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서론
1.연구목적
2.사례지역 개관
Ⅱ.본론
1.부산시 인구추이
2.부산시 인구감소의 주요원인
1)출생과 사망
2)인구이동(전입과 전출)
3)혼인과 이혼
3.연령별 인구구조의 변화
1)인구구조의 변화
2)고령사회로의 진입
3)노년부양비 및 노령화 지수
Ⅲ.결론
1.부산인구감소와 인구변화의 특징 요약
2.맺음말
1.연구목적
2.사례지역 개관
Ⅱ.본론
1.부산시 인구추이
2.부산시 인구감소의 주요원인
1)출생과 사망
2)인구이동(전입과 전출)
3)혼인과 이혼
3.연령별 인구구조의 변화
1)인구구조의 변화
2)고령사회로의 진입
3)노년부양비 및 노령화 지수
Ⅲ.결론
1.부산인구감소와 인구변화의 특징 요약
2.맺음말
본문내용
.9% 보다 2배 이상 높은 수준으로 부산의 노령화가 심각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부산의 노령화지수는 매년 급격히 상승하여 2010년 63.5%, 2020년 145.9%, 2030년은 232.5%에 달할 것으로 전망된다.
<표14> 전국 및 7대 도시 노령화지수 추이
연도
전국
부산
서울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
2005
47.4
50.8
42.4
41.0
34.2
32.2
33.2
23.9
2010
66.8
63.5
79.0
60.8
51.5
46.1
47.3
39.6
2020
124.2
145.9
121.3
130.0
106.8
94.0
89.2
104.4
2030
214.8
232.5
214.6
231.1
210.5
169.3
179.2
214.0
(단위 : %)
자료 : 시도별 장례인구추계(2005), 통계청
Ⅲ.결론
1.부산인구감소와 인구변화의 특징 요약
①부산시 인구는 7대도시와 달리 1995년 이후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다.
②부산시 인구 자연증가율(출생률-사망률)은 전국 평균 수준보다 낮고 7대도시
중에서는 가장 낮다.
③부산시의 조출생률은 7대도시 중 가장 낮고 조사망률은 가장 높다.
④부산시의 조혼인율은 7대도시 중 가장 낮고 조이혼율도 인천다음으로 가장 높다.
⑤부산시의 노령화 비율은 전국에서 가장 높고 고령사회, 초고령사회로 가장 먼저 진입할 것으로 예상된다.
⑥7대도시와 비교하여 부산은 1990년 이후 전출초과 현상이 심각하게 발생하고 있다.
⑦부산시의 전출초과 현상은 경남(김해, 양산)으로 집중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77.5%)
2.맺음말
부산시의 인구는 1995년 이후 매년 0.5% 내외로 꾸준히 감소하고 있다. 인구감소의 주요원인은 낮은 조출생률, 낮은 조혼인율, 낮은 조이혼율 등에 기반 한다. 특히 이중 출생률 저하는 전국적인 추세이나 부산만이 그 저하 속도가 가파르게 진행되고 있다. 이런 출생률 감소를 완화하기 위해서는 지속적이고 계획적인 출산장려 정책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현재 부산은 산업구조의 변화에 따른 일자리의 감소, 지대가 싼 주변지역으로의 공장이전, 주거비 상승에 따른 인근 도시로의 전출 등으로 인해 인구가 지속적으로 다른 지역으로 유출되고 있다. 부산의 지리적인 특성상 부산의 지형은 기존 시가지를 중심으로 동쪽과 남쪽으로는 바다가 있으며 서쪽과 북쪽으로는 산과 강이 장애물 역할을 하여 부산의 확산을 억제하는 역할을 하였음
인구유입 유인 정책을 펴기에는 다소 어려움이 있으나 지역특성을 살린 해운, 물류산업을 확대시키거나 많은 조성공단 등을 활성화시켜 일자리를 창출하여 전출을 억제할 수 있는 정책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앞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부산시는 대도시 중 가장 먼저 고령화사회로 진입(2002년)하였고, 고령사회(2016년) 또한 다른 도시에 비해 가장 먼저 진입할 것으로 예상되어진다. 고령화사회에서 고령사회로의 진입은 전국평균 18년, 부산, 서울이 14년, 대구, 인천이 15년, 광주, 대전이 16년, 울산이 10년 걸릴 것으로 예상되어지고 부산시는 고령사회에서 초고령사회로의 진입도 2023년으로 다른 도시에 비해 가장 먼저 진입할 것으로 전망된다. 빠른 고령사회로의 진입은 한국 전체가 겪어야 할 시련이나, 특히 부산이 타 도시보다 빠르게 고령사회로 진입한다는 것은 부산 젊은이들의 사회보장비지출 부담을 가중시킴으로서 부산 젊은이들의 타 지역으로의 전출을 더욱 촉진시킬 것이다. 이를 막기 위해서는 사회보장비제도를 잘 갖추어 젊은이들의 사회보장비지출 부담을 낮춰 주어야하고 다가오는 고령사회를 준비하여 환경, 문화 등 사회적인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정책 및 고령사회를 맞을 준비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표14> 전국 및 7대 도시 노령화지수 추이
연도
전국
부산
서울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
2005
47.4
50.8
42.4
41.0
34.2
32.2
33.2
23.9
2010
66.8
63.5
79.0
60.8
51.5
46.1
47.3
39.6
2020
124.2
145.9
121.3
130.0
106.8
94.0
89.2
104.4
2030
214.8
232.5
214.6
231.1
210.5
169.3
179.2
214.0
(단위 : %)
자료 : 시도별 장례인구추계(2005), 통계청
Ⅲ.결론
1.부산인구감소와 인구변화의 특징 요약
①부산시 인구는 7대도시와 달리 1995년 이후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다.
②부산시 인구 자연증가율(출생률-사망률)은 전국 평균 수준보다 낮고 7대도시
중에서는 가장 낮다.
③부산시의 조출생률은 7대도시 중 가장 낮고 조사망률은 가장 높다.
④부산시의 조혼인율은 7대도시 중 가장 낮고 조이혼율도 인천다음으로 가장 높다.
⑤부산시의 노령화 비율은 전국에서 가장 높고 고령사회, 초고령사회로 가장 먼저 진입할 것으로 예상된다.
⑥7대도시와 비교하여 부산은 1990년 이후 전출초과 현상이 심각하게 발생하고 있다.
⑦부산시의 전출초과 현상은 경남(김해, 양산)으로 집중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77.5%)
2.맺음말
부산시의 인구는 1995년 이후 매년 0.5% 내외로 꾸준히 감소하고 있다. 인구감소의 주요원인은 낮은 조출생률, 낮은 조혼인율, 낮은 조이혼율 등에 기반 한다. 특히 이중 출생률 저하는 전국적인 추세이나 부산만이 그 저하 속도가 가파르게 진행되고 있다. 이런 출생률 감소를 완화하기 위해서는 지속적이고 계획적인 출산장려 정책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현재 부산은 산업구조의 변화에 따른 일자리의 감소, 지대가 싼 주변지역으로의 공장이전, 주거비 상승에 따른 인근 도시로의 전출 등으로 인해 인구가 지속적으로 다른 지역으로 유출되고 있다. 부산의 지리적인 특성상 부산의 지형은 기존 시가지를 중심으로 동쪽과 남쪽으로는 바다가 있으며 서쪽과 북쪽으로는 산과 강이 장애물 역할을 하여 부산의 확산을 억제하는 역할을 하였음
인구유입 유인 정책을 펴기에는 다소 어려움이 있으나 지역특성을 살린 해운, 물류산업을 확대시키거나 많은 조성공단 등을 활성화시켜 일자리를 창출하여 전출을 억제할 수 있는 정책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앞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부산시는 대도시 중 가장 먼저 고령화사회로 진입(2002년)하였고, 고령사회(2016년) 또한 다른 도시에 비해 가장 먼저 진입할 것으로 예상되어진다. 고령화사회에서 고령사회로의 진입은 전국평균 18년, 부산, 서울이 14년, 대구, 인천이 15년, 광주, 대전이 16년, 울산이 10년 걸릴 것으로 예상되어지고 부산시는 고령사회에서 초고령사회로의 진입도 2023년으로 다른 도시에 비해 가장 먼저 진입할 것으로 전망된다. 빠른 고령사회로의 진입은 한국 전체가 겪어야 할 시련이나, 특히 부산이 타 도시보다 빠르게 고령사회로 진입한다는 것은 부산 젊은이들의 사회보장비지출 부담을 가중시킴으로서 부산 젊은이들의 타 지역으로의 전출을 더욱 촉진시킬 것이다. 이를 막기 위해서는 사회보장비제도를 잘 갖추어 젊은이들의 사회보장비지출 부담을 낮춰 주어야하고 다가오는 고령사회를 준비하여 환경, 문화 등 사회적인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정책 및 고령사회를 맞을 준비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추천자료
소득불평등 및 빈곤의 실태와 정책과제 (소득분배 소득이동)
지역사회 자원(부산시)
[사회복지정책]장애인 이동권 현황과 해결방안 및 문제점
척수 손상자의 특성과 신체이동 동작
[사회복지]노인들을 위한 이동목욕서비스 욕구조사 [질문지 및 SPSS분석]
[장애인차별][장애인차별규제]장애인차별의 개념, 장애인고용차별규제의 의의, 장애인고용차...
북한 IT산업의 실상(북한의 전기통신, 이동통신, 전자공업 제품생산, 인터넷 연결 현황)
KT의 이동통신시장에서의 1위달성을 위한 마케팅조사(제품분석,프로모션전략,빈도분석,종속변...
조류(새)의 특징, 언어, 조류(새)의 이동, 번식기, 조류(새)의 부리, 관찰, 조류(새)와 야생...
[세계의 문화] 미국(United States of America)의 문화 (미국 소개와 역사, 미국 원주민의 역...
[한국 여가사회의 미래상] 우리나라 여가사회의 미래 (고령화사회로·소프트(soft)화 사회로·...
고등교육(대학교육)의 수요, 고등교육(대학교육)의 이동경로, 고등교육(대학교육)의 인력추계...
2017년 보건교육A형) 감정노동자의 스트레스관리에 대한 보건교육 -개별적으로 개인이나 집단...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