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마트 경영전략
본 자료는 8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해당 자료는 8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8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월마트 경영전략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1. 월마트를 선택하게 된 이유와 경영전략을 분석 하는 이유
2. 월마트 소개와 현황
3. 월마트의 창업자 샘월튼은 누구인가?

Ⅱ. 본론(경영전략)
1. ELP 및 ELC
2. 정보 시스템의 전략
1) 정보시스템의 도입 현황
2) 하이테크의 적극 활용
3) QR(Quick Responce)
4) 배송 센터를 핵으로 한 공급시스템
3. 합리적 경영과 소비자 만족의 경영정책
4. 막강한 구매력과 자금력
5. Buy American의 캠페인
6. 협력 업체와의 관계 강화
7. 시장 진입 전략

Ⅲ. 월마트와 이마트의 경영전략 비교

Ⅳ. SWOT분석

Ⅴ. 결론
1. 한국의 월마트가 살아 남기 위한 경영전략
2. 월마트의 해외 시장 성공적 진입을 위한 대안

<참고문헌>

본문내용

가는 비용이 더 클 것이기 때문이다.
(3) 지역 친화도 강화-복합 문화 공간화 등(Enjoyable)
미국 같은 거대한 나라에서는 교통, 도로의 시설이 잘되어 있어 물건의 가격이 저렴하다는 소문이 돌면 너도나도 싼 점포에 가서 물건을 사지만 우리 나라 같이 불과 10~20km를 차량으로 이동하는 데 30분 이상이 소요될 정도로 교통 체증이 심하거나 차를 이용한 쇼핑 문화가 아직은 덜 형성된 나라에서는 외곽 지역 중심의 틈새 시장 공략은 불가능하다. 따라서 어쩌다 한번 찾아오는 원거리 고객보다는 매일매일 찾아오는 단골 고객들에게 보다 심혈을 기울이고 입주 지역에 대한 친화도를 높이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오락?편익을 제공하고 지역 문화, 정보 센터로의 기능을 강화시켜 월마트 매장을 온 가족이 함께 이용하고 즐길 수 있는 복합 문화 공간으로 만드는 방법이 유용하다. 이로서 고객의 쇼핑 만족도 및 월마트에 대한 이미지를 제고함으로써 도심의 잠재 고객 및 단골 고객들을 지속적으로 끌어들이고 OK CASHBACK 방식 및 회원제를 도입하여 고객 관리의 강화 및 고객 데이터베이스를 장기적으로 수집 분석하여 종국에는 1:1 맡춤 서비스까지 실시하는 방법이 유용하다. 이를 위해서는 주부들이나 학생들에게 문화강좌 및 이벤트 행사 개최, 탁아소 시설 확충, 영화관이나 레스토랑 등의 부대시설을 확충하여 고객이 제일 많은 주말에 고객을 끌어들일 수 있는 방안이 유용할 것이다.
(4)전자 상거래 구축(E-commerce)
현재 한국에서도 점차 전자 상거래를 이용해서 물건을 구매하는 소비자들의 수가 증가하고 있다. 그리고 이미 월마트 본사는 미국 시장에서 전자 상거래를 이용하고 있기 때문에 한국 시장에서 전자 상거래를 구축하는 데에 드는 비용이 다른 경쟁업체들보다 저렴하게 들 수 있다. 더욱이 매장 비용을 현저하게 줄여서 보다 저렴한 가격으로 소비자에게 상품을 제공하는 전자 상거래는 월마트의 ‘EDLP’(every day low price) 전략을 보다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증가추세에 있는 네티즌들에게 월마트의 뛰어난 물류시스템과 선진성을 알릴 수 있는 기회로 작용할 수 있다.
(5) 택배서비스(Time)
현재 우리 나라의 자가용 숫자는 매년 증가하고 있지만, 아직도 미국과 같이 자동차의 생활화가 이루어졌다고 보기에는 어렵다. 또한 도로 확장에 한계가 있기 때문에 자가용 이용이 지금보다도 더 기하급수적으로 늘 것이라는 기대를 하기에도 어려움이 있다. 한편, 할인점에 가서 낱개 상품 몇 개만을 구입해서 오는 소비자는 거의 없을 것이다. 일반적으로 할인점에 가서는 상당히 많은 상품을 구매하기 마련이다. 그러므로 할인점 이용에는 구입한 물건을 쉽게 집으로 운반할 수 있도록 자동차를 이용하는 것이 좋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상황이 미국과는 많이 다르기 때문에, 자가용이 있는 사람만을 타겟으로 설정해서, 무작정 소비자가 할인점으로 찾아올 것이라고 기대를 해서는 안될 것이다. 자가용이 없는 사람도 할인점에 와서 물건을 구입하고, 또 구입한 물건을 집까지 편안하게 운반되어지도록 택배 서비스의 제공이 필요하다.
그리고 대부분의 소비자들이 슈퍼나 백화점에 물건을 주문하고서 그 주문한 물건이 언제나 몰라서 집에서 하염없이 기다렸던 경험이 있을 것이다. 또한 할인점에 쇼핑을 하고 나서 바로 집으로 돌아가는 사람이 있는가 하면, 이왕 집밖으로 나온 김에 근처 다른 곳을 둘러보려는 사람들도 있을 것이다. 이런 고객들에게 편의를 제공하고 고객들의 시간을 절약하기 위해서 일반적인 택배 서비스인 DOOR to DOOR 만이 아니라, 고객의 동네 근처에 있는 24시간 영업을 하는 편의점으로 물건을 배달해주고, 고객이 편한 시간에 이를 찾아가는 시스템의 적용이 중요하다고 본다. 또한, 일반 편의점에는 매일 정기적으로 물건 운반 차량이 도착하기 때문에 이를 이용한다면 택배비용을 더욱 절감시켜서 고객에게 더욱 높은 만족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6) 중산을 겨냥한 이미지 제고
월마트가 가지고 있는 브랜드 파워는 대단하다. 월마트가 성공한 미국이나 캐나다 쪽의 소비자들에게는 '할인점하면 월마트, 물건을 제일 싸게 파는 곳은 월마트'라는 인식이 자리 잡고 있다. 하지만 우리나라 소비자에게 월마트는 인지도 및 이미지에 있어서 높게 평가받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앞으로 월마트는 미국의 소비자가 가진 것과 같은 이미지와 인지도를 한국의 소비자에게 전달할 수 있는 방식을 선택해야 할 것이다. 우리나라는 전체 국민의 80%이상이 자신은 중산층이나 또는 중산층보다는 조금 더 부유하게 생각하지만 이는 실제와는 차이가 있다고 한다. 이는 우리나라 소비자가 중산층 지향적인 성격이라는 것을 뜻한다. 또한 실제 할인점 이용 고객이 이러한 성향을 지니고 있다는 점을 감안하여 ‘중산층은 합리적입니다’, ‘월마트를 이용하는 당신은 합리적입니다’라는 문구 같은 것을 우리의 소비자에게 각인시키는 방법이 유용할 것이다. 이를 위해 월마트는 지금과 같이 90%이상을 한국 제품으로 공급받는 방식을 탈피하여 국내 선호도가 높은 다양한 외국 유명 메이커의 질 좋은 제품을 값싸게 들여와 판매함으로써 경쟁업체와 제품 구색의 차별화 및 가격 차별화를 실시함과 동시에 대폭적인 광고를 통해 중산층의 구매 의욕을 고취시키는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 유용할 것이다.
< 참고문헌 >
http://www.mlmkorea.co.kr/h/top/nn6(대한상공회의소 선정 98년 유통업계10대뉴스)
/ (월마트 보고서)
- 경향신문 1996. 2. 26. 세계 유통업체 ‘황색대륙’공략혈전
- 내외경제 1998. 11. 23.
- 서울경제신문 10. 22.
- 인천 정보통신
- 최고의 상인 / 최대의 부호 / 샘월튼 / 우리시대사
- 월마트의 고객은 사장이다 / 1995. 4. 25. / 한국수퍼체인협회 출판부 / 지은이:모리 다츠오
- 유필화 / 사례로 배우는 경영의 슬기 / 1999 / 한국언론자료간행회
- 일경비즈니스편(도근우옮김) / 강한회사II / 1996 / 창현출판사
- 한경비지니스 ‘공룡원마트를 벗긴다’ 1998. 7. 28. 138호

키워드

  • 가격3,000
  • 페이지수23페이지
  • 등록일2006.08.26
  • 저작시기2004.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5538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