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본론
1) 가상현실의 정의
2) 가상현실의 역사
3)가상현실의 종류
4) 가상현실의 종류
5) 가상현실의 활용
3. 결론
2. 본론
1) 가상현실의 정의
2) 가상현실의 역사
3)가상현실의 종류
4) 가상현실의 종류
5) 가상현실의 활용
3. 결론
본문내용
용되어지고 있다. 영화의 소재로서, 또는 미술과 예술의 한 장르로서, 또는 실생활에서 많이 이용되어 지는 가상현실의 종류를 자세하게 한번 알아보도록 하자.
가상현실의 세계를 가장 적나라하게 묘사한 영화가 ‘매트릭스’이다.
<영화 메트릭스 중에서>
영화 매트릭스의 배경인 2199년, 인간 대신 지구를 지배하게 된 기계는 인간의 육체에서 생명 에너지를 얻는다. 인간은 태어나는 즉시 고치에 담아져 기계가 운영하는 에너지 공장에서 배양된다. 잠을 자듯 고치 속에 담겨진 인간에게, 희로애락을 느끼게 해서 계속 생명 에너지를 발현시키기 위해 기계가 사용하는 시스템이 바로 매트릭스라는 가상현실이라고 한다.
뿐만 아니라 총알을 피하는 효과나 동작 몸짓등이 물론 컴퓨터 그래픽을 이용한 가상현실기법이지만 상당히 신선하였기 때문에 ‘메트릭스 효과’라는 신조어를 만들기도 하였다.
또한, 남녀간의 가상적인 육체적관계인 ‘사이버 섹스’가 영화의 소재로서 등장하게 된다. 1992년작 〈론머맨〉은 사이버 섹스를 보여주는 대표적인 작품이인데 영화에서 정신지체아인 조브(제프 파헤이)는 래리 박사(피어스 브로스넌)가 개발한 가상현실 교육을 통해 초능력자가 된 뒤, 이웃집 여인과 격렬한 정사를 가진다. 여인은 폰섹스 TV 광고를 보면서 좀더 강렬한 '느낌'을 원한다. 조브는 여인을 래리 박사의 가상현실 시설로 데리고 가 강렬한 사이버 섹스를 한다. 우주복과 비슷한 옷을 입고 헬멧을 쓴 이들은 단지 신경의 교감만으로 관계를 맺는다. 하지만 너무 강렬한 느낌을 받은 여인은 결국 대낮에 나체로 동네를 돌아다니는 등 정신이 <영화 론머맨 중에서> 이상해지고 만다.
역시 사이버 섹스의 대표작으로 불리는 1993년작 〈데몰리션맨〉도 비슷한 방법으로 사이버 섹스를 한다. 육체적인 접촉을 불결하게 느끼는 2032년에 온 1996년 출신 존 스파르탄(실베스타 스탤론)은 '관계'를 갖자는 레니나 힉슬리(산드라 블록)의 말에 귀가 솔깃한다. 옷을 벗고 입냄새를 확인하는 그에게 힉슬리가 가지고 온 것은 헬멧 2개. 헬멧을 쓰고 눈을 감는 힉슬리를 이상하게 바라보던 스파르탄은 눈앞에 등장한 영상과 느낌에 화들짝 놀라고, 결국 헬멧을 벗는다. 힉슬리의 설명에 따르면 헬멧이 성에너지를 디지털화해서 전이시켜준다는 것이다.
이러한 가상현실의 기법들은 영화뿐만아니라 회화속에서도 나타난다. 그중 가상현실에 가장 비슷한 미술의 장르는 바로 초현실주의라 할 수 있는데 이러한 초현실주의는 1920년대 이후에 등장하게 된다.
그중 대표적인 작가들은 ‘살바도르 달리‘를 꼽을 수 있다.
<살바도르달리 - 끝없는 수수깨끼>
<살바도르 달리 - 서랍달린 비너스> <기사의 죽음>
뿐만 아니라, 지금까지 국내에서 본격적으로 소개된 바 없는 3차원의 가상현실을 주제로 작품활동을 해오는 ‘안광준’는 얼마전 가상현실의 작품으로만 전시회를 열기도 하였다. 컴퓨터와 영상매체기술의 발전에 힘입어 탄생한 가상현실은 뉴미디어아트 장르에서 가장 주목받고 있는 주제이다.
'Cyber Erotica Park 2006'은 4개로 쪼개어진 화면 속에 거대한 여성 누드가 가로수처럼 늘어서고 벌거벗은 여성과 옷을 차려입은 남성이 조깅하는 모습을 대비시킨 공간도 특수 입체안경을 쓰고 보면 4개 화면이 파노라마처럼 연결된 3차원 게임공간이다 문란한 성에 대한 의식을 고찰하기 위한 작품으로 생각되어지는 이 사이버 에로틱 파크는 젊은이들에게 많은 생각을 하게 할 거 같은 작품이다.
'Space MR Object 2006'이라는 작품은 움직이는 분자 구조를 영상으로 벽에 쏘는 방식으로 특수 입체 안경을 쓰고 바라보면 눈꽃송이나 분자구조로 보이는 화면이 3차원의 가상현실로 바뀌면서 앞으로 튀어나오거나 뒤로 멀어지며 오묘한 형상을 만들어낸다. 마치 데칼코마니 기법을 이용한 것처럼 보이는 이 작품에서는 우리가 흔히 꾸는 꿈속의 다양한 영상을 눈꽃송이로 표현한 것처럼 느껴진다.
밀레니엄시대의 도래이후 많은 한국 미술작가들이 새로운 장르와 분야에 도전장을 내밀고 있는데 이중에서 안광준씨의 작품은 가상현실아트를 통해 인간의 의식, 무의식의 세계와 현실, 초현실, 가상현실과의 관계에 대한 새로운 물음을 던지고, 나아가 가상현실을 창출하는 하이테크놀로지가 초래하는 디스토피아의 문제를 다루고고 있다.
3.결론
가상현실은 우리가 직접 현실에서 체험하기 힘든 일들을 가상으로 체험하게 해준다. 뿐만 아니라 시간, 공간의 한계를 벗어나게 해주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이러한 장점들이 있는 반면에 가상현실은 현실과는 다르기 때문에 인간에게 헤로운 부작용을 낳기도 한다.
우선 첫째로 기술적인 문제를 꼽을 수 있다. 가상현실을 구현하기 위해 필수적인 장비인 HMD를 장시간 사용할 경우 인간의 두뇌에 치명적인 영향을 미칠 수도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온 바 있다.
두 번째로는 현실과 가상현실에 대한 미적응을 들 수 있다. 예를 들어 사람은 멈추어 있는데 화면이 움직이는 데서 오는 피로감이나 어지러움, 심한 경우에는 가슴이 울렁거리고 구토증세까지도 보이게 된다는 지적이 있다. 즉, 가상현실은 현실과 다르기 때문에 인간에게 해로운 부작용을 유발 할 수 있다는 것이다.
마지막으로는 가상현실의 윤리적 오용 가능성과 인간 소외감 현상을 들 수 있다.
요즘 시대는 죄를 죄로 여지기 않고 인간의 쾌락의 감정을 중요시 하는 경향이 강하다. 이런 상황 속에서 가살현실이 잘못 오용되지 않으리란 보장이 없다. 뿐만 아니라 인간은 사회구성원으로서 서로 공동체의식을 갖고 살면 안된다. 하지만 가상현실을 통하여 단절된 세상속에서 혼자만의 세상을 키우다보면 공동체 구성원간의 유대가 약화되고 대인 관계의 중요성 마저 감소된다. 실례로 채팅중독자들에게 나타나는 대인기피증역시 가상현실에서도 나타나지 않으리라 장담할 수 없다.
그러므로 우리는 가상현실의 개념에 대하여 올바르게 인지하고 그로인한 장, 단점을 충분히 숙지한 후에 개개인의 쾌락을 위해서만이 아닌 실질적으로 인간사회에 도움이 될만한 가상현실의 기술을 구현하는데 힘써야 겠다.
가상현실의 세계를 가장 적나라하게 묘사한 영화가 ‘매트릭스’이다.
<영화 메트릭스 중에서>
영화 매트릭스의 배경인 2199년, 인간 대신 지구를 지배하게 된 기계는 인간의 육체에서 생명 에너지를 얻는다. 인간은 태어나는 즉시 고치에 담아져 기계가 운영하는 에너지 공장에서 배양된다. 잠을 자듯 고치 속에 담겨진 인간에게, 희로애락을 느끼게 해서 계속 생명 에너지를 발현시키기 위해 기계가 사용하는 시스템이 바로 매트릭스라는 가상현실이라고 한다.
뿐만 아니라 총알을 피하는 효과나 동작 몸짓등이 물론 컴퓨터 그래픽을 이용한 가상현실기법이지만 상당히 신선하였기 때문에 ‘메트릭스 효과’라는 신조어를 만들기도 하였다.
또한, 남녀간의 가상적인 육체적관계인 ‘사이버 섹스’가 영화의 소재로서 등장하게 된다. 1992년작 〈론머맨〉은 사이버 섹스를 보여주는 대표적인 작품이인데 영화에서 정신지체아인 조브(제프 파헤이)는 래리 박사(피어스 브로스넌)가 개발한 가상현실 교육을 통해 초능력자가 된 뒤, 이웃집 여인과 격렬한 정사를 가진다. 여인은 폰섹스 TV 광고를 보면서 좀더 강렬한 '느낌'을 원한다. 조브는 여인을 래리 박사의 가상현실 시설로 데리고 가 강렬한 사이버 섹스를 한다. 우주복과 비슷한 옷을 입고 헬멧을 쓴 이들은 단지 신경의 교감만으로 관계를 맺는다. 하지만 너무 강렬한 느낌을 받은 여인은 결국 대낮에 나체로 동네를 돌아다니는 등 정신이 <영화 론머맨 중에서> 이상해지고 만다.
역시 사이버 섹스의 대표작으로 불리는 1993년작 〈데몰리션맨〉도 비슷한 방법으로 사이버 섹스를 한다. 육체적인 접촉을 불결하게 느끼는 2032년에 온 1996년 출신 존 스파르탄(실베스타 스탤론)은 '관계'를 갖자는 레니나 힉슬리(산드라 블록)의 말에 귀가 솔깃한다. 옷을 벗고 입냄새를 확인하는 그에게 힉슬리가 가지고 온 것은 헬멧 2개. 헬멧을 쓰고 눈을 감는 힉슬리를 이상하게 바라보던 스파르탄은 눈앞에 등장한 영상과 느낌에 화들짝 놀라고, 결국 헬멧을 벗는다. 힉슬리의 설명에 따르면 헬멧이 성에너지를 디지털화해서 전이시켜준다는 것이다.
이러한 가상현실의 기법들은 영화뿐만아니라 회화속에서도 나타난다. 그중 가상현실에 가장 비슷한 미술의 장르는 바로 초현실주의라 할 수 있는데 이러한 초현실주의는 1920년대 이후에 등장하게 된다.
그중 대표적인 작가들은 ‘살바도르 달리‘를 꼽을 수 있다.
<살바도르달리 - 끝없는 수수깨끼>
<살바도르 달리 - 서랍달린 비너스> <기사의 죽음>
뿐만 아니라, 지금까지 국내에서 본격적으로 소개된 바 없는 3차원의 가상현실을 주제로 작품활동을 해오는 ‘안광준’는 얼마전 가상현실의 작품으로만 전시회를 열기도 하였다. 컴퓨터와 영상매체기술의 발전에 힘입어 탄생한 가상현실은 뉴미디어아트 장르에서 가장 주목받고 있는 주제이다.
'Cyber Erotica Park 2006'은 4개로 쪼개어진 화면 속에 거대한 여성 누드가 가로수처럼 늘어서고 벌거벗은 여성과 옷을 차려입은 남성이 조깅하는 모습을 대비시킨 공간도 특수 입체안경을 쓰고 보면 4개 화면이 파노라마처럼 연결된 3차원 게임공간이다 문란한 성에 대한 의식을 고찰하기 위한 작품으로 생각되어지는 이 사이버 에로틱 파크는 젊은이들에게 많은 생각을 하게 할 거 같은 작품이다.
'Space MR Object 2006'이라는 작품은 움직이는 분자 구조를 영상으로 벽에 쏘는 방식으로 특수 입체 안경을 쓰고 바라보면 눈꽃송이나 분자구조로 보이는 화면이 3차원의 가상현실로 바뀌면서 앞으로 튀어나오거나 뒤로 멀어지며 오묘한 형상을 만들어낸다. 마치 데칼코마니 기법을 이용한 것처럼 보이는 이 작품에서는 우리가 흔히 꾸는 꿈속의 다양한 영상을 눈꽃송이로 표현한 것처럼 느껴진다.
밀레니엄시대의 도래이후 많은 한국 미술작가들이 새로운 장르와 분야에 도전장을 내밀고 있는데 이중에서 안광준씨의 작품은 가상현실아트를 통해 인간의 의식, 무의식의 세계와 현실, 초현실, 가상현실과의 관계에 대한 새로운 물음을 던지고, 나아가 가상현실을 창출하는 하이테크놀로지가 초래하는 디스토피아의 문제를 다루고고 있다.
3.결론
가상현실은 우리가 직접 현실에서 체험하기 힘든 일들을 가상으로 체험하게 해준다. 뿐만 아니라 시간, 공간의 한계를 벗어나게 해주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이러한 장점들이 있는 반면에 가상현실은 현실과는 다르기 때문에 인간에게 헤로운 부작용을 낳기도 한다.
우선 첫째로 기술적인 문제를 꼽을 수 있다. 가상현실을 구현하기 위해 필수적인 장비인 HMD를 장시간 사용할 경우 인간의 두뇌에 치명적인 영향을 미칠 수도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온 바 있다.
두 번째로는 현실과 가상현실에 대한 미적응을 들 수 있다. 예를 들어 사람은 멈추어 있는데 화면이 움직이는 데서 오는 피로감이나 어지러움, 심한 경우에는 가슴이 울렁거리고 구토증세까지도 보이게 된다는 지적이 있다. 즉, 가상현실은 현실과 다르기 때문에 인간에게 해로운 부작용을 유발 할 수 있다는 것이다.
마지막으로는 가상현실의 윤리적 오용 가능성과 인간 소외감 현상을 들 수 있다.
요즘 시대는 죄를 죄로 여지기 않고 인간의 쾌락의 감정을 중요시 하는 경향이 강하다. 이런 상황 속에서 가살현실이 잘못 오용되지 않으리란 보장이 없다. 뿐만 아니라 인간은 사회구성원으로서 서로 공동체의식을 갖고 살면 안된다. 하지만 가상현실을 통하여 단절된 세상속에서 혼자만의 세상을 키우다보면 공동체 구성원간의 유대가 약화되고 대인 관계의 중요성 마저 감소된다. 실례로 채팅중독자들에게 나타나는 대인기피증역시 가상현실에서도 나타나지 않으리라 장담할 수 없다.
그러므로 우리는 가상현실의 개념에 대하여 올바르게 인지하고 그로인한 장, 단점을 충분히 숙지한 후에 개개인의 쾌락을 위해서만이 아닌 실질적으로 인간사회에 도움이 될만한 가상현실의 기술을 구현하는데 힘써야 겠다.
추천자료
정보화 사회와 인터넷을 통한 선교전략
현대 디자인경향과 21C디자인이 요구하는 가치관
사이버의 몸과 자본주의 -인간이해
웹(Web) 활용 수업에 대한 고찰(A+)
면접 잘보는 방법
동아시아경제위기극복방안(Asian Champion 산업정책 모형설정)
[인터넷문화] 사이버공간(Cyberspace)에서의 명예훼손에 관한 연구
평생교육방법론 10장 역할극 정리
통계자료가 말하는 복지사회
인터넷교육(사이버교육, 온라인교육)의 정의와 유형, 인터넷교육(사이버교육, 온라인교육) 필...
네트워크이동통신
영유아를 위한 다양한 건강교육 방법과 그 중요성에 대해 논하시오
일상과 스토리텔링 (비일상과 일상의 경계에서―영화 ‘괴물’과 관련하여)
김승옥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