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도 알게 된다. 국외인으로서의 이방인이 아니라 사회적으로 이방인인 뫼르소를 까뮈가 표현한 것이라고 생각된다. 뫼르소가 알제리 이주민이여서가 아니라, 또 그가 정신적으로 문제가 있거나 윤리적으로 문제가 있어서가 아니라 크리스트교적 사고를 지닌 사람들에게 이상스럽게 여겨질수 밖에 없는 이방인이 였을 것이란 점이다. 죽음을 눈앞에 두고 사람들이 처형되는 그를 증오의 눈길로 바라봐 주길 바라는 뫼르소. 그때 쯤이면 그도 살인으로서의 죄를 뉘우친것이 아닐까? 그래서 우리는 그를 무조건적으로 나쁘게 봐선 안되는 것이 아닐까? 어쩌면 아직은 고등학생인 내가 오류를 저질렀을 지도 모르지만, 어쨌든 뫼르소를 그렇게 이해하고 싶다. 처음에는 그를 정신이상자 정도로 단했지만, 그저 우리랑 조금 다른 사고방식을 가진 순박한 인물일 뿐이라고... 그렇게 이해하고 싶다.
◈ 나는 방아쇠를 당겼고, 권총자루의 미끈한 배를 만졌다.
그리하여 짤막하고도 요란 스러운 소리와 함께 모든것이 시작되었던 것이다.
나는 태양과 땀으로 부터 벗어났다. 한낮의 균형과 내가 행복을 느끼고 있던 바닷가의 특 이한 침묵을 깨뜨린 것임을 나는 깨달았다. ◈
- A. Camus -
◈ 나는 방아쇠를 당겼고, 권총자루의 미끈한 배를 만졌다.
그리하여 짤막하고도 요란 스러운 소리와 함께 모든것이 시작되었던 것이다.
나는 태양과 땀으로 부터 벗어났다. 한낮의 균형과 내가 행복을 느끼고 있던 바닷가의 특 이한 침묵을 깨뜨린 것임을 나는 깨달았다. ◈
- A. Camus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