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ⅰ. 전통문화의 개념
ⅱ. 전통문화의 분류
ⅲ. 전통문화를 잘 지켜야 하는 까닭
ⅳ. 전통문화의 교육 내용
ⅴ. 전통문화와 국어교과
Ⅲ. 결론
Ⅱ. 본론
ⅰ. 전통문화의 개념
ⅱ. 전통문화의 분류
ⅲ. 전통문화를 잘 지켜야 하는 까닭
ⅳ. 전통문화의 교육 내용
ⅴ. 전통문화와 국어교과
Ⅲ. 결론
본문내용
적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그렇게 하기 위해서는 속담을 현대적으로 변용한다든지, 비슷한 상황에서 사용되는 속담들을 모아 살펴본다든지 속담 잇기 게임을 통해 속담을 능동적으로 구사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2) 전통적 말놀이
관용어, 전통적 말놀이, 금기어, 수수께끼, 고유 지명 등은 현재의 국어 생활에서도 사용되고 있으나 차츰 사라져 가는 것들이다. 그러나 여기에는 국어 문화의 본질이 담겨져 있다. 그 중 전통적 말놀이는 언문불일치-글을 쓰는 것은 한자이고 말하는 것은 우리말- 때문에 만들어진 말놀이로 한자와 고유어와의 상관관계를 이용한 말놀이이다. 이 전통적 말놀이는 우리 조상들의 유머감각을 키우고, 지식을 늘리며, 일상생활에서 오는 피곤함을 웃음으로 해소하는 일종의 해학과 풍자의 방편으로 사용되었다.
(1) 한자의 동음성을 이용한 말놀이
① 보리 뿌리 맥근맥근(麥根麥根-매끈매끈)
머귀 열매 동실동실(桐實桐實-동실동실)
보리 뿌리란 의미를 가진 한자어 맥근(麥根)과, 머귀(오동나무) 열매란 의미를 가진 한자어 동실(桐實)을 사용하여 각각 우리말 의태어인 '매끈'과 '동실'을 나타냈다.
② 춘향가 중 "너의 서방인지 남방인지 걸인하나 내려 왔다."
남편의 속된 말인 서방(書房)을 음이 같은 서방(西方)으로 여기고, 여기에 짝을 맞춘 남방(南方)을 넣어서 해학적으로 표현하였다.
③ 봉산탈춤 중 "개잘량이라는 '양'자에 개다리소반이라는 '반'자 쓰는 양반이 나오신단 말이오."
양반은 특권계층인 동반인 문반과 서반인 무반을 일컫는 말인데, 발음상의 유사성을 이용하여, 이것을 비천한 뜻을 가진 '개다리'라는 말로 비하하고 있다.
(2) 한시(漢詩)에서 나타나는 말놀이
김삿갓의 한시가 대표적이다.
六月炎天鳥座睡(유월 염천에 새(조 좌수)는 앉아 졸고)
九月凉風蠅盡死(구월 찬바람에 파리(승 진사)들 다 죽는구나.)
한시의 내용은 새가 졸고 파리가 죽었다는 것이지만, 좀더 깊이 생각해보면, 한자어 鳥座睡(조좌수, 졸고 있는 새)는 조씨 성을 가진 좌수(座首, 조선시대 지방 군, 현의 수령을 보좌하던 자문기관인 유향소의 벼슬.)를 의미하고, 蠅盡死(승진사, 죽은 파리)는 승씨 성을 가진 진사임을 나타냄으로써 아는 것도 별로 없으면서 재산만 믿고 큰소리 치는 '조 좌수'와 '승 진사'를 비꼬아 놀려주는 풍자의 의미를 가졌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전통적 말놀이를 통해 조상들의 유희나 풍자의 본질을 알 수 있도록 유희나 풍자에 초점을 두고 살펴보아야 한다. 그리고 현대인의 국어 생활의 구체적인 양상과 대응시키거나 전통적 말놀이를 스스로 해보는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 또한 전통적 말놀이 퀴즈를 학생들에게 제시함으로써 학생들의 흥미와 호기심을 자극하여 동기를 유발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전통적 말놀이 퀴즈 예시
) http://cafe.naver.com/hdfevernova.cafe에서 참고
다음은 전통적 말놀이를 계승하여 한자의 동음성을 이용한 재미있는 말놀이 노래의 일부분이다. 다음을 읽고, 본래 어떤 노래인지 맞추어 보자.
窓外部觀察 窓外部觀察 白雪而 降下中
(창외부관찰 창외부관찰 백설이 강하중)
窓外部觀察 窓外部觀察 東界時尊 開幕.
(창외부관찰 창외부관찰 동계시존 개막.)
嫩車搭乘中 幼稚園集團 時間感覺 完全喪失...
(눈차탑승중 유치원집단 시간감각 완전상실)...
정답: 창 밖을 보라
'창 밖을 보라'라는 동요의 뜻 부분을 한자를 이용하여 표현하여 재미난 말놀이 노래를 만들었다.
3) 전통적인 수사, 완곡어법, 직설어법
) 고영근.『표준 중세 국어 문법론』. 집문당, 1997
전통적인 수사는 한자어를 기반으로 하는 수사와 고유어를 기반으로 하는 수사 로 비교해 볼 수 있으며 유교적, 불교적, 민간 신앙적 세계관과 관련하여 수사의 모습을 특징화한다. 그리고 완곡어법과 직설어법은 자체만 강조하여 내용화하기 보다는 맥락에서 이해할 수 있도록 다양한 사례를 내용으로 선정해야 한다.
Ⅲ. 결론
전통문화는 우리 겨레의 뿌리이며, 우리가 더 나은 풍요로운 삶을 살아가기 위해, 그리고 무한경쟁의 시대를 헤쳐 나가기 위해 꼭 필요한 문화이다. 그렇기 때문에 우리는 우리의 전통문화를 발전시키고 계승시킬 필요가 있다. 그러나 요즘 시대에는 범람하는 외국문화 때문에 그것이 쉬운 일이 아니며, 오히려 전통문화에 대한 관심이 소홀해지고 있다. 따라서 우리는 전통문화에 대한 소중함과 필요성을 알림으로써 전통문화를 살려야 할 필요가 있다. 그러기 위해서는 이해를 바탕으로 한 전통문화에 대한 교육이 필요하다.
본 레포트에서는 전통문화에 대한 많은 지식을 교과내용으로 다루기보다는 그것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활용하는 방법에 대하여 생각해 보았다. 한글은 전통문화 중, 국어교과에서 가장 근간(根幹)이 되는 것으로 한글에 대한 이해가 바탕에 깔려 있어야만 국어교과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가 가능할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학습초기에 학생들에게 한글에 대한 내용과 한글의 우수성을 알려줘야 한다. 이것은 국어교과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도울 뿐만 아니라 학생들에게 한글에 대한 자부심과 긍지를 높여줄 것이다. 학습초기에 한글에 대하여 가르쳤다면, 그 다음에는 선인들의 언어관에 대해 이해하고 그 의미를 재발견하는 것이 필요하다. 선인들이 사용했던 글과 말들-위에 제시한 속담이나 전통적 말놀이 등-에는 그들의 가치관이나 생활관 등이 내포되어 있다. 그것들을 실제적 맥락 속에서 이해하고 활용하는 방법을 통해 학생들을 가르친다면, 학생들은 자연스럽게 선인들에 대한 가치관이나 세계관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이렇게 언어에 대한 이해를 통해 선인들에 대해 알게 된다면 그것이 전통문화에 대한 이해로 나아갈 것이라고 생각된다.
이러한 전통문화를 쉽게 이해하려면, 대부분의 전통문화가 평소에 쉽게 접근하지 못했고 잘 모르는 것일 수 있기 때문에, 국어교과에 활용할 경우에는 학생들의 이해를 쉽게 돕기 위한 시청각적인 자료가 꼭 필요하다고 생각되어진다. 그러나 본 레포트에서는 많은 자료를 구비하지 못한 까닭으로 학생들이 쉽게 이해할 수 있으며 장기적으로 기억할 수 있는 시청각자료를 활용하지 못했다는 점이 매우 아쉽다.
2) 전통적 말놀이
관용어, 전통적 말놀이, 금기어, 수수께끼, 고유 지명 등은 현재의 국어 생활에서도 사용되고 있으나 차츰 사라져 가는 것들이다. 그러나 여기에는 국어 문화의 본질이 담겨져 있다. 그 중 전통적 말놀이는 언문불일치-글을 쓰는 것은 한자이고 말하는 것은 우리말- 때문에 만들어진 말놀이로 한자와 고유어와의 상관관계를 이용한 말놀이이다. 이 전통적 말놀이는 우리 조상들의 유머감각을 키우고, 지식을 늘리며, 일상생활에서 오는 피곤함을 웃음으로 해소하는 일종의 해학과 풍자의 방편으로 사용되었다.
(1) 한자의 동음성을 이용한 말놀이
① 보리 뿌리 맥근맥근(麥根麥根-매끈매끈)
머귀 열매 동실동실(桐實桐實-동실동실)
보리 뿌리란 의미를 가진 한자어 맥근(麥根)과, 머귀(오동나무) 열매란 의미를 가진 한자어 동실(桐實)을 사용하여 각각 우리말 의태어인 '매끈'과 '동실'을 나타냈다.
② 춘향가 중 "너의 서방인지 남방인지 걸인하나 내려 왔다."
남편의 속된 말인 서방(書房)을 음이 같은 서방(西方)으로 여기고, 여기에 짝을 맞춘 남방(南方)을 넣어서 해학적으로 표현하였다.
③ 봉산탈춤 중 "개잘량이라는 '양'자에 개다리소반이라는 '반'자 쓰는 양반이 나오신단 말이오."
양반은 특권계층인 동반인 문반과 서반인 무반을 일컫는 말인데, 발음상의 유사성을 이용하여, 이것을 비천한 뜻을 가진 '개다리'라는 말로 비하하고 있다.
(2) 한시(漢詩)에서 나타나는 말놀이
김삿갓의 한시가 대표적이다.
六月炎天鳥座睡(유월 염천에 새(조 좌수)는 앉아 졸고)
九月凉風蠅盡死(구월 찬바람에 파리(승 진사)들 다 죽는구나.)
한시의 내용은 새가 졸고 파리가 죽었다는 것이지만, 좀더 깊이 생각해보면, 한자어 鳥座睡(조좌수, 졸고 있는 새)는 조씨 성을 가진 좌수(座首, 조선시대 지방 군, 현의 수령을 보좌하던 자문기관인 유향소의 벼슬.)를 의미하고, 蠅盡死(승진사, 죽은 파리)는 승씨 성을 가진 진사임을 나타냄으로써 아는 것도 별로 없으면서 재산만 믿고 큰소리 치는 '조 좌수'와 '승 진사'를 비꼬아 놀려주는 풍자의 의미를 가졌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전통적 말놀이를 통해 조상들의 유희나 풍자의 본질을 알 수 있도록 유희나 풍자에 초점을 두고 살펴보아야 한다. 그리고 현대인의 국어 생활의 구체적인 양상과 대응시키거나 전통적 말놀이를 스스로 해보는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 또한 전통적 말놀이 퀴즈를 학생들에게 제시함으로써 학생들의 흥미와 호기심을 자극하여 동기를 유발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전통적 말놀이 퀴즈 예시
) http://cafe.naver.com/hdfevernova.cafe에서 참고
다음은 전통적 말놀이를 계승하여 한자의 동음성을 이용한 재미있는 말놀이 노래의 일부분이다. 다음을 읽고, 본래 어떤 노래인지 맞추어 보자.
窓外部觀察 窓外部觀察 白雪而 降下中
(창외부관찰 창외부관찰 백설이 강하중)
窓外部觀察 窓外部觀察 東界時尊 開幕.
(창외부관찰 창외부관찰 동계시존 개막.)
嫩車搭乘中 幼稚園集團 時間感覺 完全喪失...
(눈차탑승중 유치원집단 시간감각 완전상실)...
정답: 창 밖을 보라
'창 밖을 보라'라는 동요의 뜻 부분을 한자를 이용하여 표현하여 재미난 말놀이 노래를 만들었다.
3) 전통적인 수사, 완곡어법, 직설어법
) 고영근.『표준 중세 국어 문법론』. 집문당, 1997
전통적인 수사는 한자어를 기반으로 하는 수사와 고유어를 기반으로 하는 수사 로 비교해 볼 수 있으며 유교적, 불교적, 민간 신앙적 세계관과 관련하여 수사의 모습을 특징화한다. 그리고 완곡어법과 직설어법은 자체만 강조하여 내용화하기 보다는 맥락에서 이해할 수 있도록 다양한 사례를 내용으로 선정해야 한다.
Ⅲ. 결론
전통문화는 우리 겨레의 뿌리이며, 우리가 더 나은 풍요로운 삶을 살아가기 위해, 그리고 무한경쟁의 시대를 헤쳐 나가기 위해 꼭 필요한 문화이다. 그렇기 때문에 우리는 우리의 전통문화를 발전시키고 계승시킬 필요가 있다. 그러나 요즘 시대에는 범람하는 외국문화 때문에 그것이 쉬운 일이 아니며, 오히려 전통문화에 대한 관심이 소홀해지고 있다. 따라서 우리는 전통문화에 대한 소중함과 필요성을 알림으로써 전통문화를 살려야 할 필요가 있다. 그러기 위해서는 이해를 바탕으로 한 전통문화에 대한 교육이 필요하다.
본 레포트에서는 전통문화에 대한 많은 지식을 교과내용으로 다루기보다는 그것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활용하는 방법에 대하여 생각해 보았다. 한글은 전통문화 중, 국어교과에서 가장 근간(根幹)이 되는 것으로 한글에 대한 이해가 바탕에 깔려 있어야만 국어교과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가 가능할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학습초기에 학생들에게 한글에 대한 내용과 한글의 우수성을 알려줘야 한다. 이것은 국어교과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도울 뿐만 아니라 학생들에게 한글에 대한 자부심과 긍지를 높여줄 것이다. 학습초기에 한글에 대하여 가르쳤다면, 그 다음에는 선인들의 언어관에 대해 이해하고 그 의미를 재발견하는 것이 필요하다. 선인들이 사용했던 글과 말들-위에 제시한 속담이나 전통적 말놀이 등-에는 그들의 가치관이나 생활관 등이 내포되어 있다. 그것들을 실제적 맥락 속에서 이해하고 활용하는 방법을 통해 학생들을 가르친다면, 학생들은 자연스럽게 선인들에 대한 가치관이나 세계관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이렇게 언어에 대한 이해를 통해 선인들에 대해 알게 된다면 그것이 전통문화에 대한 이해로 나아갈 것이라고 생각된다.
이러한 전통문화를 쉽게 이해하려면, 대부분의 전통문화가 평소에 쉽게 접근하지 못했고 잘 모르는 것일 수 있기 때문에, 국어교과에 활용할 경우에는 학생들의 이해를 쉽게 돕기 위한 시청각적인 자료가 꼭 필요하다고 생각되어진다. 그러나 본 레포트에서는 많은 자료를 구비하지 못한 까닭으로 학생들이 쉽게 이해할 수 있으며 장기적으로 기억할 수 있는 시청각자료를 활용하지 못했다는 점이 매우 아쉽다.
키워드
추천자료
[고전문학]국선생전 - 작품분석, 문학사적 위상, 연구사
[한국의문화] 한국 전통문화 ‘떡’에 대한 고찰 및 세계화 방안 연구
청대(청나라)의 고전문학연구
레포트_인문학(한중일전통가구문화 비교)
일본고전문학 원씨물어(겐지모노가타리)와 자식부, 일본고전문학 원씨물어(겐지모노가타리)의...
[일본고전]일본고전문학 군기물어의 역사적 배경과 개념, 일본고전문학 군기물어중 평가물어 ...
[세시풍속][계절별 세시풍속][월별 세시풍속][띠별 세시풍속][12지신][12간지 세시풍속]세시...
한국전통문화 활동화를 위한 정부에서의역할
[일본전통문화] 전통문화 라쿠고(落語)의 현대적 의미
숨겨진 욕망의 발현, 영웅소설 [고전민중문학사에서의 영웅이란]
[고전문학 교육론] 대안교재를 활용한 고전문학수업 지도안 연구 - 운영전(雲英傳) - 손가락...
[고전문학 교육론] 협동학습을 통한 고전수필 교육 - 슬견설 양아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