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저자
2. 형태 및 내용
(1) 형태
(2) 내용
① 일기
② 서계원단자 및 별단
③ 기타 잡철
3. 일기의 이용가치
2. 형태 및 내용
(1) 형태
(2) 내용
① 일기
② 서계원단자 및 별단
③ 기타 잡철
3. 일기의 이용가치
본문내용
태 등을 서술한 것이므로 조선 후기의 사회 및 행정사료(行政史料)로 귀중할 뿐 아니라 조선의 특수제도(特殊制度)인 암행어사(暗行御史)의 활동상 실태를 이해하는 데에도 매우 중요한 자료이다. 이상으로 『해서암행일기』에 대해 대강 소개했거니와, 한 마디로 말해서 본서는 조선 후기 사회, 특히 농촌 사회의 양상을 그 분위기까지 감득하면서 조감해 볼 수 있는 호자료로서 사회사, 경제사, 민속학 등을 중심으로 여타 조선 후기에 관해 사적 연구를 기도(企圖)하는 각 분야에서 이용하기에 매우 요긴한 자료가 되리라고 믿는다. 특히 일기 부분은 하나의 보고문학으로까지 설정할 수 있지 않을까도 생각된다.
☆ 참고자료
문화재청 홈페이지 http://www.cha.go.kr
박만정, 『海西暗行日記』, 高麗出版社, 1976.
☆ 참고자료
문화재청 홈페이지 http://www.cha.go.kr
박만정, 『海西暗行日記』, 高麗出版社, 1976.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