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다. 실례로 인도나 카메룬 같은 우리가 소위 후진국이라 부르는 나라들의 가난에 대한 원인을 인도의 경우는 교육수준이나 그런 다른 자원의 획득은 가능했지만 정부리더들 소위 말하는 엘리트들의 쇄국정책 때문에 현재 그렇게 가난하게 살고 있다든가 또는 카메룬의 경우 독재자의 출현으로 현재와 같은 가난에 봉착하고 있다는 이야기다
세계의 역사나 경제학에 대해서 조금만 공부한 사람이라면 처음 시작할때부터 인도나 아프리카 국가들이 서방 세계에 어떤 착취를 당하면서 지금에 이르렇는지 뻔히 아는 사실인데도 그는 왜 인도가 그런 쇄국 정책을 펼수 밖에 없었는지 왜 아프리카 여러 국가들이 그런 독재자들이 출현 할수 밖에 없었는지에 대해서는 설명이 없다. 그리고 이 책에서 저자는 이제 세계거의 모든 사람들이 인지하고 있는 미국중심의 다국적 국가들의 제3세계에서의 노동착취, 환경오염 시설들의 후진국 이전들에 대해서도 변론만 늘어놓고 있으며, 이런 공장이 이들 국가들로 이전되지 않았다면 더욱더 못살게 되었을 것이라는 말도 안되는 이야기들을 하고 있다.
차라리 책의 처음에 시작했던 대로 미시경제학적인 우리 일상생활들과 경제학이 접목된 이야기로 구성되었더라면 차라리 도움이 많이 되었을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으며, 후반부로 갈수록 교과서를 읽는 느낌이 드는 책이었다. 경제학자로서 자기의 주관이 있는것은 어쩔수 없는 사실이겠지만 그러나 보다더 객관적인 사실 중심으로 쓰여져야 한다는 생각드는 책이었고, 책의 제목도 경제학 콘서트가 아니라 신자유주의 경제학 혹은 세계화 주의 경제학 이라는 책의 제목이 맞을것 같다는 생각이 드는 책이었다.
세계의 역사나 경제학에 대해서 조금만 공부한 사람이라면 처음 시작할때부터 인도나 아프리카 국가들이 서방 세계에 어떤 착취를 당하면서 지금에 이르렇는지 뻔히 아는 사실인데도 그는 왜 인도가 그런 쇄국 정책을 펼수 밖에 없었는지 왜 아프리카 여러 국가들이 그런 독재자들이 출현 할수 밖에 없었는지에 대해서는 설명이 없다. 그리고 이 책에서 저자는 이제 세계거의 모든 사람들이 인지하고 있는 미국중심의 다국적 국가들의 제3세계에서의 노동착취, 환경오염 시설들의 후진국 이전들에 대해서도 변론만 늘어놓고 있으며, 이런 공장이 이들 국가들로 이전되지 않았다면 더욱더 못살게 되었을 것이라는 말도 안되는 이야기들을 하고 있다.
차라리 책의 처음에 시작했던 대로 미시경제학적인 우리 일상생활들과 경제학이 접목된 이야기로 구성되었더라면 차라리 도움이 많이 되었을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으며, 후반부로 갈수록 교과서를 읽는 느낌이 드는 책이었다. 경제학자로서 자기의 주관이 있는것은 어쩔수 없는 사실이겠지만 그러나 보다더 객관적인 사실 중심으로 쓰여져야 한다는 생각드는 책이었고, 책의 제목도 경제학 콘서트가 아니라 신자유주의 경제학 혹은 세계화 주의 경제학 이라는 책의 제목이 맞을것 같다는 생각이 드는 책이었다.
키워드
추천자료
현대경제학의 발전과제
근대, 현대경제학의 흐름(주류경제학과 비주류경제학으로 구분하여)
현대경제학 발전과정
경제학의 흐름-고대에서 현대까지
교육경제학으로 보는 교육개혁
피구의후생경제학에대하여
여성주의 경제학 [페미니스트의 역할]
경제학개론-원본
[구조조정][구조조정 필요성][구조조정 경제학][구조조정 운영실태][구조조정 사례][구조조정...
문화경제학의 가치와 전망
[경제학개론] 시장실패의 정의를 내리고 시장실패의 원인과 해결방안을 제시하시오
[제도경제학 공통] 올슨의 집단선택이론이 무엇이고, 그것이 제도 이론의 어떤 쟁점을 설명하...
주류경제학의 ‘합리적 선택이론’과 행동경제학의 ‘선택이론’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