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론
본론
1.줄거리
2.실존주의
3.실존주의를 통해 본 '아내의 상자'
①불안과 죄책감, 죽음
②선택, 자유
③인간 본질
④세계 내 존재
⑤해석된 세계
⑥남편->실존주의 치료에 부적합자
결론
본론
1.줄거리
2.실존주의
3.실존주의를 통해 본 '아내의 상자'
①불안과 죄책감, 죽음
②선택, 자유
③인간 본질
④세계 내 존재
⑤해석된 세계
⑥남편->실존주의 치료에 부적합자
결론
본문내용
서 점심을 먹기도 하면서. 날씨가 좋아지자 주말 농장인지에 다닌다고 부쩍 교외로 돌아다니는 눈치였다. 어떤 토요일인가는 야근을 마치고 돌아온 나보다 더 늦게 집에 도착한 적도 있었다.'
아내는 열성에서 우성이 되고 있다고 느낀다. 삶에 대한 자신의 의미를 찾아야 하는 책임감을 완수하고 있다고 믿는 아내. 그러나 외도로 이어지는 이 같은 행동은 책임감이 불안을 야기하며 이 모두는 실존적 소여임을 인간본질은 과정임을 깨닫지 못하는 아내의 임시방편적인 행동에 불과하다.
④세계 내 존재
'새집에 이사를 온 뒤에는 그 친구들에게도 바뀐 전화번호를 알리지 않은 모양이었다.'
아내는 외출도, 누군가 집에 오는 것도, 부모님도 친구도 없다.
세계 내에 존재하며 세계와 함께하는 인간이란 점에서 아내는 인간의 특징을 부정, 스스로 고립되었다.
⑤해석된 세계
'어느 날 나는 침대에서 그녀의 눈시울이 더 이상 젖지 않는다는 것을 깨달았다. 언제부터인지 내 목을 꼭 껴안지도 않았다. 대신 샤워를 안 했다든지 감기에 걸렸다든지 하는 핑계를 대며 피하는 일은 없어졌다. 내 허리의 움짐임에 아찔한 가속도가 붙는 순간 갑자기 가슴을 밀치며 잠깐만요 하면서 입덧을 하는 임부처럼 욕실로 뛰어 들어가는 일도 이제는 물론 없었다. 나는 어떤 방식으로든 아내가 제 자리를 찾아가고 있다고 해석했다.'
폐쇄적 성격의 아내가 개방적인 성격으로 변해 가고 있는 것이 제자리라 생각하는 남편, 그러나 이것은 아내에게 일탈을 의미한다. 같은 상활임에도 사건을 보는 눈에 따라 그 의미가 달라진다.
⑥남편->실존주의 치료에 부적합자
'나는 무엇에든 잘 적응하는 편이었으며 그러니까, 상식적인 사람이었다.'
아내와 대조되는 인물, 그렇다고 유사한 인물유형도 모두 아니다. 아내는 실존적 소여를 깨닫지 못하고 허전함에 고통스러워 하나 남편은 그것을 적응이라 말한다. 이는 소여를 받아들였다기 보다는 선택이나 자유의 회피자체를 의식하지 못하는 듯 하다.
결론
이 소설 속에서 그 누구도 행복한 끝을 맞이하지 못한다. 정신병원에서 살게 되는 아내도, 자기 손 으로 정신병원에 아내를 보냈지만 잊지 못해 이사를 가는 남편도, 옆집 부부도 그 어느 누구에게도 해피엔딩은 없다.
그것이 이상한가? 왜 꼭 해피엔딩이어야 하는가?
사람들은 늘 문제에 답이 있는 것이 자명하다고 생각한다. 그래서 해답 없는 결말에 허전함을 느낀다. 그러나 해답이 없다는 것이 실존주의자들의 진리이다. 문제의 답은 없다. 문제를 푸는 과정만 있을 뿐이다.
개인적으로 은희경 소설을 매우 좋아 하는데다가 실존주의로 상답이론 중에 가장 흥미 있는 이론 이였는데 이렇게 착착 스토리가 맞아 기분이 좋았다. 실존주의자들을 비관자나 방관자 정도로 여길지도 모른다.
그것이 사실이라도 상관없다.
삶이란 근원적으로 고통을 소유한 것이라는 데 반기를 드는 것 우스운 행동 같다.
꼭 행복해야할 이유를 나는 모르겠다. 삶은 상징 일뿐 의미가 아니다. 우리가 만든 삶의 의미 때문에 진정한 삶이 어쩌면 왜곡되고 있는지도 모를 일이다.
아내는 열성에서 우성이 되고 있다고 느낀다. 삶에 대한 자신의 의미를 찾아야 하는 책임감을 완수하고 있다고 믿는 아내. 그러나 외도로 이어지는 이 같은 행동은 책임감이 불안을 야기하며 이 모두는 실존적 소여임을 인간본질은 과정임을 깨닫지 못하는 아내의 임시방편적인 행동에 불과하다.
④세계 내 존재
'새집에 이사를 온 뒤에는 그 친구들에게도 바뀐 전화번호를 알리지 않은 모양이었다.'
아내는 외출도, 누군가 집에 오는 것도, 부모님도 친구도 없다.
세계 내에 존재하며 세계와 함께하는 인간이란 점에서 아내는 인간의 특징을 부정, 스스로 고립되었다.
⑤해석된 세계
'어느 날 나는 침대에서 그녀의 눈시울이 더 이상 젖지 않는다는 것을 깨달았다. 언제부터인지 내 목을 꼭 껴안지도 않았다. 대신 샤워를 안 했다든지 감기에 걸렸다든지 하는 핑계를 대며 피하는 일은 없어졌다. 내 허리의 움짐임에 아찔한 가속도가 붙는 순간 갑자기 가슴을 밀치며 잠깐만요 하면서 입덧을 하는 임부처럼 욕실로 뛰어 들어가는 일도 이제는 물론 없었다. 나는 어떤 방식으로든 아내가 제 자리를 찾아가고 있다고 해석했다.'
폐쇄적 성격의 아내가 개방적인 성격으로 변해 가고 있는 것이 제자리라 생각하는 남편, 그러나 이것은 아내에게 일탈을 의미한다. 같은 상활임에도 사건을 보는 눈에 따라 그 의미가 달라진다.
⑥남편->실존주의 치료에 부적합자
'나는 무엇에든 잘 적응하는 편이었으며 그러니까, 상식적인 사람이었다.'
아내와 대조되는 인물, 그렇다고 유사한 인물유형도 모두 아니다. 아내는 실존적 소여를 깨닫지 못하고 허전함에 고통스러워 하나 남편은 그것을 적응이라 말한다. 이는 소여를 받아들였다기 보다는 선택이나 자유의 회피자체를 의식하지 못하는 듯 하다.
결론
이 소설 속에서 그 누구도 행복한 끝을 맞이하지 못한다. 정신병원에서 살게 되는 아내도, 자기 손 으로 정신병원에 아내를 보냈지만 잊지 못해 이사를 가는 남편도, 옆집 부부도 그 어느 누구에게도 해피엔딩은 없다.
그것이 이상한가? 왜 꼭 해피엔딩이어야 하는가?
사람들은 늘 문제에 답이 있는 것이 자명하다고 생각한다. 그래서 해답 없는 결말에 허전함을 느낀다. 그러나 해답이 없다는 것이 실존주의자들의 진리이다. 문제의 답은 없다. 문제를 푸는 과정만 있을 뿐이다.
개인적으로 은희경 소설을 매우 좋아 하는데다가 실존주의로 상답이론 중에 가장 흥미 있는 이론 이였는데 이렇게 착착 스토리가 맞아 기분이 좋았다. 실존주의자들을 비관자나 방관자 정도로 여길지도 모른다.
그것이 사실이라도 상관없다.
삶이란 근원적으로 고통을 소유한 것이라는 데 반기를 드는 것 우스운 행동 같다.
꼭 행복해야할 이유를 나는 모르겠다. 삶은 상징 일뿐 의미가 아니다. 우리가 만든 삶의 의미 때문에 진정한 삶이 어쩌면 왜곡되고 있는지도 모를 일이다.
추천자료
(18종문학분석-시) 당신을 보았습니다
(18종문학분석-시) 뎃상
(18종문학분석-시) 동천
(18종문학분석-시) 모란이 피기까지는
정신분석방법을 통해 본 이상문학
화왕계 - 작품 분석 및 문학사적 의의
김동인 문학의 분석 <감자>
[고전주의 문학][낭만주의 문학][사실주의 문학][자연주의 문학][상징주의][초현실주의][실존...
언어발달에 적합한 유아 문학작품을 2권 선정하여 작품에 대한 분석과 평가를 하시오
그림책의 정의 및 교육적 가치와 그림책의 종류, 특징을 기술하고 해당되는 동화책 1권씩 선...
[문학교육론][교과서 분석][4. 사람이 아름답다]
[문학의 이해 공통] 프로이트의 심리주의 비평의 방법론을 적용하여 자신이 애독, 애청한 소...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