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노신 소설의 배경
2. 노신의 생애와 문학세계
3. 광인일기 내용분석
2. 노신의 생애와 문학세계
3. 광인일기 내용분석
본문내용
찼다'라는 단순한 사실을 발단으로 그에게 적대감을 보이며 그를 광인으로 몰아가는 사람들과 세상에 대한 그의 반항적 태도는 견고하여 어떠한 박해에도 그의 인식과 태도를 개조하지 않고 있다. 뿐만 아니라, 본문 속에서도 여러 차례 반복되는 '무슨 일이나 연구하여야만 분명해 진다' 는 구절을 통해 '광인'이 실사구시 적이며 과학적인 태도를 가지고서, 낡은 것을 고집하며 인습에 매어있는 봉건적인 전통관념과 사람들을 통렬히 비판하고 계몽하려 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그는 사람을 잡아먹는 자들의 말속에 독이 섞여 있으며, 사람을 잡아먹으려 생각하면서도 후환이 있을까봐 자살하게 몰아간다는 양면적인 특성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꿰뚫어 볼 정도로 명철한 인물로 그려져 있다.
글 후반부에 이르러서 그는 '장래에 식인종은 이 세상에서 용납되지 못한다'는 것과, 참다운 사람들의 손에 의해서 식인종들이 소멸될 것이라는 것을 인식하였고, 사람을 잡아먹는 현상이 없는 사회를 건립하고 사람을 잡아 먹지 않는 참다운 사람이 되어야 한다는 주장을 펼친다. 이것이 바로 광인의 이상이며, 그는 이를 위하여 사람을 잡아먹는 자들, 특히 그의 가장 가까운 형에게 이러한 이상을 권유하는 방식을 채용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그는 자기 자신도 은연중에 식인을, 특히 자신의 누이동생을 먹었을지도 모른다는 생각과 함께 "아이들을 구원하라"고 외치며 사람을 잡아먹은 적 없는 새 세대들에게 희망을 기탁하게 된다. 이러한 외침이 비록 무력할지라도, 이는 미래에 대한 미친 사람의 희망을 반영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이점에서 광인은 계몽자로 식인인과 혁명가의 사이에 존재하는 중간자로 해석 될 수 있다.
3. '광인일기'에서 나타나는 여러 가지 특징들
1 시각적 이미지의 강조: 효과적이고 리얼한 내용전달과 현장감
- '검은 얼굴에 이를 희게 드러낸 한 무리의 사람들'과 그들의 무서운 눈초리에 대한 묘사를 통해 '정상'적인 사람들이 '광인'에 대해 가지고 있는 적대감과 '광인'이
그들에게서 느끼는 단절감을 잘 표현
- 식사에 나온 생선의 '하얗게 굳어진 눈과 튀어나온 입'을 통해 사람을 잡아먹으려고 하는 인간의 모습을 묘사
2 부정적인 인물(광인)을 주인공으로 설정함: 세상의 부조리함과 '암흑'이라는 측면을 더 더욱 부각시킴
3 우매하고 무지하면서도 봉건체제에 깊게 함몰되어 있는 민중의 전형을 제시하고, 이에 반해 인습을 타파하고 봉건 질서를 깨뜨리려는 발전적인 주인공의 대결구도를 설정함 으로써 민중을 계몽하고자 하는 의지를 강하게 나타냄. 특히 '아이들을 구원하라'는 구 절로 글을 맺으면서 새로운 세대와 그들을 통한 세상의 발전가능성을 시사함
4 아이러니의 미학
- 처음에 단순히 광기를 가진 것으로 묘사되던 광인은 점차 그의 망상이 심각한 사회 적 진실을 담고 있는 것으로 드러나기 시작하면서, 표면적인 광기의 심화과정이 오 히려 명철한 사회 고발이라는 심층적 가치전도를 이루게 됨.
- 서문에서는 본문의 아이러니를 모르는 것처럼 언급하지 않고, 일기의 주인공이 병이 나아 관직에 나가기를 기다리고 있다고 이야기함으로써 본문의 아이러니적인 진실 을 더욱 부각시키게 되며 이러한 서문과 본문의 중첩 역시 하나의 아이러니로서 자 리잡게 됨.
- 광인은 봉건에 반대하고 근대를 추구하는 계몽자이며, 누구보다 각성해 있고 과학적 인 사고를 하고 있는 정상인이나 오히려 이러한 정상인이 봉건에 매몰되어 있는 '비 정상인'들의 눈에는 '광인'으로 비추어 지게 되며, 점점 미친 사람으로 매도되게
되는데, 여기서도 '정상인-광인, 비정상인(식인인)-정상인' 으로 전도되어 있는
아이러니를 발견할 수 있음.
글 후반부에 이르러서 그는 '장래에 식인종은 이 세상에서 용납되지 못한다'는 것과, 참다운 사람들의 손에 의해서 식인종들이 소멸될 것이라는 것을 인식하였고, 사람을 잡아먹는 현상이 없는 사회를 건립하고 사람을 잡아 먹지 않는 참다운 사람이 되어야 한다는 주장을 펼친다. 이것이 바로 광인의 이상이며, 그는 이를 위하여 사람을 잡아먹는 자들, 특히 그의 가장 가까운 형에게 이러한 이상을 권유하는 방식을 채용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그는 자기 자신도 은연중에 식인을, 특히 자신의 누이동생을 먹었을지도 모른다는 생각과 함께 "아이들을 구원하라"고 외치며 사람을 잡아먹은 적 없는 새 세대들에게 희망을 기탁하게 된다. 이러한 외침이 비록 무력할지라도, 이는 미래에 대한 미친 사람의 희망을 반영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이점에서 광인은 계몽자로 식인인과 혁명가의 사이에 존재하는 중간자로 해석 될 수 있다.
3. '광인일기'에서 나타나는 여러 가지 특징들
1 시각적 이미지의 강조: 효과적이고 리얼한 내용전달과 현장감
- '검은 얼굴에 이를 희게 드러낸 한 무리의 사람들'과 그들의 무서운 눈초리에 대한 묘사를 통해 '정상'적인 사람들이 '광인'에 대해 가지고 있는 적대감과 '광인'이
그들에게서 느끼는 단절감을 잘 표현
- 식사에 나온 생선의 '하얗게 굳어진 눈과 튀어나온 입'을 통해 사람을 잡아먹으려고 하는 인간의 모습을 묘사
2 부정적인 인물(광인)을 주인공으로 설정함: 세상의 부조리함과 '암흑'이라는 측면을 더 더욱 부각시킴
3 우매하고 무지하면서도 봉건체제에 깊게 함몰되어 있는 민중의 전형을 제시하고, 이에 반해 인습을 타파하고 봉건 질서를 깨뜨리려는 발전적인 주인공의 대결구도를 설정함 으로써 민중을 계몽하고자 하는 의지를 강하게 나타냄. 특히 '아이들을 구원하라'는 구 절로 글을 맺으면서 새로운 세대와 그들을 통한 세상의 발전가능성을 시사함
4 아이러니의 미학
- 처음에 단순히 광기를 가진 것으로 묘사되던 광인은 점차 그의 망상이 심각한 사회 적 진실을 담고 있는 것으로 드러나기 시작하면서, 표면적인 광기의 심화과정이 오 히려 명철한 사회 고발이라는 심층적 가치전도를 이루게 됨.
- 서문에서는 본문의 아이러니를 모르는 것처럼 언급하지 않고, 일기의 주인공이 병이 나아 관직에 나가기를 기다리고 있다고 이야기함으로써 본문의 아이러니적인 진실 을 더욱 부각시키게 되며 이러한 서문과 본문의 중첩 역시 하나의 아이러니로서 자 리잡게 됨.
- 광인은 봉건에 반대하고 근대를 추구하는 계몽자이며, 누구보다 각성해 있고 과학적 인 사고를 하고 있는 정상인이나 오히려 이러한 정상인이 봉건에 매몰되어 있는 '비 정상인'들의 눈에는 '광인'으로 비추어 지게 되며, 점점 미친 사람으로 매도되게
되는데, 여기서도 '정상인-광인, 비정상인(식인인)-정상인' 으로 전도되어 있는
아이러니를 발견할 수 있음.
추천자료
이효석의 후기 단편소설에서의 자연
현대소설론 - 이익상의 흙의 세례 분석
대표적인 18세기 영문학 소설들
연암박지원의 소설에 나타난 풍자성
[중국문학][개혁문학][민간문학][강호시파][구정량][도연명]중국문학과 개혁문학, 중국문학과...
한국 현대 소설가
[독후감] 김훈의 소설 ‘남한산성’
[독후감] 나는 편의점에 간다 - 소설 속 주인공처럼 또는 현대의 모든 이들처럼. _ 김애란 저
독후감 [빨강머리 앤이 하는 말] (백영옥 저) (제목: 진정한 관계 속에서 행복을 꿈꾸며) 독...
독후감 [소중한 경험: 김형경 독서 성장 에세이] 독서감상문, 독서세미나, 독서토론, 독서모...
로빙화 (저자 중자오정) 독후감, 독서감상문, 독후일기, 독서일지, 독서토론, 서평, 독서세미나
[독후감] 개의 심장 (불가코프 저) (러시아 소설 독서감상문)
채동번의 중화민국역사소설 민국통속연의상 16회 17회 18회 한문 및 한글번역
독후감) 소설처럼 아름다운 수학 이야기 (김정희 저자)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