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부신피질 기능검사
1) 혈청 코티졸(serum cortisol)
2) 혈청 알도스테론(serum aldostesone)
3) 혈청 부신피질 자극호르몬(serum ACTH)
4) 17-Hydroxycorticosteroid(17-OHCS)와
17-Ketosteroid(17-KS)
5) 소변내 유리 cortisol(Urinary free cortisol : UFC)
6) 소변내 알도스테론치
7) Dexamethasone 억제 검사.
8) 부신피질 자극호르몬 급속자극검사 (Rapid ACTH stimulation test)
9) X-선검사, 동맥 조영술, CT, MRI
2 부신수질 기능검사
1) 혈청 Catecholamine(분할측정)
2) 요중 Vanillylmandelic acid(VMA)
3) 요중 Homovanillic acid(HVA)
4) 전체 요중 catecholamine
1) 혈청 코티졸(serum cortisol)
2) 혈청 알도스테론(serum aldostesone)
3) 혈청 부신피질 자극호르몬(serum ACTH)
4) 17-Hydroxycorticosteroid(17-OHCS)와
17-Ketosteroid(17-KS)
5) 소변내 유리 cortisol(Urinary free cortisol : UFC)
6) 소변내 알도스테론치
7) Dexamethasone 억제 검사.
8) 부신피질 자극호르몬 급속자극검사 (Rapid ACTH stimulation test)
9) X-선검사, 동맥 조영술, CT, MRI
2 부신수질 기능검사
1) 혈청 Catecholamine(분할측정)
2) 요중 Vanillylmandelic acid(VMA)
3) 요중 Homovanillic acid(HVA)
4) 전체 요중 catecholamine
본문내용
의 소변내 대사산물
검사명
정상치
질병상태
요중 vanillylmandelic acid(VMA)
2~6mg/24시간
증가 : 갈색세포종
▶검사
- 24시간 수집된 소변의 VMA 양을 측정
cf> 주의점 ① 검사실 직원에게 24시간 동안 소변을 어느 곳에 보존할 것인지를 확인(냉장고, 특수 소변병, 시작 전에 HCl 첨가한 병 등)
② 수집 시간 정확히 : 처음 소변 수집 시작 시 배설한 소변은 버리고 다음날 그 시에 배설한 소변은 첨가
③ 배변전에 소변 모아서 소변이 대변에 오염되지 않도록
▶ 간호
- 바닐라, 커피, 차, 신 과일, 바나나, 견과류, 초콜릿 등을 소변 채집 전 3일간 제한
3) 요중 Homovanillic acid(HVA)
검사명
정상치
질병상태
요중
Homovanillic
acid(HVA)
15mg이상/ 24시간
신경아세포종(neuroblastoma) or 신경절종(ganglioneuroma)
cf> 갈색세포종에서는 상승하지 않음 → 이 종양은 주로 epinephrine를 분비하는데 epinephrine의 대사산물은 HVA가 아닌 VMA이기 때문
▶검사
- HVA : norepinephrine의 전구체인 dopamine 분해의 지표
- 신경능(neural crest)종양과 갈색세포종 구분해 줌
- 24시간 동안 소변으로 배설된 HVA양 측정
▶ 간호
- 식이제한은 X but 커피, 알코올, 염분이 든 음식, 바닐라가 포함된 음식이나 비타민이 많은 음식은 많이 섭취하지 않도록
- 검사에 영향 주는 약물 검사 전 3~7일동안 피하도록
ex> Aspirin, quinine, diazepam, disulfiram, reserpine, levodopa, 정온제, 신경차단제, 이뇨제
- 정서적 스트레스 여부 사정, 신체활동 피하도록
∵ 소변내 HVA치 상승시킴
4) 전체 요중 catecholamine
▶ 분해되지 않고 배설되는 1~5%의 norepinephrine과 epinephrine 측정
검사명
정상치
질병상태
전체 요중
catecholamine
100이하㎍/24시간(활동에 EK라 다양)
갈색세포종, 부신수질종양
▶ 검사
- 환자는 소변수집 전과 수집하는 동안 과도한 운동을 피하도록
- 24시간 소변을 냉장보관하여 수집하는 즉시 검사실로 보낸다.
♠참고문헌
-성인간호학 하(2) 서문자외 수문사(2000) p1113~1139
-성인간호학 하(2) 전시자외 현문사(2001) p1065~1070
검사명
정상치
질병상태
요중 vanillylmandelic acid(VMA)
2~6mg/24시간
증가 : 갈색세포종
▶검사
- 24시간 수집된 소변의 VMA 양을 측정
cf> 주의점 ① 검사실 직원에게 24시간 동안 소변을 어느 곳에 보존할 것인지를 확인(냉장고, 특수 소변병, 시작 전에 HCl 첨가한 병 등)
② 수집 시간 정확히 : 처음 소변 수집 시작 시 배설한 소변은 버리고 다음날 그 시에 배설한 소변은 첨가
③ 배변전에 소변 모아서 소변이 대변에 오염되지 않도록
▶ 간호
- 바닐라, 커피, 차, 신 과일, 바나나, 견과류, 초콜릿 등을 소변 채집 전 3일간 제한
3) 요중 Homovanillic acid(HVA)
검사명
정상치
질병상태
요중
Homovanillic
acid(HVA)
15mg이상/ 24시간
신경아세포종(neuroblastoma) or 신경절종(ganglioneuroma)
cf> 갈색세포종에서는 상승하지 않음 → 이 종양은 주로 epinephrine를 분비하는데 epinephrine의 대사산물은 HVA가 아닌 VMA이기 때문
▶검사
- HVA : norepinephrine의 전구체인 dopamine 분해의 지표
- 신경능(neural crest)종양과 갈색세포종 구분해 줌
- 24시간 동안 소변으로 배설된 HVA양 측정
▶ 간호
- 식이제한은 X but 커피, 알코올, 염분이 든 음식, 바닐라가 포함된 음식이나 비타민이 많은 음식은 많이 섭취하지 않도록
- 검사에 영향 주는 약물 검사 전 3~7일동안 피하도록
ex> Aspirin, quinine, diazepam, disulfiram, reserpine, levodopa, 정온제, 신경차단제, 이뇨제
- 정서적 스트레스 여부 사정, 신체활동 피하도록
∵ 소변내 HVA치 상승시킴
4) 전체 요중 catecholamine
▶ 분해되지 않고 배설되는 1~5%의 norepinephrine과 epinephrine 측정
검사명
정상치
질병상태
전체 요중
catecholamine
100이하㎍/24시간(활동에 EK라 다양)
갈색세포종, 부신수질종양
▶ 검사
- 환자는 소변수집 전과 수집하는 동안 과도한 운동을 피하도록
- 24시간 소변을 냉장보관하여 수집하는 즉시 검사실로 보낸다.
♠참고문헌
-성인간호학 하(2) 서문자외 수문사(2000) p1113~1139
-성인간호학 하(2) 전시자외 현문사(2001) p1065~1070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