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악마의 얼굴을 한 파시즘
1.反파시즘적 역사서술 (~1960년대)
2.강제적 합의와 재생적 합의
Ⅱ.강제적 합의/동의 혹은 합의/동의의 조직
1.정치적 사회화-교육, 노동자 여가조직을 통한 파시스트적 인간 양성
Ⅲ. 문화적 합의 : 정치의 미학화와 정치의 신성화
1.파시즘과 문화의 이분법적 사고 : 보비오(Norberto Bobbio)
2.정치의 미학화 : 벤야민(Walter Benjamin)
3.정치의 신성화 : 젠틸레(Emilio Gentile)
Ⅳ.대중의 반응과 합의/동의의 문제 : 파시즘의 기획에 대한 대중적 수용의 문제
<문제제기>
1.反파시즘적 역사서술 (~1960년대)
2.강제적 합의와 재생적 합의
Ⅱ.강제적 합의/동의 혹은 합의/동의의 조직
1.정치적 사회화-교육, 노동자 여가조직을 통한 파시스트적 인간 양성
Ⅲ. 문화적 합의 : 정치의 미학화와 정치의 신성화
1.파시즘과 문화의 이분법적 사고 : 보비오(Norberto Bobbio)
2.정치의 미학화 : 벤야민(Walter Benjamin)
3.정치의 신성화 : 젠틸레(Emilio Gentile)
Ⅳ.대중의 반응과 합의/동의의 문제 : 파시즘의 기획에 대한 대중적 수용의 문제
<문제제기>
본문내용
리아 파시즘은 최소 2차 세계대전 발발 전까지는 consensus를 수립하는데 성공했다고 봄
③비판 : 대중의 열정적이고 자발적인 지지가 존재했다는 사실 입증하는 사례가 많음
3.파시즘 연구의 방향
이탈리아인들의 일상생활에 관한 세밀한 분석과 합의/동의 창출 메커니즘에 대한 정교한 연구가 선행되어야 함.
=============================================================================
<문제제기>
1.파시즘에 대한 저항의 부재가 곧 그것에 대한 합의/동의라고 볼 수 있는가?
2.만약 파시즘이 단순히 강제적 동의가 아닌 상당부분 대중에 의한 자발적 동의에 의해 이루어졌다는 사실이 입증되었다고 가정한다면, 자발적 동의에 기초한 이데올로기는 정당한가?
③비판 : 대중의 열정적이고 자발적인 지지가 존재했다는 사실 입증하는 사례가 많음
3.파시즘 연구의 방향
이탈리아인들의 일상생활에 관한 세밀한 분석과 합의/동의 창출 메커니즘에 대한 정교한 연구가 선행되어야 함.
=============================================================================
<문제제기>
1.파시즘에 대한 저항의 부재가 곧 그것에 대한 합의/동의라고 볼 수 있는가?
2.만약 파시즘이 단순히 강제적 동의가 아닌 상당부분 대중에 의한 자발적 동의에 의해 이루어졌다는 사실이 입증되었다고 가정한다면, 자발적 동의에 기초한 이데올로기는 정당한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