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론
전통놀이의 조사 동기
본론
1. 전통놀이의 정의
2. 전통놀이의 특징
3. 전통놀이의 유래
4. 전통놀이의 발생 배경
5. 전통놀이의 종류소개, 설명
결론 : 나의 의견
전통놀이의 조사 동기
본론
1. 전통놀이의 정의
2. 전통놀이의 특징
3. 전통놀이의 유래
4. 전통놀이의 발생 배경
5. 전통놀이의 종류소개, 설명
결론 : 나의 의견
본문내용
펴고 불만을 해소시킬 수 있는 유일한 놀이였을 것이다. 오늘의 그네뛰기는 옛날에 비하여 그 열세를 면치 못하고 있으나, 오히려 어린이 놀이터나 공원들에서는 흔히 어린이용 그네가 눈에 띈다. 또한 이 그네뛰기의 기원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것은 알 수 없으나 남부 지방보다 북부 지방에서 더욱 성행하였음을 볼 때 대륙의 영향을 받은 것인지도 모른다.
xiii. 낫치기
시골의 나뭇꾼들이 산에서 나무를 한전씩 붙여놓고 낫을 굴려서 멀리 간 사람이 이기는 놀이이다. 낫치기를 달리 「낫딴 치기」라고도 부르는데, 장소는 평평한 곳보다는 약간 경사진 잔디밭이 가장 좋은 것이다. 그리고 이 낫치기를 할 때에는 일정한 위치에 나뭇잎이나 풀잎 등으로 표시하여 놓고 뒤로 약 10여 미터 가량 물러갔다가, 거기서부터 낫을 어깨 위로 높이 들고 앞으로 힘차게 달려오면서 표시해 놓은 위치에 낫을 내리쳐서 굴러가게 하는 것인데, 이 때 제일 멀리 굴러간 낫이 승리하는 것이다. 낫치기를 잘하는 사람은 낫이 잘 굴러가도록 비교적 낫자루를 짧게 하여 가지고 다닌다. 또한 낫치기는 지방에 따라 다르다. 즉 나무를 한 아름 모아 놓고 약 7내지 8미터 뒤에서 각각 나무 단에 낫을 던진다. 이 때 낫이 바르게 꽂힌 사람이 이기는 것이다. 요즘은 이 같은 놀이도 사라진 것 같다.
xⅳ. 쥐불놀이
이 쥐불놀이는 음력 정월 열 나흗날 저녁과 대보름날 저녁에 주로 소년들이 모여서 논둑이나 밭둑에 말라붙은 풀을 불태우는 것을 말한다. 이와 같은 규반 등의 잡초를 태우는 그 자체보다는, 해충의 알을 태워 죽임으로서 병충해를 예방하여 풍작을 기약 할 수 있다는데 더 큰 의의가 있는 것이다. 그리고 밤에 보는 소년들의 이 쥐불놀이의 광경은 매우 장관이라 하겠다.
결론. “전통놀이”에 대한 report를 마치면서..
우리나라의 귀중한 문화인, 전통놀이에 대해 많은 것을 알게 되어서 인상 깊은 report였던 것 같습니다. 예전에는 많이 해왔던 전통놀이들이 하나 둘씩 점차 사라져가면서 우리의 후손들에게는 이러한 전통놀이를 물려줄 수 없다는 생각이 들어 안타까웠습니다. 우리의 문화인 전통놀이를 지키기 위해서는 우리문화에 대한 자긍심과 맥을 이어나가려는 조금의 관심과 이해를 가지고 있다면, 충분히 전통놀이를 잘 계승해 나갈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이번 report를 통해 예전에는 몰랐었던 전통놀이의 많은 것들을 알 수 있어서 많은 도움이 되는 report였습니다.
xiii. 낫치기
시골의 나뭇꾼들이 산에서 나무를 한전씩 붙여놓고 낫을 굴려서 멀리 간 사람이 이기는 놀이이다. 낫치기를 달리 「낫딴 치기」라고도 부르는데, 장소는 평평한 곳보다는 약간 경사진 잔디밭이 가장 좋은 것이다. 그리고 이 낫치기를 할 때에는 일정한 위치에 나뭇잎이나 풀잎 등으로 표시하여 놓고 뒤로 약 10여 미터 가량 물러갔다가, 거기서부터 낫을 어깨 위로 높이 들고 앞으로 힘차게 달려오면서 표시해 놓은 위치에 낫을 내리쳐서 굴러가게 하는 것인데, 이 때 제일 멀리 굴러간 낫이 승리하는 것이다. 낫치기를 잘하는 사람은 낫이 잘 굴러가도록 비교적 낫자루를 짧게 하여 가지고 다닌다. 또한 낫치기는 지방에 따라 다르다. 즉 나무를 한 아름 모아 놓고 약 7내지 8미터 뒤에서 각각 나무 단에 낫을 던진다. 이 때 낫이 바르게 꽂힌 사람이 이기는 것이다. 요즘은 이 같은 놀이도 사라진 것 같다.
xⅳ. 쥐불놀이
이 쥐불놀이는 음력 정월 열 나흗날 저녁과 대보름날 저녁에 주로 소년들이 모여서 논둑이나 밭둑에 말라붙은 풀을 불태우는 것을 말한다. 이와 같은 규반 등의 잡초를 태우는 그 자체보다는, 해충의 알을 태워 죽임으로서 병충해를 예방하여 풍작을 기약 할 수 있다는데 더 큰 의의가 있는 것이다. 그리고 밤에 보는 소년들의 이 쥐불놀이의 광경은 매우 장관이라 하겠다.
결론. “전통놀이”에 대한 report를 마치면서..
우리나라의 귀중한 문화인, 전통놀이에 대해 많은 것을 알게 되어서 인상 깊은 report였던 것 같습니다. 예전에는 많이 해왔던 전통놀이들이 하나 둘씩 점차 사라져가면서 우리의 후손들에게는 이러한 전통놀이를 물려줄 수 없다는 생각이 들어 안타까웠습니다. 우리의 문화인 전통놀이를 지키기 위해서는 우리문화에 대한 자긍심과 맥을 이어나가려는 조금의 관심과 이해를 가지고 있다면, 충분히 전통놀이를 잘 계승해 나갈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이번 report를 통해 예전에는 몰랐었던 전통놀이의 많은 것들을 알 수 있어서 많은 도움이 되는 report였습니다.
추천자료
전통놀이
한국의 전통놀이
일본전통놀이 - 하네츠키, 스고로쿠, 카미후센, 가루타, 가라오케 등
한국의 전통놀이
한국의 전통민속놀이 자료집 (2010년 05월)
우리나라 전통놀이 <윷놀이>
전통놀이 활동계획안
93전통놀이교육의필요성-보고서
4)체육-5. 여가활동 - 조상의 전통놀이 속으로(투호 놀이)
전통놀이를 통한 활동안을 제시하고, 어떤 수학적 지식을 습득하였는지 서술하시오
한국의 전통놀이를 조사하고 그 진행을 위한 지도방법을 정리하기
관광학과-우리문화의 이해(한국_전통_놀이)
[놀이이론과 유아교육] 한국의 전통놀이 (연날리기, 비석치기, 칠교놀이)
아동활동계획서, 수업계획서(전통놀이, 전통의상, 견우와직녀, 한복입기)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