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주제 선정 동기
Ⅱ. 발달적 특성
<3월 월간 계획안>
<3월 3주차 주간 계획안>
<일일 교육 계획안 - 1>
<일일 활동 계획안 - 1>
<일일 교육 계획안 - 2>
<일일 활동 계획안 - 2>
<본 활동 모의수업 Script>
Ⅲ. 마무리하며(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Ⅱ. 발달적 특성
<3월 월간 계획안>
<3월 3주차 주간 계획안>
<일일 교육 계획안 - 1>
<일일 활동 계획안 - 1>
<일일 교육 계획안 - 2>
<일일 활동 계획안 - 2>
<본 활동 모의수업 Script>
Ⅲ. 마무리하며(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본문내용
요? 이 친구들은 무얼 하고 있는지 원미가 말 해볼까?
C (원미) : 물 내리고 있어요.
T : 맞아요. 우리 원미는 정말 잘 알고 있구나. 이 친구는 지금 화장실 변기 에 물을 내리고 있어요. 우리 친구들이 쉬야랑 응가를 하고 그냥 밖으로 나온다면 다음 친구가 화장실에 들어갈 때 기분이 어떨까요?
C (나라) : 나빠요.
C (진희) : 더러워요,
C (서연) : 냄새나요.
T : 맞아요. 냄새나고 더러워서 다음 사람이 쉬야나 응가를 할 수가 없게 돼 요. 그래서 우리는 꼭 물을 내려야 해요. 변기 뒤에 보면 버튼이 보이지 요? 그 버튼을 힘을 꽉 주고 눌러주는 거 에요. 그럼 깨끗한 물이 내려 와서 다시 깨끗한 변기가 될 거에요. 우리 친구들 잘 할 수 있겠어요?
C (모두) : 네~!
C (주연) : 그런데요, 선생님 저는 잘 모르겠어요.
T : 주연이가 조금 어렵구나. 이 그림을 다 보고 난 후에 선생님과 함께 화 장실에서 직접 해 볼 거 에요. 조금 이따 한 번 더 잘 설명해 줄게요.
C (주연) : 네~
T : 자, 그럼 마지막으로 이 그림을 볼까요? 이 친구는 지금 무얼 하고 있나 요? 이번에는 정화가 말해볼까?
C (정화) : 손을 씻고 있어요.
T : 맞아요. 손을 씻고 있어요. 화장실에는 나쁜 세균들이 많이 살고 있어요. 나쁜 세균은 너무 작아서 우리 눈에 잘 보이지 않아요. 그렇지만 꼭 손 을 깨끗이 씻어서 나쁜 세균이 우리 친구들에 손에 살지 못하도록 해야 해요. 손을 깨끗하게 다 씻은 친구는 수건으로 손을 닦고 교실로 들어오 면 되는 거 에요.
우리 친구들 깨끗하게 손 씻기 잘 할 수 있나요?
C (모두) : 네~!
마무리
T : 오늘은 우리 친구들이 화장실 가고 싶을 때는 어떻게 해야 하는지, 그리 고 화장실을 이용할 때 꼭 지켜야 할 규칙에 대해 배웠어요. 우리 친구 들이 한번 이야기 해 볼까요?
화장실에 가고 싶을 때는?
C (모두) : 선생님한테 꼭 말해요~!
T : 화장실에 들어가면 뭐해야 하죠?
C (잎새) : 문을 똑똑 두드려야 해요~
C (나라) : 옷을 꼭 입고 나와야 해요~
C (원미) : 물도 꼭 내려요~
C (진희) : 손도 꼭 씻어야 되요~
T : 우아. 맞아요~ 우리 친구들 모두 다 잘 알고 있네요. 화장실에 가고 싶 을 때는 선생님한테 꼭 말하고, 화장실에 갔을 때는 오늘 배운 대로 꼭 해보도록 해요~ 그럼 선생님이 이 그림을 화장실 앞에 붙여 놓도록 할 게요. 자, 다음시간은 우리 친구들이 좋아하는 간식 시간이에요. 간식 먹 기 전에 뭘 해야 하죠?
C (주연) : 손 씻어요!
T : 그래요~ 간식 먹기 전에 화장실에 가서 손도 씻고, 선생님이랑 같이 그 림으로 본 내용들을 직접 해보기로 해요.
C (모두) : 네~
Ⅲ. 마무리하며(결론 및 제언)
이번 리포트를 통하여 3월의 월간, 주간, 일간, 활동계획안을 구성해 보았다. 또한 발표할 일일생활계획의 모의수업script로 ‘화장실에 갈래요 설정하고 실행하였다. 이번 모의 수업에 대한 script는 첫째로 모의수업의 주제가 희소성이 있었다는 점, 둘째로 교사와 아동간의 발언권이 동등하게 주어지며 상호 의사소통이 잘 이루어졌다는 점을 높이 살만하다. 그러나 물론 우리의 계획안이 완벽하지만은 않았으며, 앞으로 더 나은 수업 계획으로서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몇 가지 제언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이에 본 활동계획안의 아쉬웠던 점과 더 바람직한 일일생활계획을 위한 제언을 하자면 다음과 같다.
첫째, 월간교육계획안의 주제 중 ‘엄마아빠 다녀오세요., ‘고루고루 잘 먹어요’ 등과 같이 생활 속에서 지켜야 할 교육내용들은 기관 내에서의 교육만이 아닌 유아교육기관 밖의 생활과 가정과의 연계를 통한 교육이 더욱 효과적일 것 이다.
부모님께 인사하는 인사예절이나 그 밖의 생활교육을 가르치는 것은 유아교육기관 내에서 만 생활규칙을 지키는 것뿐만이 아니라 유아교육기관 밖에서 바르게 실천으로 행하는 것이 더 큰 목적이다. 그러므로 가정통신문이라던가 부모교육을 통하여 올바른 생활교육을 유아교육기관 안팎으로 실행할 필요가 있다.
둘째, 주간교육계획안 중 ‘화장실에 갈래요’ 라는 주제가 과연 주간교육계획으로 올바른 주제였는가에 대하여 다시 한 번 고찰해 볼 필요가 있다.
아동의 배변과 그 배변의사의 표현, 그리고 배변실수를 줄이는 일은 아동에게 있어 매우 민감하고 중요한 과업 중 하나이다. 따라서 화장실 사용법과 배변의사 표현법을 가르치는 것은 유아교육기관에서 꼭 거쳐 가야 할 주제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그만큼 민감한 주제이며 무엇보다 아동 간의 개인차가 큰 활동이기 때문에 교사가 이 주제를 통한 수업을 일주일 내내 이끌어가기 보다는 아동 개개인과의 상호작용과 적절하고 긍정적인 피드백을 통한 교육이 더 중요하지 않나 하는 생각이 든다. 또한 배변훈련은 개인차가 크다는 이유 때문에 배변훈련이 늦되는 아동들은 배변훈련을 강조하는 수업을 주간교육계획에 따라 일주일 내내 받을 경우 오히려 배변훈련과 배변의사의 표현에 대한 부담감을 느낄 수도 있기 때문에 주의해야 할 것이다.
이렇게 월간교육계획안부터 일일활동계획안까지 만들고 이를 모의수업에 적용하여 script까지 짜 보았다. 이번 계획안이 비록 현장에서 직접 쓰이는 것이 아니라는 점은 아쉬웠지만, 이번 기회를 통하여 우수한 교육계획안의 중요성을 깨달았으며 교사가 아동들을 위한 교육계획안을 짤 때에는 매우 많은 변인요소와 통합교육적인 요소를 고려하여 계획을 짜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직접 교사와 아동이 되어 봄으로써 교사로서는 아동을 이해하는 법을 배우고, 또 아동의 눈높이에서 교육내용을 생각해 볼 수 있는 좋은 계기가 되었다
*참고문헌
네이버 지식검색, http://kin.naver.com/(Jun 10, 2006), 만2세의 발달특징
*목 차
Ⅰ. 주제 선정 동기
Ⅱ. 발달적 특성
<3월 월간 계획안>
<3월 3주차 주간 계획안>
<일일 교육 계획안 - 1>
<일일 활동 계획안 - 1>
<일일 교육 계획안 - 2>
<일일 활동 계획안 - 2>
<본 활동 모의수업 Script>
Ⅲ. 마무리하며(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C (원미) : 물 내리고 있어요.
T : 맞아요. 우리 원미는 정말 잘 알고 있구나. 이 친구는 지금 화장실 변기 에 물을 내리고 있어요. 우리 친구들이 쉬야랑 응가를 하고 그냥 밖으로 나온다면 다음 친구가 화장실에 들어갈 때 기분이 어떨까요?
C (나라) : 나빠요.
C (진희) : 더러워요,
C (서연) : 냄새나요.
T : 맞아요. 냄새나고 더러워서 다음 사람이 쉬야나 응가를 할 수가 없게 돼 요. 그래서 우리는 꼭 물을 내려야 해요. 변기 뒤에 보면 버튼이 보이지 요? 그 버튼을 힘을 꽉 주고 눌러주는 거 에요. 그럼 깨끗한 물이 내려 와서 다시 깨끗한 변기가 될 거에요. 우리 친구들 잘 할 수 있겠어요?
C (모두) : 네~!
C (주연) : 그런데요, 선생님 저는 잘 모르겠어요.
T : 주연이가 조금 어렵구나. 이 그림을 다 보고 난 후에 선생님과 함께 화 장실에서 직접 해 볼 거 에요. 조금 이따 한 번 더 잘 설명해 줄게요.
C (주연) : 네~
T : 자, 그럼 마지막으로 이 그림을 볼까요? 이 친구는 지금 무얼 하고 있나 요? 이번에는 정화가 말해볼까?
C (정화) : 손을 씻고 있어요.
T : 맞아요. 손을 씻고 있어요. 화장실에는 나쁜 세균들이 많이 살고 있어요. 나쁜 세균은 너무 작아서 우리 눈에 잘 보이지 않아요. 그렇지만 꼭 손 을 깨끗이 씻어서 나쁜 세균이 우리 친구들에 손에 살지 못하도록 해야 해요. 손을 깨끗하게 다 씻은 친구는 수건으로 손을 닦고 교실로 들어오 면 되는 거 에요.
우리 친구들 깨끗하게 손 씻기 잘 할 수 있나요?
C (모두) : 네~!
마무리
T : 오늘은 우리 친구들이 화장실 가고 싶을 때는 어떻게 해야 하는지, 그리 고 화장실을 이용할 때 꼭 지켜야 할 규칙에 대해 배웠어요. 우리 친구 들이 한번 이야기 해 볼까요?
화장실에 가고 싶을 때는?
C (모두) : 선생님한테 꼭 말해요~!
T : 화장실에 들어가면 뭐해야 하죠?
C (잎새) : 문을 똑똑 두드려야 해요~
C (나라) : 옷을 꼭 입고 나와야 해요~
C (원미) : 물도 꼭 내려요~
C (진희) : 손도 꼭 씻어야 되요~
T : 우아. 맞아요~ 우리 친구들 모두 다 잘 알고 있네요. 화장실에 가고 싶 을 때는 선생님한테 꼭 말하고, 화장실에 갔을 때는 오늘 배운 대로 꼭 해보도록 해요~ 그럼 선생님이 이 그림을 화장실 앞에 붙여 놓도록 할 게요. 자, 다음시간은 우리 친구들이 좋아하는 간식 시간이에요. 간식 먹 기 전에 뭘 해야 하죠?
C (주연) : 손 씻어요!
T : 그래요~ 간식 먹기 전에 화장실에 가서 손도 씻고, 선생님이랑 같이 그 림으로 본 내용들을 직접 해보기로 해요.
C (모두) : 네~
Ⅲ. 마무리하며(결론 및 제언)
이번 리포트를 통하여 3월의 월간, 주간, 일간, 활동계획안을 구성해 보았다. 또한 발표할 일일생활계획의 모의수업script로 ‘화장실에 갈래요 설정하고 실행하였다. 이번 모의 수업에 대한 script는 첫째로 모의수업의 주제가 희소성이 있었다는 점, 둘째로 교사와 아동간의 발언권이 동등하게 주어지며 상호 의사소통이 잘 이루어졌다는 점을 높이 살만하다. 그러나 물론 우리의 계획안이 완벽하지만은 않았으며, 앞으로 더 나은 수업 계획으로서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몇 가지 제언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이에 본 활동계획안의 아쉬웠던 점과 더 바람직한 일일생활계획을 위한 제언을 하자면 다음과 같다.
첫째, 월간교육계획안의 주제 중 ‘엄마아빠 다녀오세요., ‘고루고루 잘 먹어요’ 등과 같이 생활 속에서 지켜야 할 교육내용들은 기관 내에서의 교육만이 아닌 유아교육기관 밖의 생활과 가정과의 연계를 통한 교육이 더욱 효과적일 것 이다.
부모님께 인사하는 인사예절이나 그 밖의 생활교육을 가르치는 것은 유아교육기관 내에서 만 생활규칙을 지키는 것뿐만이 아니라 유아교육기관 밖에서 바르게 실천으로 행하는 것이 더 큰 목적이다. 그러므로 가정통신문이라던가 부모교육을 통하여 올바른 생활교육을 유아교육기관 안팎으로 실행할 필요가 있다.
둘째, 주간교육계획안 중 ‘화장실에 갈래요’ 라는 주제가 과연 주간교육계획으로 올바른 주제였는가에 대하여 다시 한 번 고찰해 볼 필요가 있다.
아동의 배변과 그 배변의사의 표현, 그리고 배변실수를 줄이는 일은 아동에게 있어 매우 민감하고 중요한 과업 중 하나이다. 따라서 화장실 사용법과 배변의사 표현법을 가르치는 것은 유아교육기관에서 꼭 거쳐 가야 할 주제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그만큼 민감한 주제이며 무엇보다 아동 간의 개인차가 큰 활동이기 때문에 교사가 이 주제를 통한 수업을 일주일 내내 이끌어가기 보다는 아동 개개인과의 상호작용과 적절하고 긍정적인 피드백을 통한 교육이 더 중요하지 않나 하는 생각이 든다. 또한 배변훈련은 개인차가 크다는 이유 때문에 배변훈련이 늦되는 아동들은 배변훈련을 강조하는 수업을 주간교육계획에 따라 일주일 내내 받을 경우 오히려 배변훈련과 배변의사의 표현에 대한 부담감을 느낄 수도 있기 때문에 주의해야 할 것이다.
이렇게 월간교육계획안부터 일일활동계획안까지 만들고 이를 모의수업에 적용하여 script까지 짜 보았다. 이번 계획안이 비록 현장에서 직접 쓰이는 것이 아니라는 점은 아쉬웠지만, 이번 기회를 통하여 우수한 교육계획안의 중요성을 깨달았으며 교사가 아동들을 위한 교육계획안을 짤 때에는 매우 많은 변인요소와 통합교육적인 요소를 고려하여 계획을 짜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직접 교사와 아동이 되어 봄으로써 교사로서는 아동을 이해하는 법을 배우고, 또 아동의 눈높이에서 교육내용을 생각해 볼 수 있는 좋은 계기가 되었다
*참고문헌
네이버 지식검색, http://kin.naver.com/(Jun 10, 2006), 만2세의 발달특징
*목 차
Ⅰ. 주제 선정 동기
Ⅱ. 발달적 특성
<3월 월간 계획안>
<3월 3주차 주간 계획안>
<일일 교육 계획안 - 1>
<일일 활동 계획안 - 1>
<일일 교육 계획안 - 2>
<일일 활동 계획안 - 2>
<본 활동 모의수업 Script>
Ⅲ. 마무리하며(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