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실험목표
Ⅱ.실험이론
Ⅲ-Α. 나무토막을 이용한 간단한 실험 방법
1.준비물
2.실험방법
3.계산방법
Ⅲ-B. 황동과 알루미늄 원통시료를 이용한 부력측정방법
1.기구 및 장치
2.실험방법
Ⅳ. 참고문헌 및 출처
Ⅱ.실험이론
Ⅲ-Α. 나무토막을 이용한 간단한 실험 방법
1.준비물
2.실험방법
3.계산방법
Ⅲ-B. 황동과 알루미늄 원통시료를 이용한 부력측정방법
1.기구 및 장치
2.실험방법
Ⅳ. 참고문헌 및 출처
본문내용
부은 다음 랩 잭 위에 올려놓고, 랩 잭(Lab jack) 다이얼을 왼쪽으로 돌려서 위치를 낮춘다.
⑩ 랩 잭의 측면, 보기 좋은 위치에 자를 세우고 원통시료가 물에 닿지 않는 위치에서 완전히 잠길 수 있는 높이까지 랩 잭을 들어 올릴 수 있도록 높이를 잘 조절한다.
(2) 키보드 샘플링과 데이터 저장
① 원통시료가 물 표면에 닿지 않은 상태에서 버튼을 누르면 키보드 샘플링 윈도우가 뜨고 Entry #1 에서 컴퓨터는 키보드 입력을 기다리고 있을 것이다. 깊이 0 을 입력하고 Enter를 누른다. 그러면 깊이 0일 때 힘 센서에 작용하는 힘(N)의 값이 데이터 리스트에 저장되고 다시 샘플링윈도우에 Entry #2 가 나타날 것이다.
② 시료가 움직이지 않도록 주의하며 랩 잭의 다이얼을 서서히 돌려서 시료가 물에 5mm 만큼 잠기도록 조절한 다음, Entry #2 에 0.005 (=5mm)를 입력하고 Enter를 누른다.(이때 시료의 잠긴 깊이는 시료표면에 새겨진 눈금과 측면에 세워둔 자를 잘 관찰하여 정확히 읽도록 한다)
③ 다음 Entry #3부터는 잠긴 깊이가 자동으로 0.005씩 증가하여 나타날 것이다. 시료가 5mm 간격으로 잠기게 하여 0.005, 0.010, 0.015 0.045 (=4.5cm)까지 증가시키며 위의 과정을 반복하여 데이터(총10개)를 저장하고 다 끝나면 Stop Sampling하여 데이터 저장을 끝낸다.
④ 그래프 윈도우를 띄우면 원통이 잠긴 깊이에 따른 길이 변화의 직선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⑤ 통계 버튼을 누르고 Curve Fit-Linear Fit를 선택하여 직선의 기울기를 구하고 데이터를 기록한다.
⑥ 위의 과정을 3번 반복하여 데이터를 저장하고 물의 밀도를 계산하여 이론치와 비교한다.
⑦ 다음 똑같은 부피에 밀도가 다른 알루미늄 원통에 대해서도 위의 과정을 반복해보자. 부력은 물체의 밀도, 부피와 어떤 관계에 있는가? 물체가 물위로 뜨는 원리는 무엇일까?
⑧ 두 물체가 잠기는 부피에 따른 힘의 변화 곡선을 비교하면서 우리는 어떤 결론을 내릴 수 있는가? 아르키메데스의 원리는 타당한가?
Ⅳ. 참고문헌 및 출처
― http://www.happycampus.com/page/2003/10/01/D2390514.html
― 역사로 본 물리학
― 연세대학교 일반물리학 실험실 (http://phya.yonsei.ac.kr/~phylab)
― 유체역학 / 범한서적
⑩ 랩 잭의 측면, 보기 좋은 위치에 자를 세우고 원통시료가 물에 닿지 않는 위치에서 완전히 잠길 수 있는 높이까지 랩 잭을 들어 올릴 수 있도록 높이를 잘 조절한다.
(2) 키보드 샘플링과 데이터 저장
① 원통시료가 물 표면에 닿지 않은 상태에서 버튼을 누르면 키보드 샘플링 윈도우가 뜨고 Entry #1 에서 컴퓨터는 키보드 입력을 기다리고 있을 것이다. 깊이 0 을 입력하고 Enter를 누른다. 그러면 깊이 0일 때 힘 센서에 작용하는 힘(N)의 값이 데이터 리스트에 저장되고 다시 샘플링윈도우에 Entry #2 가 나타날 것이다.
② 시료가 움직이지 않도록 주의하며 랩 잭의 다이얼을 서서히 돌려서 시료가 물에 5mm 만큼 잠기도록 조절한 다음, Entry #2 에 0.005 (=5mm)를 입력하고 Enter를 누른다.(이때 시료의 잠긴 깊이는 시료표면에 새겨진 눈금과 측면에 세워둔 자를 잘 관찰하여 정확히 읽도록 한다)
③ 다음 Entry #3부터는 잠긴 깊이가 자동으로 0.005씩 증가하여 나타날 것이다. 시료가 5mm 간격으로 잠기게 하여 0.005, 0.010, 0.015 0.045 (=4.5cm)까지 증가시키며 위의 과정을 반복하여 데이터(총10개)를 저장하고 다 끝나면 Stop Sampling하여 데이터 저장을 끝낸다.
④ 그래프 윈도우를 띄우면 원통이 잠긴 깊이에 따른 길이 변화의 직선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⑤ 통계 버튼을 누르고 Curve Fit-Linear Fit를 선택하여 직선의 기울기를 구하고 데이터를 기록한다.
⑥ 위의 과정을 3번 반복하여 데이터를 저장하고 물의 밀도를 계산하여 이론치와 비교한다.
⑦ 다음 똑같은 부피에 밀도가 다른 알루미늄 원통에 대해서도 위의 과정을 반복해보자. 부력은 물체의 밀도, 부피와 어떤 관계에 있는가? 물체가 물위로 뜨는 원리는 무엇일까?
⑧ 두 물체가 잠기는 부피에 따른 힘의 변화 곡선을 비교하면서 우리는 어떤 결론을 내릴 수 있는가? 아르키메데스의 원리는 타당한가?
Ⅳ. 참고문헌 및 출처
― http://www.happycampus.com/page/2003/10/01/D2390514.html
― 역사로 본 물리학
― 연세대학교 일반물리학 실험실 (http://phya.yonsei.ac.kr/~phylab)
― 유체역학 / 범한서적
추천자료
[생물학실험][서울대]삼투압의 측정
[화공기초실험] 어는점 내림법에 의한 분자량 측정(예비레포트)
[화공기초실험] 어는점 내림법에 의한 분자량 측정(결과레포트)
[일반물리학실험Ⅱ] 20장. 고체의 선팽창계수 측정 (예비레포트)
[일반물리학실험Ⅱ] 20장. 고체의 선팽창계수 측정 (결과레포트)
[물리실험][결과보고서]등전위선 측정
[물리화학실험]끓는점오름에 의한 분자량 측정
[물리실험] 2-3. 자기력 측정 (전류천칭)
[일반물리학 실험] 마찰계수 측정
[생물학 실험] 용액의 산도 측정법 및 완충계
물리학 및 실험 - 중력가속도 측정
[화학실험] 질량부피 및 온도 측정
[일반물리학실험] 길이 및 곡률반경 측정 - 버니어 캘리퍼, 마이크로미터
[분석화학실험] (예비) 총 인측정-흡광광도법(아스코르빈산 환원법).pptx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