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대의 대외관계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청대의 대외관계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머리말

2. 청대의 전성기(강희제를 중심으로)

3. 러시아의 흥기

4. 알바진 전투와 네르친스크 조약
(1) 알바진 전투
(2) 네르친스크 조약

5. 캬흐타 조약과 러시아와의 국경 완성

6. 맺음말

본문내용

서 비준서를 교환하였다.
조약내용은 11개조로 이루어졌는데 요점은 다음과 같다.
① 동쪽은 아르군강부터 서쪽은 샤비나이령(嶺)에 걸친 국경(현재의 옛 소련과 몽골인민공화국 국경)을 확정하고, 우디강 부근의 경계는 미확정인채 둔다.
② 도망자의 인도와 처벌.
③ 러시아의 베이징무역은 4년에 1회, 인원은 200명으로 한정하며, 국경 캬흐타 및 만주와 러시아의 국경에 교역장을 새로 개설한다.
④ 베이징에 있는 회동관(會同館)을 전용의 아라사관(俄羅斯館;러시아관)으로 하고, 그리스정교 교회의 설치와 성직자 및 어학연수를 위한 유학생의 체류를 인정한다.
⑤ 외교와 통상을 구별하고, 외교교섭을 러시아의 원로원과 청나라의 이번원(理藩院)이 담당한다.
이 조약이 체결된 뒤 베이징무역은 쇠퇴하고 캬흐타무역이 융성해졌다. 1768년 도망자의 처벌을 규정한 제10조가 개정되었으나, 1860년의 베이징조약에 따라 캬흐타조약은 폐기되었다.
이렇게 캬흐타 조약으로써 청대의 국경이 확립되었다고 볼 수 있다.
6. 맺음말
청은 정복왕조로서 아주 오랜 기간 중원을 통치한 왕조이다. 정복왕조였던 청조는 중국의 마지막 황제 통치 국가이기도 한데, 청조가 중원에 가장 기여한 점이라고 한다면 영토의 확장이라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영토를 완성한 시대가 강희제, 옹정제, 건륭제 때의 청대 전성기라고 할 수 있는데, 특히 2번의 조약은 북변 경계를 확고히 함으로써 국경을 확정지었다.
또한 이 2번의 조약은 중국이 최초로 맺은 조약으로써 이 점이 특히 나의 눈길을 끌어 이번 보고서를 쓰게 되었다. 중국의 대외관계라고 한다면 관념적이든, 실제적이든 중화사상에 의거한 조공책봉관계가 가장 중심이 되었는데, 조약은 두 국가가 평등하다는 것이 전제되어 있는 것이기 때문이다. 여기서 청조의 탄력적인 대외관계를 볼 수 있고 또한, 평등한 관계의 조약이라고 하더라도 이 조약은 청에게는 이득이 되는 것이었으므로 완전히 평등한 것도 아니었다고 할 수 있다. 건륭제 이 후에는 청조가 오히려 유럽에 밀려 점차 쇠약의 길을 걷게 되지만 지금의 중국이 세계지도에서 엄청난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것은 분명 이 때의 공이라 할 수 있는 것이 아닐까?
◈ 참고 문헌
강영매, 『중국역사박물관10』, 범우사, 2004.
백양, 『맨얼굴의 중국사』, 창해, 2005.
이춘식, 『중국사서설』, 교보문고, 2005.
풍국초, 『中國上下 오천년사』, 신원문화사, 2005.
  • 가격1,4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6.06.16
  • 저작시기2006.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5527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