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문학 교육론] 대안교재를 활용한 고전문학수업 지도안 연구 - 운영전(雲英傳) - 손가락에 잘못 떨어진 먹물 한 방울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고전문학 교육론] 대안교재를 활용한 고전문학수업 지도안 연구 - 운영전(雲英傳) - 손가락에 잘못 떨어진 먹물 한 방울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I. 서론
1, 현행 고전문학교육의 문제점
2, 수업에서의 대안교재 활용의 의의

II. 본론
1. 교재연구
2. 수업연구

III.결론

본문내용

aracter Map)를 너무 자세하게 작성하는 것은 시간적인 제약에서나 학생들이 느끼는 부담감을 고려해서도 현실적이지 못하다. 이러한 인물지도 만들기에 대해서는 사전에 학생들에게 충분한 경험의 기회를 주거나 적어도 교사가 예를 들어 친절히 작성방법을 설명해주는 것이 학생들이 스스로 인물지도(Character Map)를 만들면서 내용을 파악하고 정리하는 데 수월할 것이다. 때문에 학생들이 ‘운영전’의 인물들간의 관계를 가장 효율적으로 구조화할 수 있는 인물지도 모형을 만들어 보도록 학생들을 유도해야 한다.
예를 들어 김진사가 궁녀들과 특의 도움으로 궁궐에 숨어들어 운영과 밀애를 나누는 단계의 인물지도는 다음과 같은 모형 이 모형은 본 수업 연구중 임시로 상정해본 것으로 학생들의 수행 과정등을 거치면서 지속적으로 보완하는 것이 필요함을 밝혀둔다.
이 나올 수 있을 것이다.
궁녀들
⑦↑ ↓⑧
안평대군
⑨↑ ↓⑩
③↑ ↓④
⑤↑ ↓⑥
운영
①→
②←
김진사
⑪→
⑫←

1. <①, ②> 운영과 김진사 와의 관계
① : 궁궐에서 김진사와 만난 운영, 김진사에 대한 열렬한 애정
② : 궁궐에 숨어들어 운영을 만난 김진사, 운영에 대한 열렬한 애정
2. <③, ④> 안평대군과 운영의 관계
③ : 김진사와의 관계를 안평대군에게 속이는 운영, 발각되는 것을 두려워 하기 시작함.
④ ; 여전히 운영을 아끼지만 김진사와의 관계를 확실히 눈치채지는 못하고 있는 안평대군.
3. ...(생략)
토의나 인물지도만들기 과정에서 한 두 사람만 이야기하거나 기록하게 되는 분위기가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각자 모둠에서 돌아가며 역할을 분담하게 하는 등의 방법을 사용하고, 교사가 계속 모둠활동 상황을 확인하도록 한다.
이 때, 내용 자체에 대해 교사가 비판을 목적으로 참견하는 것을 피해야 하되, 특별히 독창적인 내용이 있을 때는 왜 그렇게 생각했는지를 질문하고 근거있게 칭찬해주는 등의 반응은 학생들의 동기부여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수 있다.
등장하는 인물들을 재확인하고 그들의 관계를 알아보고 각 인물들의 심정을 짐작해 볼 수 있는 학습활동 문항의 예는 다음과 같다.
1차시 학습활동
학년 반 모둠
이 름 :
1. 김생과 운영의 사랑을 도와주는 인물에는 누구누구가 있습니까?
그 사람들은 김생과 운영을 각각 어떻게 도와주었습니까?
왜 도와주었을까요?
2. 김생과 운영의 사랑을 어렵게 하는 인물에는 누구누구가 있습니까?
그 사람들은 김생과 운영을 각각 어떻게 방해했습니까?
왜 방해했을까요?
3. 운영이 죽었을 때 안평대군의 심정은 어떠했을까요?
왜 안평대군은 그런 심정을 느꼈을까요?
4. 운영과 도망치려고 했던 김진사는 결국 포기합니다.
만약 자신이 김진사였다면 어떻게 했을까요?
5. 함께 도망치자는 김진사의 말을 운영은 결국 들어주지 않았습니다..
만약 자신이 운영이었다면 어떻게 했을까요?
6. 만약 자신이 유영과 함께 운영과 김진사의 이야기를 들었다면
과연 유영과 똑같이 행동했을까요?
단계
교수-학습 활동
시간
마무리
1. 교사의 보충 설명과 마무리
- 작품의 전반적인 지식에 대해서 간단히 보충(몽유록 형식 포함)
- 다음 수업 예고를 하며 마무리
10분
교사가 수업 내용을 간단히 정리하고 앞에서 언급했다시피 고전문학작품의 몽유록 형식을 포함한 ‘운영전’의 전반적인 지식적 정보를 보충하며 마무리한다. 이 때 학생들이 작성한 학습활동 문항이나 인물지도는 교실에 게시하여 서로 다름 모둠의 결과물을 자기 모둠의 것과 비교해 볼 수 있도록 한다.
<2차시 수업>
운영전(雲英傳) - 손가락 끝에 잘못 떨어진 먹물 한 방울
2/2
학습
목표
1. 시대적 현실을 이해하고 인물들의 의식, 행동을 관련지어 감상할 수 있다.
2. 갈등구조에 대한 이해를 심화하여 비극적인 결말 처리를 이해한다.
단계
교수-학습 활동
시간
도입
1. 전 수업내용에 대해 간단히 언급
2. 해당 수업소개
10분
전 수업내용을 교사가 수업 전에 언급해 주는 것은 학습자들이 전 시간에 학습한 내용을 회상시키기 위해서이므로 중요한 과정이지만 지나치게 길어지지 않도록 주의한다.
단계
교수-학습 활동
시 간
전개
1. 각 모둠 별로 조사한 조선 시대 궁녀의 실상에 대해 발표
2. 교사의 설명
3. 모둠 토의를 통한 신문 사설 만들기.
30분
각 모둠별로 준비한 내용을 모든 학생들 앞에서 발표한다. 이 때 시청각 자료를 활용하는 것이 좋지만 여건이 허락하지 않았을 시 교사가 과제를 부여하면서 이를 미리 파악하여 시청각 보조자료를 준비, 학생들에게 보여주는 것도 좋다. 지나치게 시간이 지체되지 않도록 주의한다.
교사는 지금까지의 내용을 종합하여 인물들의 갈등구조와 시대와의 관계를 관련시켜 결말에까지 미치는 영향을 구조화하여 정리한다. 이 때 교사의 개인적인 주관을 피력하기 보다는 학생들이 이 문학작품의 내용에 대해 자연스럽게 입장을 정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교사의 설명이 마무리 되면 모둠 토의를 통해 입장을 정리하고 ‘운영과 김진사 자살사건’에 대한 신문사설쓰기를 수행한다. 이 때의 사설은 이전의 국어 수업과 연관하여 사설의 구성 및 표현 양식에 부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 할 것이다.
III. 결론을 대신하며
사실 우리는 지금까지 교과서를 도구로 하는 수업이 아닌 교과서를 가르치는 수업을 해 왔다는 비판을 받았다. 교과서를 마치고 문제풀이를 거듭하여 입시를 준비하는 수업은 마땅히 지양되어야 한다고 수능출제자나 교사나 학생들까지 입을 모으지만, 아직도 교과서만 가르치기에도 벅찬데다가 다른 것으로 가르치려고 해도 여건이 뒷받침되지 않는 경우도 있다. 또한 현실적으로 텍스트의 개발이나 적절한 구성의 교재는 부족한 실정이며 그에 맞는 교수-학습 방법의 개발도 부족한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그렇다고 해서 대안교재의 필요성 및 그와 관련한 교육적 노력을 등한시 할 수는 없는 일이다.
현실을 좀더 나은 방향으로 돌릴 수 있는 힘이 교육에 있다고 믿는다. 그 힘은 교과서에도 있을 것이고 교과서 밖에서도 있을 것이다. 가능성에 대한 부족한 시도였지만 앞으로 부족한 부분을 계속 보충해 나갈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 가격1,8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18.06.03
  • 저작시기2018.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5616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