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인간의 자기실현
21세기 프로페셔널
새로운 사회의 특성
정보혁명이후의 지식 근로자
문화와 자기 정체감
사적관계 - 시기심, 어머니와 딸
사회관계 - 현대사회의 성, 사랑, 에로티시즘
인간의 자기실현2
21세기 프로페셔널
새로운 사회의 특성
정보혁명이후의 지식 근로자
문화와 자기 정체감
사적관계 - 시기심, 어머니와 딸
사회관계 - 현대사회의 성, 사랑, 에로티시즘
인간의 자기실현2
본문내용
지하고있음에도 불구하고 - 전적으로 어머니께 떠넘기고 있었다는 것을 깨달았다. 21세기를 살고있는 지금, 가정내에서의 성역할에 관한 전반적인 상황과 사회환경과의 관련성을 이해하고 앞으로는 관계여성의 보살핌과 부드러움등의 특성을 남성들도 체득하도록 하여 지금 세대의 자녀들이 지니는 어머니에 관한 이중적 시각을 거두어 들일수 있도록 해야 하겠다.
인간의 자기 실현 Ⅱ
칼 구스타프 융의 그림자는 인간의 부정적 측면을 의미한다. 인간의 동물적인 사악한 면, 부도덕성과 공격성, 잔인성 등의 원형인데 이 그림자를 투사함으로써 자신을 돌이켜보고 다른 대상으로 떨어져 나간 자기의 분신을 찾을 수 있는 반면 상호간의 불신과 반목, 증오와 갈등을 일으키는 계기가 되기도 한다.
어떤 사람에게 ‘나도 모르게’ ‘공연히’ 거북한 느낌, 불편한 감정, 경멸하는 마음이 일어난다면 분명 그곳에는 무의식의 투사가 일어나고 있고 대개 그 내용은 ‘자아’의 그림자에 해당된다는 융의 이론은 학창시절의 한 친구를 떠올리게 하였다. 나는 긍정적성격으로 어떤 의견이든지 개방적으로 받아들이는 성격이라 타인에 대해서 거부감을 잘 가지지 않는데, 같은 반이었던 한 친구는 자신이 마음에 들지 않는 상대방의 성격에 대해서 불쾌감을 나에게 드러내곤 했었다. 책에 나온 구절 그대로 “재는 주는 것 없이 미워” “여우같애” “이중인격자” 등의 말을 하였는데 나중에 알고보니 다른 아이들로부터 그 친구는 자신이 말한 그대로의 성격을 띈 사람으로 여겨지고 있는 것이었다. 이 사례에서 나는 어떤 사람이 비난하고 싫어하는 성격의 경향이 바로 그 사람 성격의 일부라는 융의 주장의 근거를 확인할 수 있었다. 또 그림자를 투사함으로써 자신 내면을 성찰할 수 있다고 했는데 그 중 내향형과 외향형의 관계에서 나의 무의식에 억압되어 있던 내향형 그림자를 가지고 있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 나는 평소 활발하고 적극적인 성격으로 외향적인 사람에 속하여 외부적인 성과, 많은 사람들의 평가를 중시하고 이에 신경을 많이 쓴다. 그래서 항상 남의 시선을 의식하고 스트레스를 받아 힘들어 하는 경향이 있다. 한편 가끔씩 나도 유치하고 자기 중심적인 경향을 띄어 곤란할때가 종종 있었다. 융은 열등기능을 인식하면 상호비방의 강도가 줄면서 건설적인 토론으로 바뀔수 있고 새로운 발전을 기약할 수 있다고 한다. 나도 앞으로 전체정신을 실현하여 완전한 인격을 추구하면서 온전한 인격을 지니도록 노력해야겠다
인간의 자기 실현 Ⅱ
칼 구스타프 융의 그림자는 인간의 부정적 측면을 의미한다. 인간의 동물적인 사악한 면, 부도덕성과 공격성, 잔인성 등의 원형인데 이 그림자를 투사함으로써 자신을 돌이켜보고 다른 대상으로 떨어져 나간 자기의 분신을 찾을 수 있는 반면 상호간의 불신과 반목, 증오와 갈등을 일으키는 계기가 되기도 한다.
어떤 사람에게 ‘나도 모르게’ ‘공연히’ 거북한 느낌, 불편한 감정, 경멸하는 마음이 일어난다면 분명 그곳에는 무의식의 투사가 일어나고 있고 대개 그 내용은 ‘자아’의 그림자에 해당된다는 융의 이론은 학창시절의 한 친구를 떠올리게 하였다. 나는 긍정적성격으로 어떤 의견이든지 개방적으로 받아들이는 성격이라 타인에 대해서 거부감을 잘 가지지 않는데, 같은 반이었던 한 친구는 자신이 마음에 들지 않는 상대방의 성격에 대해서 불쾌감을 나에게 드러내곤 했었다. 책에 나온 구절 그대로 “재는 주는 것 없이 미워” “여우같애” “이중인격자” 등의 말을 하였는데 나중에 알고보니 다른 아이들로부터 그 친구는 자신이 말한 그대로의 성격을 띈 사람으로 여겨지고 있는 것이었다. 이 사례에서 나는 어떤 사람이 비난하고 싫어하는 성격의 경향이 바로 그 사람 성격의 일부라는 융의 주장의 근거를 확인할 수 있었다. 또 그림자를 투사함으로써 자신 내면을 성찰할 수 있다고 했는데 그 중 내향형과 외향형의 관계에서 나의 무의식에 억압되어 있던 내향형 그림자를 가지고 있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 나는 평소 활발하고 적극적인 성격으로 외향적인 사람에 속하여 외부적인 성과, 많은 사람들의 평가를 중시하고 이에 신경을 많이 쓴다. 그래서 항상 남의 시선을 의식하고 스트레스를 받아 힘들어 하는 경향이 있다. 한편 가끔씩 나도 유치하고 자기 중심적인 경향을 띄어 곤란할때가 종종 있었다. 융은 열등기능을 인식하면 상호비방의 강도가 줄면서 건설적인 토론으로 바뀔수 있고 새로운 발전을 기약할 수 있다고 한다. 나도 앞으로 전체정신을 실현하여 완전한 인격을 추구하면서 온전한 인격을 지니도록 노력해야겠다
추천자료
(인간심리) 일상속에 침투한 권력 매커니즘
야성적 충동을 읽고 - 인간심리와 경제의 상관관계
디자인과 인간심리
2010년 2학기 인간과심리 중간시험과제물 B형(지능과 창의성 관련 이론비교)
인간심리의 이해
[인간과심리B]지능과 창의성에 관한 이론들 중에서 2개를 선정하여 비교
인간과심리 1B) 지능과 창의성 이론에 대한 비교논의(2개의 이론 비교)
인간행태와심리레포트
나는 누구인가(인간심리의이해)
나의 성격(인간심리의 이해)
[KCU] 2013년 인간심리의 여행 기출문제 (여름 계절학기) 입니다.
인간人間의심리여행 레포트
[인간행동과심리] 기억을 잘 하는 방법
[인간행동의심리학적이해]현대사회의 특징과 이에 부합되는 현대인의 특성에 대해 기술하시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