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람직한 교사상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바람직한 교사상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교육의 필요성
2. 바람직한 교사의 필요성
3. 바람직한 교육자의 자세
4. 학교에서 교사가 수행해야 하는 역할
5. 이상적인 교육자들
6. 그들을 통해 바라본 이상적인 교사상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포기했던 한 사람의 아이를 자신의 노력과 헌신으로 그 누구보다 훌륭한 인물로 만들어놓은 앤 설리번은 참된 교육자라 불릴 자격이 충분하다고 생각한다.
(6) 그들을 통해 바라본 이상적인 교사상
위에서 페스탈로찌와 앤 설리번의 사례를 통해 참된 교육자가 어떤 교육자인지를 볼 수 있었다. 페스탈로찌와 앤 설리번의 사이에는 몇 가지 공통점을 들 수가 있다.
우선 자신의 이익을 생각하지 않는다는 점이다. 페스탈로찌는 평생에 걸쳐 자신의 사욕을 채우기 위해 교육을 한 적이 없으며 그의 교육대상은 언제나 헐벗고 굶주리는 교육의 혜택에서 제외된 아이들이었다. 그는 한명의 아이라도 더 가르치고 육성시키기 위해 농촌학교와 고아원을 설립하였으며 그와 더불어 어른들의 사상을 계몽시켜 더 많은 아이들이 차별받지 않고 근대적 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노력하였다. 앤 설리번 선생의 경우 누구도 치료할 수 없다던 심각한 지경의 헬렌 켈러를 학생으로 받아들여 자신의 이익을 위해 헬렌 켈러를 가르친 것이 아니었다. 만일 앤 설리번이 자신의 이익을 위해 돈을 위해 헬렌 켈러를 가르치려 하였다면 애초에 그런 참된 교육도 불가능 했을 뿐더러 같은 조건에 좀 더 정상적인 아이를 찾아 떠나고 말았을 것이다.
두 번째는 교육대상자에 대한 헌신과 열정이다. 다른 말로 노력이라고도 할 수 있을 것이다. 과연 무엇을 얻기 위해서 교육을 하는 것인가. 이것이 교육자들이 왜 자신들의 제자를 왜 가르치고 올바른 길로 이끌려 노력을 하는가의 문제인 것이다. 물론 위에서 말했듯 자신의 생계를 유지하기 위해 제자를 기르는 것일 수도 있다. 물론 그것도 하나의 이유가 되겠지만 그것보다 더 큰 하나는 그 아이들에게 헌신할 수 있는 희생정신이 있고 그들을 올바른 길로 이끌려는 열정이 있기 때문이라 난 생각한다. 말 그대로 페스탈로찌나 앤 설리번 선생의 경우, 당장이라도 그만두고 싶고 포기하고 주저앉아 버리고 싶었던 순간이 수없이 많았을 것이다. 그러나 그들의 열정, 한명의 아이라도 더 교육으로써 바른길로 이끌어주고 싶다는 그런 열정, 내가 지금 이 아이를 포기한다면 그 누가 이 아이에게 빛을 줄 것인가 하는 그래서 내가 이 아이에게 빛을 주어야만 하겠다는 그런 열정으로써 그들은 견뎌낼 수 있었던 것이다. 또한 이 열정에 비할 수 있는 것이 바로 아이에 대한 헌신이다. 페스탈로찌는 평생을 가난한 아이들의 교육에 몸담았다. 과연 페스탈로찌가 얻을 수 있던 경제적 대가가 얼마나 되었을지는 알만하다. 그러나 그는 헌신으로 아이들을 가르치고 길러낸 것이다. 앤 설리번의 경우도 그렇다. 그는 뛰어난 가정교사로 그 조건에 충분히 다른 정상적인 아이들을 가르칠 수 있었다. 그러나 그는 헬렌 켈러가 빛을 보게 되기를 바랐고 그것을 바탕으로 한 헌신적인 노력이 뒷받침되기 때문에 헬렌 켈러는 지금 우리의 기억 속에 남을 수 있는 역사적 인물이 된 것이다.
Ⅲ. 결론 - 우리나라 교육자들이 나아가야 할 길
요즘 뉴스나 신문지상의 기사들을 보게 되면 선생님의 권위가 과거에 비해 현저히 떨어진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과거의 참된 교육자들에 비해 교육자 같지 않은 선생님들이 많은 것도 현실이다. 어떻게 교육자의 탈을 쓰고 저런 행동을 할 수 있는가하는 행태를 보여주는 선생들이 늘어나고 있는 것이다. 사실 우리나라의 교육제도 자체가 오직 대학입학만을 목표로 한 주입식 교육이라는 점에서도 큰 문제점을 찾을 수 있다. 이런 주입식 교육으로 인해 선생님들은 대학입학을 위해서만 존재하는 녹음기 같은 존재로 전락하는 것이다. 하지만 위의 경우에서 보듯이 어려운 환경은 얼마든지 극복할 수 있다. 물론 선생님들에게만 이러한 열정과 헌신을 강요해서는 안 될 것이다. 교육 제도적으로도 선생님들이 참된 교육을 실현할 수 있도록 제도적 정비가 이루어 져야 할 것이며 학생들은 선생님을 더욱 존중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이런 것들의 바탕에 사회적으로 국가적으로 진심으로 선생님에 대한 존경심이 우러날 수 있도록 교육자들의 헌신과 열정이 필요할 것이다.
------------참고문헌------------
▣ 도서
1. 윤정일외, 『신 교육의 이해』 학지사 2003
2. 김종철외, 『최신 교사론』 교육과학사 1996
3. 오천석, 『스승』 교육과학사 1998
4. 정일환, 권상혁 『교사론 』교육출판사 1996
5. 한국교육개발원, 『한국교육비젼 2020』 한국교육개발원 1998
6. 한국교원 단체총연합회, 『예비교원을 위한 교사론』 교육과학사 1998
  • 가격1,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6.06.19
  • 저작시기2006.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5573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