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간의 구조
2. 간 기능
3. 담도의 구조
4. 담도의 기능
5. 췌장의 구조
6. 췌장의 외분비기능
7. 노화와 관련된 생리적 변화
2. 간 기능
3. 담도의 구조
4. 담도의 기능
5. 췌장의 구조
6. 췌장의 외분비기능
7. 노화와 관련된 생리적 변화
본문내용
-교감신경 : 샘세포를 지배하며 효소의 분비를 자극
호르몬에 의한 췌액 분비조절
-pH 4.0 이하인 산이 십이지장과 공장에 접촉하면 효소 함량은 적으나 알카리성인 췌액의 분비가 항진(이유 : 십이지장 및 공장 점막에서 분비되는 세크레틴이라는 호르몬의 자극에 의함)
-여러 가지 소화산물이 십이지장 점막에 접촉하면 효소 함량이 많은 췌액이 분비되는데 이는 십이지장에서 pancreozymin이 분비되어 췌장의 샘포를 자극하기 때문이다.
신경에 의한 췌액 분비조절
-신경조절은 위식을 시키거나 위를 확장시키면 췌액분비가 항진되는 것이다.
-이는 미주신경을 통한 효과 : 미주신경을 자극하면 주로 효소 함량이 증가하고 췌액량은 약간 증가하거나 혹은 변화가 없다.
6. 췌장의 외분비기능
하루에 1200~1300ml의 췌장액을 생산
투명한 알칼리성의 용액
세 가지의 중요한 소화 효소가 포함
-아밀라제 : 탄수화물을 덱스트린과 말토스로 분해
-리파제 : 지방을 글리세롤과 지방산으로 가수분해
-트립신 : chymotrypsin과 carboxypolypeptidase를 포함하는 효소집단 중 하나로서 단백질을 분해, 장내에서 활성화되며 다른 단백질 분해효소들을 활성화시킴
췌장은 췌장 조직이 자가 소화되는 것을 막기 위해 특별한 트립신 억제제를 갖고 있다. 그러나 이 특별한 트립신 억제제가 기능을 하지 못하면 췌장염을 일으킨다.
췌장액
-췌장액의 소화 효소들 : 음식물의 세 가지 중요 구성성분인 탄수화물, 지방, 단백질 모두를 소화 시킨다.
-췌장액의 소화 효소들 : 췌장샘의 작은 세포에서 분비
-많은 양의 중탄산염이 포함
-위에서 십이지장으로 넘어온 산성 상태의 유미즙을 중화
-췌장샘의 중탄산염은 혈장보다 4~5배 정도 많이 분비
췌장샘의 분비를 자극하는 네 가지 요인
-부교감 미주신경 말단에서 생산되는 아세틸콜린
-음식물이 위에서 소화되는 위상기 동안에 많은 양이 분비되는 가스트린
-음식물이 작은 창자로 들어갈 때 십이지장과 공장상부의 점막에서 분비되는 콜레시스토키닌
-산성 유미즙이 작은 창자로 들어갈 때 십이지장과 공장의 점막에서 분비되는 세크레틴
아세틸콜린, 가스트린, 콜레시스토키닌
-관세포보다는 샘포세포를 더 자극
-많은 양의 소화액을 분비하도록 자극
-수분은 거의 분비하지 않음
-수분 분비에 의하여 십이지장내로 이동할 때까지 췌장에 저장
세크레틴 : 많은 양의 중탄산염을 분비->산성 음식물을 중화 / 효소 분비를 자극하는 역할은 적다
췌장의 3단계 분비
-뇌상 : 아세틸콜린분비는 위내에서 분비를 일으키는 것과 같은 충격에 의해 자극받음
-위상 : 효소 분비를 위해 많은 신경자극이 있음
-장상 : 유미즙이 장내로 들어와 췌장액의 분비를 자극하고, 췌장액에 수분의 양을 급격히 증가
세크레틴
-샘세포나 산성 효소가 분비 세포를 자극하지 않음
-효소 분비를 자극하지 않고 중탄산염의 양을 많이 분비하도록 자극
-십이지장 내의 pH 4.5이하일 때 분비되며, pH 3.0 이하로 내려가면 분비량이 더 증가
-십이지장내로 들어가는 췌장액 속에 중탄산나트륨의 양을 많게 하여 위에서 나온 내용물을 즉시 중화시키고 모든 소화활동이 멈춰지게 함(이유 : 소장의 점막이 위 분비물의 산성 농도에 견딜 수 없기 때문에 이루어지는 보호적 기전)
췌장효소들
-중성이나 약알칼리성의 환경 내에서 가장 잘 작용
-중탄산염 : pH가 8.0이기 때문에 분비물의 pH를 올려서 췌장 효소들이 좀 더 효과적으로 기능하게 한다.
콜레시스토키닌
-소장내의 음식물은 콜레시스토키닌의 분비를 자극
-콜레시스토키닌은 샘포세포에 의해 많은 양의 췌장 효소들이 분비되도록 자극
7.노화와 관련된 생리적 변화
간, 담도계, 췌장의 외분비기능 모두는 퇴화하기 시작
간
-간세포의 수와 크기가 줄어서 간 무게와 크기는 감소
-섬유성 조직도 증가하여 단백질 합성 간효소와 콜레스테롤 합성 역시 감소
-효소의 활동 감소로 간이 약물을 해독시키는 능력도 감소->노인에게는 여러 가지 다양한 약물에 대한 독성의 위험이 증가
췌장
-노화과정에 의해 영향받는다.
-혈관들은 석회화되고 관의 크기도 팽창과 이완을 통하여 변화
-이와 같은 변화로 리파제 생산이 줄어들며 지방 음식물 소화와 흡수가 감소
-노인들 : 지용성 비타민 흡수가 줄어들고 대변으로 지방 성분 배출이 증가
※참고문헌
성인 간호학(上) Ⅱ/ 서문자외/ 현문사/2004
간추린 병리학/대한병리학회 대구, 경북지부학회/정문각/2004
인체 구조와 기능Ⅱ/최명애 외 /계축문화사/2003
호르몬에 의한 췌액 분비조절
-pH 4.0 이하인 산이 십이지장과 공장에 접촉하면 효소 함량은 적으나 알카리성인 췌액의 분비가 항진(이유 : 십이지장 및 공장 점막에서 분비되는 세크레틴이라는 호르몬의 자극에 의함)
-여러 가지 소화산물이 십이지장 점막에 접촉하면 효소 함량이 많은 췌액이 분비되는데 이는 십이지장에서 pancreozymin이 분비되어 췌장의 샘포를 자극하기 때문이다.
신경에 의한 췌액 분비조절
-신경조절은 위식을 시키거나 위를 확장시키면 췌액분비가 항진되는 것이다.
-이는 미주신경을 통한 효과 : 미주신경을 자극하면 주로 효소 함량이 증가하고 췌액량은 약간 증가하거나 혹은 변화가 없다.
6. 췌장의 외분비기능
하루에 1200~1300ml의 췌장액을 생산
투명한 알칼리성의 용액
세 가지의 중요한 소화 효소가 포함
-아밀라제 : 탄수화물을 덱스트린과 말토스로 분해
-리파제 : 지방을 글리세롤과 지방산으로 가수분해
-트립신 : chymotrypsin과 carboxypolypeptidase를 포함하는 효소집단 중 하나로서 단백질을 분해, 장내에서 활성화되며 다른 단백질 분해효소들을 활성화시킴
췌장은 췌장 조직이 자가 소화되는 것을 막기 위해 특별한 트립신 억제제를 갖고 있다. 그러나 이 특별한 트립신 억제제가 기능을 하지 못하면 췌장염을 일으킨다.
췌장액
-췌장액의 소화 효소들 : 음식물의 세 가지 중요 구성성분인 탄수화물, 지방, 단백질 모두를 소화 시킨다.
-췌장액의 소화 효소들 : 췌장샘의 작은 세포에서 분비
-많은 양의 중탄산염이 포함
-위에서 십이지장으로 넘어온 산성 상태의 유미즙을 중화
-췌장샘의 중탄산염은 혈장보다 4~5배 정도 많이 분비
췌장샘의 분비를 자극하는 네 가지 요인
-부교감 미주신경 말단에서 생산되는 아세틸콜린
-음식물이 위에서 소화되는 위상기 동안에 많은 양이 분비되는 가스트린
-음식물이 작은 창자로 들어갈 때 십이지장과 공장상부의 점막에서 분비되는 콜레시스토키닌
-산성 유미즙이 작은 창자로 들어갈 때 십이지장과 공장의 점막에서 분비되는 세크레틴
아세틸콜린, 가스트린, 콜레시스토키닌
-관세포보다는 샘포세포를 더 자극
-많은 양의 소화액을 분비하도록 자극
-수분은 거의 분비하지 않음
-수분 분비에 의하여 십이지장내로 이동할 때까지 췌장에 저장
세크레틴 : 많은 양의 중탄산염을 분비->산성 음식물을 중화 / 효소 분비를 자극하는 역할은 적다
췌장의 3단계 분비
-뇌상 : 아세틸콜린분비는 위내에서 분비를 일으키는 것과 같은 충격에 의해 자극받음
-위상 : 효소 분비를 위해 많은 신경자극이 있음
-장상 : 유미즙이 장내로 들어와 췌장액의 분비를 자극하고, 췌장액에 수분의 양을 급격히 증가
세크레틴
-샘세포나 산성 효소가 분비 세포를 자극하지 않음
-효소 분비를 자극하지 않고 중탄산염의 양을 많이 분비하도록 자극
-십이지장 내의 pH 4.5이하일 때 분비되며, pH 3.0 이하로 내려가면 분비량이 더 증가
-십이지장내로 들어가는 췌장액 속에 중탄산나트륨의 양을 많게 하여 위에서 나온 내용물을 즉시 중화시키고 모든 소화활동이 멈춰지게 함(이유 : 소장의 점막이 위 분비물의 산성 농도에 견딜 수 없기 때문에 이루어지는 보호적 기전)
췌장효소들
-중성이나 약알칼리성의 환경 내에서 가장 잘 작용
-중탄산염 : pH가 8.0이기 때문에 분비물의 pH를 올려서 췌장 효소들이 좀 더 효과적으로 기능하게 한다.
콜레시스토키닌
-소장내의 음식물은 콜레시스토키닌의 분비를 자극
-콜레시스토키닌은 샘포세포에 의해 많은 양의 췌장 효소들이 분비되도록 자극
7.노화와 관련된 생리적 변화
간, 담도계, 췌장의 외분비기능 모두는 퇴화하기 시작
간
-간세포의 수와 크기가 줄어서 간 무게와 크기는 감소
-섬유성 조직도 증가하여 단백질 합성 간효소와 콜레스테롤 합성 역시 감소
-효소의 활동 감소로 간이 약물을 해독시키는 능력도 감소->노인에게는 여러 가지 다양한 약물에 대한 독성의 위험이 증가
췌장
-노화과정에 의해 영향받는다.
-혈관들은 석회화되고 관의 크기도 팽창과 이완을 통하여 변화
-이와 같은 변화로 리파제 생산이 줄어들며 지방 음식물 소화와 흡수가 감소
-노인들 : 지용성 비타민 흡수가 줄어들고 대변으로 지방 성분 배출이 증가
※참고문헌
성인 간호학(上) Ⅱ/ 서문자외/ 현문사/2004
간추린 병리학/대한병리학회 대구, 경북지부학회/정문각/2004
인체 구조와 기능Ⅱ/최명애 외 /계축문화사/2003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