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아건강교육 - 재난 - 신체표현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 61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재난 및 안전관리기본법
1. 총칙
2. 재난의 예방
3. 응급대책

Ⅱ. 신체표현 놀이

Ⅲ. 부분수업 계획안

Ⅳ. 발표

*참고문헌

본문내용

그럼 선생님이 퀴즈를 내볼게요. 소화기를 사용할 때 바람이랑 똑바로 보고 사용해야 할까요, 아니면 바람이랑 반대방향으로, 바람을 등지고 서서 사용해야 할까요?
C: 반대방향이요~
T: 네, 맞았어요, 친구들 모두 잘 대답했어요, 그럼 우리 멋진 소방관이 되어서 불을 꺼 보아요~!
<준비물>
PPT자료
(불이 난 장면, 대피하는 모습의 스틸컷),
긴장감이 흐르는 음악,
큰 천, 소화기
*배경으로 긴장되고, 긴박한 분위기의 음악을 틀어준다
*천을 흔드는 역할의 아이들은 제자리에 가만히 서있는 것이 아니라 실제 연기처럼 이동한다.
*처음에는 허리부분에서 흔들던 천을 점점 밑으로 내리며 진화되는 과정을 표현한다.
마무리
(5분)
오늘 활동을 하고 나서의 생각과 느낌을 자유롭게 나누고 정리한다.
평 가
* 활동이 길어서 자칫하면 유아의 집중력이 떨어질 수 있지만 영상과 연계활동으로 계획한 미술활동은 유아의 흥미를 불러일으킬 수 있고, 추후활동이 활동적인 신체표현이라 큰 무리는 없을 것이라 예상된다.
* 안전교육을 하루만에, 그것도 한 활동으로 완벽하게 계획하고 또한 유아들에게 완벽히 습득하게 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대피하기, 신고하기, 소화기 사용법 익히기를 하루씩 나누어서 여러 날 걸쳐 하든지 (이야기 나누기뿐만 아니라 다양한 활동으로 계획) 아니면 주간 계획의 주제를 ‘화재 시 안전대책’으로 하여 유아들에게 지속적이고, 반복적으로 교육하는 쪽이 좋을 것 같다.
Ⅳ. 발표
활동주제
재난
소주제
화재
활동영역
신체표현 - 체험
시 간
5분
준비물
모형 소화기, 천, 불 그림, 음악, 소방관 옷
구 분
활동내용
비고
(사후활동 중)
5분
<신체 표현 - 체험>
* 긴장감 흐르는 음악을 들으며 동요하지 않고 침착하게 대피 하는 요령을 익히고 몸으로 표현해본다.
* 직접 만든 소화기를 가지고 사용요령을 익힌다.
▶ 불이 났어요!! 어떻게 해야 해요? (화재 시, 대피하는 모습 표현하기)
T: 앗 불이 났어요!! 우리 불이 났을 때 어떻게 해야 하는지 배웠었죠?
C: 네~~
T: 어떻게 해야 한다고 했었죠?
C1: 몸을 숙여서 밖으로 나가요.
C2: 코랑 입은 막아야 되요.
T: 와~ 우리 친구들 너무 잘 기억하고 있네요. 그럼, 불이 났을 때는 호들갑스럽게 허둥대는 게 좋을까요? 아님 침착하게 행동하는 게 좋을까요?
C: 침착하게요~
T: 그런데 정말 불이나면 무섭고, 두려워서 침착하게 행동하기가 어려울 거예요. 그래서 선생님이 조금 뒤에 실제 대피하는 연습을 할 때 긴장되는 음악을 틀어 줄 건데요, 긴장감 속에서도 침착하게 마음을 가다듬고 행동하는 연습을 한 번 해 보아요~
C: 네~
T: 선생님이 불과 연기 역할을 할 *명의 친구들을 뽑을 거예요. 누가 좋을까?
C: 저요!
(*명의 아이들을 뽑는다.)
T: 이제 선생님이 이 친구들에게 커다란 천을 줄 건데요, 친구들이 천을 흔들면 그것을 불과 연기라고 생각하고 나머지 친구들은 배운 것을 떠올려서 밖으로 나가는 모습을 몸으로 표현해보아요.
C: 네~
T: 참, 불을 피해 밖으로 나가다가 혹시 등이나 몸에 불이 붙으면 어떻게 하죠?
C: 꺼요~
T: 어떻게 꺼야할까요? 파닥파닥 뛰어 다닐까요?
C: 아니요~
T: 그럼요?
C: 바닥에 대고 굴러요.
T: 맞아요, 불이 난 곳을 바닥에 대고 굴러야 해요. 친구들이 대피하는 동안 선생님이 이 불모양의 그림을 친구들 몸에 붙일 거예요. 그럼 불이 붙은 친구는 배운 대로 불을 꺼야 하구요. 바르게 불을 끈 친구의 불모양 그림은 선생님이 다시 떼어 갈 거예요, 그럼 실제로 한 번 해 볼까요?
▶나는야 소방관 (소화기 사용방법 익히기)
T: 이번에는 우리 친구들이 직접 불을 끄는 멋진 소방관이 되어보는 거예요.
C: 와~~ 신난다.
T: 그런데, 우리 친구들이 소방관이 되려면 꼭 알아야 할 것이 있대요, 그것은 바로 소화기 사용방법이에요. 조금 전에 우리 친구들 소화기 사용방법에 대해 배웠었죠? 그리고 자기만의 소화기를 꾸며보기도 했고요.
C: 네~ 내가 제일 잘 꾸몄어요.
C: 아니야~ 내가 그린 그림이 더 멋져!
T: 선생님이 볼 때는 친구들 모두 다 잘 꾸몄어요.~ 그럼, 친구들이 꾸민 이렇게 멋진 소화기를 가지고 우리 직접 불을 꺼 보도록 할까요?
C:네~
T: 우선 맨 앞에 앉은 다섯 명의 친구들이 먼저, 좀 전처럼 천으로 불을 표현하는 거예요. 그럼 그 뒷줄의 다섯 명의 친구들은 소방관이 되어서 소화기로 불을 끄고요. 다 끄면 불이 되었던 친구들은 맨 뒷줄에 가서 앉고 소방관이었던 친구들이 이번엔 불이 되는 거예요. 그렇게 한 줄씩 나와서 모두 불을 꺼보아요.
C: 우와~ 내가 먼저 할래!
T: 차례차례 질서를 지켜가면서 해야 되겠지요?
C: 네~
T: 자, 친구들, 소화기 사용방법 기억이 나나요? 맨 먼저 어떻게 해야 한다고 했지요?
C: 핀을 빼요.
T: 맞아요, 안전핀이라고 하죠? 맨 먼저는 안전핀을 뽑아야 해요. 그 다음 손잡이를 잡고 어떤 식으로 호스를 흔들어야 할까요?
C: 왼쪽, 오른쪽 옆으로요!
C: 빗자루로 바닥 쓰는 것처럼요!
T: 어머, 우리 친구들 다 똑똑박사인가봐요~ 그럼 선생님이 퀴즈를 내볼게요. 소화기를 사용할 때 바람이랑 똑바로 보고 사용해야 할까요, 아니면 바람이랑 반대방향으로, 바람을 등지고 서서 사용해야 할까요?
C: 반대방향이요~
T: 네, 맞았어요, 친구들 모두 잘 대답했어요, 그럼 우리 멋진 소방관이 되어서 불을 꺼 보아요~!
*배경으로 긴장되고, 긴박한 분위기의 음악을 틀어준다
*천을 흔드는 역할의 아이들은 제자리에 가만히 서있는 것이 아니라 실제 연기처럼 이동한다.
*처음에는 허리부분에서 흔들던 천을 점점 밑으로 내리며 진화되는 과정을 표현한다.
* 참고 문헌
김영명 외 (2002), 유아의 놀이운동 (이론과 실기), 동아대학교 출판부
* 참고 사이트
행정자치부 : http://www.mogaha.go.kr/
GO119 어린이 안전학교 : http://www.go119.org/
*목 차
Ⅰ. 재난 및 안전관리기본법
1. 총칙
2. 재난의 예방
3. 응급대책
Ⅱ. 신체표현 놀이
Ⅲ. 부분수업 계획안
Ⅳ. 발표
*참고문헌
  • 가격3,000
  • 페이지수61페이지
  • 등록일2006.06.17
  • 저작시기2006.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5543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