화를 ‘이해’하고 ‘감상’하기 위해서는 이와 같은 영화의 ‘틀’을 이루는 ‘촬영기법’에 대해서 좀 더 자세하게 알아둘 필요가 있다는 것을 알았다.
앞으로 더욱 뛰어나고 발전된 촬영기법과 기술이 나오기를 기대한다.
*목 차
I. 서론
II. 본론
1. 카메라의 높이
2. 극적앵글
3. 멀티레벨 액션
4. 풀 백 리빌
5. 원형회전
6. 마스크, 비네트
7. 팬(pan)
8. 트래킹(tracking)
9. 크레인 숏(crane shot)
10. 줌 숏(zoom shot)
11. 들고 찍기(handheld shot)
12. 고속촬영/저속촬영
13. 장시간 촬영(longtake)
14. 눈을 통한 전환
15. 삶의 단편
16. 혼합미디어
17. CGI 기법
III. 결론
- 효과 : 재정적으로 비용이 많이 들어가는 장면을 비교적 쉽고, 재미있게 표현할 수 있다.
- 예로 들 영화 : 《누가 로저 래빗을 모함했나》와 《쿨 월드》에서 동화 인물들이 살아 있는 상대역과 상호작용한다. 《탱크 걸》에서 만화들과 애니메이션 단편들을 라이브 액션과 적절히 배치하여 이야기에 변화를 준다.
17. CGI 기법
- 개념 : 컴퓨터 그래픽을 이용한 computer generated imagery(컴퓨터 출력 형상)를 의미한다. 컴퓨터가 더욱 강력해지고 정밀해지면, 생명체와 같은 창조물, 모델, 그리고 특수 효과를 출력하는 능력도 발전한다.
- 효과 : 현실 세계에서는 불가능한 복잡한 영화적 움직임들을 표현할 수 있다. 가상 세계에서는 카메라가 어느 곳이든 어떠한 속도로든 이동할 수 있다. 영화 속의 세상에 현실감 부연을 부여한다.
- 예로 들 영화 : 《영 셜록 홈즈》 (최초의 CGI 기법을 이용한 영화)
《쥬라기 공원》《터미네이터 2》는 CGI의 길을 터주었다.
III. 결론
우리는 “왜 사람들은 영화를 보면서, 시나리오 작가보다 영화감독 얘기를 하는 걸까?”라는 의구심을 가지고 있다. 사실, 영화의 기본은 단지 메시지의 전달 ,즉 대사에 있다고 생각하기 쉽다. 하지만 이번 발표 조사를 통하여 영화는 전달하려는 메시지를 대사를 통하지 않고도 충분히 알릴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바로 촬영기법을 통해서 말이다. 어떻게 촬영을 하느냐에 따라서 우리는 그 영화를 다른 감동으로 볼 수 있는 것이다.
감독은 수많은 촬영기법을 통해서, 우리에게 영화에 담고자 했던 자신의 의도를 선보일 수 있으며, 그것은 처음의 시나리오와는 또 다른 영화를 만들어 낸다. 컴퓨터 그래픽을 이용한 놀라운 특수효과 보다 오히려 눈치 채지 못하게 우리의 시선을 유도하고 있는 기본적인 촬영기법들을 알게 됨으로써 우리는 영화 안에서 배우나 작가가 아닌 감독과의 의사소통을 하고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17가지의 촬영 기법은 여타의 수많은 촬영 기법 중 ‘빙산의 일각’에 지나지 않는다. 하지만 지금까지 다룬 17가지의 의의와 그 효과만 보더라도 촬영 기법은 비단 영화를 꾸미는 한낱 장식물이 아니라 감독의 의도를 표현할 수 있는 뛰어난 도구이며 감독이 관객과 대화하는 통로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번 촬영 기법 조사를 하면서, 지금까지 영화의 형식적인 면에서나, 내용적인 면 둘 다 제대로 보지 못하고 영화를 봤구나하는 생각이 들었다. 좀 더 깊이 있게 영화를 ‘이해’하고 ‘감상’하기 위해서는 이와 같은 영화의 ‘틀’을 이루는 ‘촬영기법’에 대해서 좀 더 자세하게 알아둘 필요가 있다는 것을 알았다.
앞으로 더욱 뛰어나고 발전된 촬영기법과 기술이 나오기를 기대한다.
*목 차
I. 서론
II. 본론
1. 카메라의 높이
2. 극적앵글
3. 멀티레벨 액션
4. 풀 백 리빌
5. 원형회전
6. 마스크, 비네트
7. 팬(pan)
8. 트래킹(tracking)
9. 크레인 숏(crane shot)
10. 줌 숏(zoom shot)
11. 들고 찍기(handheld shot)
12. 고속촬영/저속촬영
13. 장시간 촬영(longtake)
14. 눈을 통한 전환
15. 삶의 단편
16. 혼합미디어
17. CGI 기법
III. 결론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