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개관>
<2.인도의 문화>
①인도사람의 성정
②인도 음식문화의 특징과 종류
③교통
④인도 여행 수칙
⑤인도 사람들은 손이 도구다
⑥인도에 가면 하루에 한 가지 일만 하자
⑦남존 여비 사상
⑧죽음에의 초연함
⑨소에 대한 숭배
<3.인도의 매너>
<2.인도의 문화>
①인도사람의 성정
②인도 음식문화의 특징과 종류
③교통
④인도 여행 수칙
⑤인도 사람들은 손이 도구다
⑥인도에 가면 하루에 한 가지 일만 하자
⑦남존 여비 사상
⑧죽음에의 초연함
⑨소에 대한 숭배
<3.인도의 매너>
본문내용
을 털어놓았을 경우 비밀을 지켜주는 것이 예이다.
잔돈을 많이 가지고 다니는 것도 좋다. 인도에는 거지가 많다. 그들에게 자비를 베풀기 위해서 여분의 동전을 가지고 다니는 것도 예이다.
찢어진 돈은 절대로 받지도 말고, 주지도 말아라. 인도에서 찢어진 돈은 휴지다. 환전상이나 못된 상인들이 가끔씩 거스름돈 속에 찢어진 돈을 끼워 넣는 경우가 있는데 단호하게 새 돈으로 달라고 요구한다.
*인도의 매너
●식사 매너
-식당에서 음식이 늦게 나오더라도 독촉하지 않고 기다리는 것이 예이다.
-인도에서 음식을 먹을 때는 보통 손으로 사용하고 그 가운데서도 왼손은 오염된 손으로 간주하기 때문에 식사를 할 때는 반드시 오른 손만 사용한다. 고급 식당에 가면 핑거 보올(finger bowl)이라는 손 씻는 그릇이 나오는데, 레몬을 띄워서 나오기도 한다.
- 음식을 먹을 때는 개인 그릇을 사용하고, 큰 접시에 준비된 음식에는 공동 스푼이 있어 그것을 사용하여 자기 그릇에 덜어 먹어야 한다. 이것은 침이 음식을 오염시키는 주범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 식사를 할 때는 원칙적으로 대화를 하지 않는 것이 예법이다. 대화는 식사를 끝내고 손과 입을 씻고 난 뒤에만 허용된다. 이것 역시 말을 할 경우 언제 어떻게 튀어나올지 모르는 오염의 주범인 바로 '침' 때문에 지켜지는 것이다.
- 인도에서 엄격하게 지켜지는 것 중의 하나가 음식을 남겨선 안 된다는 것이다. 게다가 먹 는 도중 흘려서도 안 된다.
- 음식을 담는 그릇에도 엄격한 원칙이 있다. 그릇 가운데 흙으로 만든 질그릇은 매우 쉽게 오염되는 것으로 간주되므로 질그릇은 자기보다 낮은 카스트가 만져서는 안 된다. 심지어는 가정부라 할지라도 질그릇은 잘 만지지 않고 오로지 집안의 안주인만 만지게 되어있다. 이렇게 질그릇이 쉽게 오염되는 것으로 여기는 반면에 놋쇠 그릇은 정결하게 생각하여 제사를 지낼 때는 반드시 놋쇠그릇을 사용한다. 그리고 토기장이가 새 질 그릇을 가지고 오면 반드시 물로 정화시킨 후 사용한다. 인도 사람들이 외부 사람들에게 물이나 차를 줄 경우에도 질그릇을 사용해야 하는 경우엔 반드시 새 질 그릇만 사용하는 것도 이 때문이다. 그리고 그 질그릇을 사용한 후에는 반드시 깨뜨려 버려야 한다. 보통 여행 중 짜이를 먹을 때 이 질그릇에 나오면 다 마신 후 깨뜨리는 장면을 종종 목격할 수 있다. 이 모든 것이 모두다 힌두교의 정-부정 인식에 그 배경을 갖고 있다.
●선물 매너
- 자스민은 장례식과 연관된다. 힌두교도들은 소를 신성시함으로, 소를 이용하여 만든 상품은 선물하지 않는다.
- 선물을 받자마자 열어 보는 것은 예의가 아니다.
- 선물 포장에 흰색, 검정색은 피하고 녹색, 빨간색, 노란색으로 하는 것이 좋다.
- 초대를 받았을 경우에는 초콜릿, 꽃 등의 작은 선물을 준비한다.
- 술을 마시는 사람에게 수입위스키는 아주 좋은 선물이 될 것이다.
- 만약 현금을 선물하는 경우가 있다면 금액이 홀수로 끝나야 하는데 보통 1달러를 덧붙인다. (10달러-->11달러)
- 이슬람교도들에게 개나 개가 들어있는 사진, 그림 등을 선물하면 안 된다.
- 독실한 힌두교도들은 소고기는 물론 낙농제품도 먹지 않는다. 대부분의 가죽제품도 선물로서는 부적절하다.
●생활 매너
- 힌두교도들이 대화시 편안함을 느끼는 거리는 1~1.2m 정도이다.
- 누군가를 부를 때는 손바닥을 아래로 해서 손가락을 움직인다. 손바닥을 위로할 경우 모욕으로 받아들여질 수 있다.
- 손가락으로 가리키는 것은 결례이다. 인도사람들은 보통 턱으로 가리킨다.
- 휘파람을 부는 것은 어느 경우에나 결례이다.
- 윙크하는 것은 모욕이나 수작을 거는 것으로 받아들여진다.
- 발은 청결하지 못한 것으로 인식되고 있으므로 절대 자신의 발이 다른 사람에게 닿지 않도록 주의하고 만약 닿았다면 사과해야 한다.
- 인도 사람들은 갠지스 강을 신성시한다 갠지스강은 그 자체가 인도인에게는 신앙입니다.
갠지스강에서의 목욕 (힌두교도들은 갠지스강을 성스러운 강으로 여겨 이곳에서 목욕을 하 면 면죄를 할 수 있다고 믿는다) 이 힌두교도 사이에서는 갠지스 강물에 목욕재계하면 모든 죄를 면할 수 있으며, 죽은 뒤에 이 강물에 뼛가루를 흘려보내면 극락에 갈 수 있다고 믿고 있다.
●초대 매너
- 행사를 주최할 경우 모든 손님에게 초대장을 보내고 행사에 임박해서는 전화로 확인하여야 한다. “R.S.V.P(참석여부 회신 바랍니다)” 같은 것은 통하지 않는다
- 모든 고기는 정해진 방법으로 도살된 것이어야 한다.
- 만찬에 초대를 받는다면 공식행사의 경우가 아닐 경우 몇 분 늦게 도착하는 것이 좋고, 집으로 초대받은 경우라면 15~30분 정도 늦게 도착하여야 한다.
- 집에 들어갈 때 신발은 벗어야 한다.
- 식전 식후에 반드시 손을 씻어야 하며 힌두 가정에서는 입안도 헹구어야 한다.
- 공동 접시를 손으로 만지지 않도록 하며 자신의 접시에 일단 담았던 음식은 절대 다른 사람에게 주면 안 된다.
- 식사대접에 대해 감사를 표하는 것은 일종의 대가를 지급하는 것으로 간주되기 때문에 주인에 대한 모욕이 된다. 감사의 표현은 주인을 식사에 초대하는 것으로 대신한다.
●비즈니스 매너
- 인도 도착 2달 전에 편지로 약속을 잡아라.
- 계약은 체결과 관련된 의사결정은 오직 최고위층에 의해서만 이루어진다는 것을 명심하라.
- 인도 경영층은 오전 11시에서 오후 4시 사이에 약속을 잡는 것을 선호한다.
- 비즈니스 출장은 더위와 몬순을 피할 수 있는 10~3월 사이에 계획하는 것이 좋다.
- 가죽으로 된 의상, 지갑, 벨트는 피해야 한다.
- 자신들의 경제발전을 매우 자랑스러워하기 때문에 빈곤문제에 대해 이야기 하는 것을 매우 꺼린다. 만약 외국인이 먼저 그런 주제를 꺼낸다면 아주 무례한 비판으로 받아들일 것이다.
*목 차
<1.개관>
<2.인도의 문화>
①인도사람의 성정
②인도 음식문화의 특징과 종류
③교통
④인도 여행 수칙
⑤인도 사람들은 손이 도구다
⑥인도에 가면 하루에 한 가지 일만 하자
⑦남존 여비 사상
⑧죽음에의 초연함
⑨소에 대한 숭배
<3.인도의 매너>
잔돈을 많이 가지고 다니는 것도 좋다. 인도에는 거지가 많다. 그들에게 자비를 베풀기 위해서 여분의 동전을 가지고 다니는 것도 예이다.
찢어진 돈은 절대로 받지도 말고, 주지도 말아라. 인도에서 찢어진 돈은 휴지다. 환전상이나 못된 상인들이 가끔씩 거스름돈 속에 찢어진 돈을 끼워 넣는 경우가 있는데 단호하게 새 돈으로 달라고 요구한다.
*인도의 매너
●식사 매너
-식당에서 음식이 늦게 나오더라도 독촉하지 않고 기다리는 것이 예이다.
-인도에서 음식을 먹을 때는 보통 손으로 사용하고 그 가운데서도 왼손은 오염된 손으로 간주하기 때문에 식사를 할 때는 반드시 오른 손만 사용한다. 고급 식당에 가면 핑거 보올(finger bowl)이라는 손 씻는 그릇이 나오는데, 레몬을 띄워서 나오기도 한다.
- 음식을 먹을 때는 개인 그릇을 사용하고, 큰 접시에 준비된 음식에는 공동 스푼이 있어 그것을 사용하여 자기 그릇에 덜어 먹어야 한다. 이것은 침이 음식을 오염시키는 주범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 식사를 할 때는 원칙적으로 대화를 하지 않는 것이 예법이다. 대화는 식사를 끝내고 손과 입을 씻고 난 뒤에만 허용된다. 이것 역시 말을 할 경우 언제 어떻게 튀어나올지 모르는 오염의 주범인 바로 '침' 때문에 지켜지는 것이다.
- 인도에서 엄격하게 지켜지는 것 중의 하나가 음식을 남겨선 안 된다는 것이다. 게다가 먹 는 도중 흘려서도 안 된다.
- 음식을 담는 그릇에도 엄격한 원칙이 있다. 그릇 가운데 흙으로 만든 질그릇은 매우 쉽게 오염되는 것으로 간주되므로 질그릇은 자기보다 낮은 카스트가 만져서는 안 된다. 심지어는 가정부라 할지라도 질그릇은 잘 만지지 않고 오로지 집안의 안주인만 만지게 되어있다. 이렇게 질그릇이 쉽게 오염되는 것으로 여기는 반면에 놋쇠 그릇은 정결하게 생각하여 제사를 지낼 때는 반드시 놋쇠그릇을 사용한다. 그리고 토기장이가 새 질 그릇을 가지고 오면 반드시 물로 정화시킨 후 사용한다. 인도 사람들이 외부 사람들에게 물이나 차를 줄 경우에도 질그릇을 사용해야 하는 경우엔 반드시 새 질 그릇만 사용하는 것도 이 때문이다. 그리고 그 질그릇을 사용한 후에는 반드시 깨뜨려 버려야 한다. 보통 여행 중 짜이를 먹을 때 이 질그릇에 나오면 다 마신 후 깨뜨리는 장면을 종종 목격할 수 있다. 이 모든 것이 모두다 힌두교의 정-부정 인식에 그 배경을 갖고 있다.
●선물 매너
- 자스민은 장례식과 연관된다. 힌두교도들은 소를 신성시함으로, 소를 이용하여 만든 상품은 선물하지 않는다.
- 선물을 받자마자 열어 보는 것은 예의가 아니다.
- 선물 포장에 흰색, 검정색은 피하고 녹색, 빨간색, 노란색으로 하는 것이 좋다.
- 초대를 받았을 경우에는 초콜릿, 꽃 등의 작은 선물을 준비한다.
- 술을 마시는 사람에게 수입위스키는 아주 좋은 선물이 될 것이다.
- 만약 현금을 선물하는 경우가 있다면 금액이 홀수로 끝나야 하는데 보통 1달러를 덧붙인다. (10달러-->11달러)
- 이슬람교도들에게 개나 개가 들어있는 사진, 그림 등을 선물하면 안 된다.
- 독실한 힌두교도들은 소고기는 물론 낙농제품도 먹지 않는다. 대부분의 가죽제품도 선물로서는 부적절하다.
●생활 매너
- 힌두교도들이 대화시 편안함을 느끼는 거리는 1~1.2m 정도이다.
- 누군가를 부를 때는 손바닥을 아래로 해서 손가락을 움직인다. 손바닥을 위로할 경우 모욕으로 받아들여질 수 있다.
- 손가락으로 가리키는 것은 결례이다. 인도사람들은 보통 턱으로 가리킨다.
- 휘파람을 부는 것은 어느 경우에나 결례이다.
- 윙크하는 것은 모욕이나 수작을 거는 것으로 받아들여진다.
- 발은 청결하지 못한 것으로 인식되고 있으므로 절대 자신의 발이 다른 사람에게 닿지 않도록 주의하고 만약 닿았다면 사과해야 한다.
- 인도 사람들은 갠지스 강을 신성시한다 갠지스강은 그 자체가 인도인에게는 신앙입니다.
갠지스강에서의 목욕 (힌두교도들은 갠지스강을 성스러운 강으로 여겨 이곳에서 목욕을 하 면 면죄를 할 수 있다고 믿는다) 이 힌두교도 사이에서는 갠지스 강물에 목욕재계하면 모든 죄를 면할 수 있으며, 죽은 뒤에 이 강물에 뼛가루를 흘려보내면 극락에 갈 수 있다고 믿고 있다.
●초대 매너
- 행사를 주최할 경우 모든 손님에게 초대장을 보내고 행사에 임박해서는 전화로 확인하여야 한다. “R.S.V.P(참석여부 회신 바랍니다)” 같은 것은 통하지 않는다
- 모든 고기는 정해진 방법으로 도살된 것이어야 한다.
- 만찬에 초대를 받는다면 공식행사의 경우가 아닐 경우 몇 분 늦게 도착하는 것이 좋고, 집으로 초대받은 경우라면 15~30분 정도 늦게 도착하여야 한다.
- 집에 들어갈 때 신발은 벗어야 한다.
- 식전 식후에 반드시 손을 씻어야 하며 힌두 가정에서는 입안도 헹구어야 한다.
- 공동 접시를 손으로 만지지 않도록 하며 자신의 접시에 일단 담았던 음식은 절대 다른 사람에게 주면 안 된다.
- 식사대접에 대해 감사를 표하는 것은 일종의 대가를 지급하는 것으로 간주되기 때문에 주인에 대한 모욕이 된다. 감사의 표현은 주인을 식사에 초대하는 것으로 대신한다.
●비즈니스 매너
- 인도 도착 2달 전에 편지로 약속을 잡아라.
- 계약은 체결과 관련된 의사결정은 오직 최고위층에 의해서만 이루어진다는 것을 명심하라.
- 인도 경영층은 오전 11시에서 오후 4시 사이에 약속을 잡는 것을 선호한다.
- 비즈니스 출장은 더위와 몬순을 피할 수 있는 10~3월 사이에 계획하는 것이 좋다.
- 가죽으로 된 의상, 지갑, 벨트는 피해야 한다.
- 자신들의 경제발전을 매우 자랑스러워하기 때문에 빈곤문제에 대해 이야기 하는 것을 매우 꺼린다. 만약 외국인이 먼저 그런 주제를 꺼낸다면 아주 무례한 비판으로 받아들일 것이다.
*목 차
<1.개관>
<2.인도의 문화>
①인도사람의 성정
②인도 음식문화의 특징과 종류
③교통
④인도 여행 수칙
⑤인도 사람들은 손이 도구다
⑥인도에 가면 하루에 한 가지 일만 하자
⑦남존 여비 사상
⑧죽음에의 초연함
⑨소에 대한 숭배
<3.인도의 매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