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라 병동 생활 안내와 수술 동의서 받게됨을 설명한다.
② Anti AST를 시행한다
③ Fluid start한다. (성인 :Angio 18G 사용, 소아 22G 이상 )
- 40kg 이상 H/S 1L, 40kg 미만시 1:4 500ml , 당뇨의 경우 N/S 1L
④ 처방된 항생제 투여한다.(처방 용량대로)
⑤ MN NPO를 설명한다.
(8) 수술시 간호
① MN NPO 상태를 재확인.
② Full voiding 확인.
③ 의치, 보청기, 장신구, 머리핀, 매니큐어을 모두 제거 확인.
④ V/S check 함.(이상시 주치의 call 하여 처치)
⑤ 환자를 Strecher cart 에 태운 후 Pre medi. injection 시행함..
- 전신 마취시(성인) - Dormicum 3mg , Tabinul 1A IM
- 부분 마취시(성인) - Valium 1A , Atropine 0.5A IM
⑥ 환자 Chart내 permission 확인 후 환자와 함께 수술실로 내림.
(9)수술 후 간호
① 부종 완화를 위해 Semi-fowler's position을 취해준다.
② 전신 마취인 경우 MN 까지 금식후 S.O.W 하도록 하고 ,
부분 마취인 경우 3hr 금식후 S.O.W 하도록 한다.
(과별 NPO cut 시간 다르므로 과장님 회진시 묻도록 한다)
③ 항생제 포함한 Post OP 처치를 한다.
④ 수술부위의 배농 양상을 관찰한다.
(수술부위 발적, 배농양, 출혈, 부종, 체온 상승 등을 살핀다)
⑤ 배농관이 있을 경우 항상 수술 부위 보다 낮게 아래로 배농 되도록 한다.
⑥ 심호흡과 이완요법을 권하여 수술로 인한 긴장감을 덜어 준다.
⑦ 통증 호소시 처방에 따라 진통제를 투여한다.
8. Mucocele ( 점액 낭종)
(1)정의: 부비동내에 생긴 낭성 질환
(2) 원인
①부비동의 자연공이 막히면서 점액 분비물의 충만으로 생긴다.
②부비동 점막에 존재하는 타액선의 배출관이 막혀 낭성이 생긴다.
(3) 증상
① 상악동 점액낭종 (상악동의 자연공을 막지 않는 이상 무증상일 경우가 많음)
협부종창( 전염으로 확장될 경우), 안검하수( 상방으로 확장될 경우), 안구 돌출, 비폐색( 내측으로 확장)--별도의 치료가 필요 없이 수개월 혹은 수년후 저절로 없어지기도 함
② 전두동-사골종 점액낭종
전두동과 안구 돌출증, 안구를 외측 하방으로 밀어 복시를 일으킴, 눈 안쪽 의 통증을 흔히 호소 (비 폐색과 비루 증상은 드물다)
③ 접형동-사골동 점액낭종
후두부나 윗머리, 코안 깊숙이 통중을 느끼며 다양한 안구증상 ( 복시나 시 야 이상, 안구 비대칭), 드물게 놔하수체 이상이 생기기도 한다.
(4) 합병증: 골벽의 미란
(5)치료: 전두동이나 상악동의 점액낭종은 수술적으로 낭종의 완전한 제거가 가 능한데 반해 기술적인 제약으로 비강내로 넓은 배액구를 만들어 주는 것으로 치료 될 수 있다.
(6) 수술명: Carldwell
(7)수술전 간호
① 간호력을 작성하고 병실로 안내한다.
-입원 안내문에 따라 병동 생활 안내와 수술 동의서 받게됨을 설명한다.
② Anti AST를 시행한다
③ Fluid start한다. (성인 :Angio 18G 사용, 소아 22G 이상 )
- 40kg 이상 H/S 1L, 40kg 미만시 1:4 500ml , 당뇨의 경우 N/S 1L
④ 처방된 항생제 투여한다.(처방 용량대로)
⑤ MN NPO를 설명한다.
(8) 수술시 간호
① MN NPO 상태를 재확인.
② Full voiding 확인.
③ 의치, 보청기, 장신구, 머리핀, 매니큐어을 모두 제거 확인.
④ V/S check 함.(이상시 주치의 call 하여 처치)
⑤ 환자를 Strecher cart 에 태운 후 Pre medi. injection 시행함..
- 전신 마취시(성인) - Dormicum 3mg , Tabinul 1A IM
- 부분 마취시(성인) - Valium 1A , Atropine 0.5A IM
⑥ 환자 Chart내 permission 확인 후 환자와 함께 수술실로 내림.
(9) 수술후 간호
① 부종 완화를 위해 semi-fowler's position을 취해준다.
② 전신마취인 경우, 밤12시까지 금식 후, S.O.W하도록 하고, 국소 마취인 경 우, 3시간 금식 후 S.O.W하도록 한다.
③ 항생제와 지혈제를 투여한다.
④ nasal packing & compress가 있는지 확인한다.(nasal packing은 수술 후 48 시간 후에 제거 한다.)
⑤ 수술부위의 출혈이 있는지 관찰한다.(부종이 증가하는지, 인후 뒤로 피가 넘 어 가는지 확인함→penlight & 설압자를 이용)
⑥ compress를 수시로 갈아준다.(출혈은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것이 정상임)
⑦ 가습기를 사용한다.
⑧ 심호흡과 이완요법을 권한다.
⑨ 코를 푸는 대신 휴지로 분비물을 닦아 내도록 한다.
⑩ 구강으로 호흡으로 입안이 건조 할 수 있으므로 금식 해제후, 수분섭취를 권 장한다.
⑪ 재채기를 참을 수 없는 경우 입을 벌리고 할 것을 교육한다.
⑫ 콧잔등이나 이마에 ice ball apply 한다.
⑬ 담배나 다른 자극 물질을 피하도록 한다.
⑭ 통증호소시 진통제를 투여한다.
⑮ nasal packing를 제거하고, 2일 후부터 코 세척을 실시한다.
9. Mumps ( 볼거리 )
(1) 정의: mumps virus에 의해 생기는 염증으로 주로 이하선이 종창된다.
(2) 증상: 30-40%는 무증상으로 경과한다.
전신권태, 두통, 인후통, 이하선 부위의 동통, 고열, 통증, 심하면 난청,
이통 이 온다.
(3) 잠복기: 전염기간은 타액선의 종창이 나타나기 2일전~ 종창이 가라앉을 때 (잠복기 동안은 격리한다.)
(4) 합병증: 고환, 부고환염, 뇌수막염, 난소염이 생길 수 있다.
(5) 치료
① 치료하지 않아도 저절로 치유되어 항생제의 사용이 없고 대중 요법을 한다.
② 고열 시 해열제 사용
③ Ice ball apply
④ 분비물로 인해 전파됨으로 무균 법으로 시행하고 처치 시 손을 닦는다.
⑤ 분비물로 인해 전파됨으로 무균 법으로 시행하고 처치 시 손을 닦는다.
⑥ 퇴원 후 방을 소독한다.
② Anti AST를 시행한다
③ Fluid start한다. (성인 :Angio 18G 사용, 소아 22G 이상 )
- 40kg 이상 H/S 1L, 40kg 미만시 1:4 500ml , 당뇨의 경우 N/S 1L
④ 처방된 항생제 투여한다.(처방 용량대로)
⑤ MN NPO를 설명한다.
(8) 수술시 간호
① MN NPO 상태를 재확인.
② Full voiding 확인.
③ 의치, 보청기, 장신구, 머리핀, 매니큐어을 모두 제거 확인.
④ V/S check 함.(이상시 주치의 call 하여 처치)
⑤ 환자를 Strecher cart 에 태운 후 Pre medi. injection 시행함..
- 전신 마취시(성인) - Dormicum 3mg , Tabinul 1A IM
- 부분 마취시(성인) - Valium 1A , Atropine 0.5A IM
⑥ 환자 Chart내 permission 확인 후 환자와 함께 수술실로 내림.
(9)수술 후 간호
① 부종 완화를 위해 Semi-fowler's position을 취해준다.
② 전신 마취인 경우 MN 까지 금식후 S.O.W 하도록 하고 ,
부분 마취인 경우 3hr 금식후 S.O.W 하도록 한다.
(과별 NPO cut 시간 다르므로 과장님 회진시 묻도록 한다)
③ 항생제 포함한 Post OP 처치를 한다.
④ 수술부위의 배농 양상을 관찰한다.
(수술부위 발적, 배농양, 출혈, 부종, 체온 상승 등을 살핀다)
⑤ 배농관이 있을 경우 항상 수술 부위 보다 낮게 아래로 배농 되도록 한다.
⑥ 심호흡과 이완요법을 권하여 수술로 인한 긴장감을 덜어 준다.
⑦ 통증 호소시 처방에 따라 진통제를 투여한다.
8. Mucocele ( 점액 낭종)
(1)정의: 부비동내에 생긴 낭성 질환
(2) 원인
①부비동의 자연공이 막히면서 점액 분비물의 충만으로 생긴다.
②부비동 점막에 존재하는 타액선의 배출관이 막혀 낭성이 생긴다.
(3) 증상
① 상악동 점액낭종 (상악동의 자연공을 막지 않는 이상 무증상일 경우가 많음)
협부종창( 전염으로 확장될 경우), 안검하수( 상방으로 확장될 경우), 안구 돌출, 비폐색( 내측으로 확장)--별도의 치료가 필요 없이 수개월 혹은 수년후 저절로 없어지기도 함
② 전두동-사골종 점액낭종
전두동과 안구 돌출증, 안구를 외측 하방으로 밀어 복시를 일으킴, 눈 안쪽 의 통증을 흔히 호소 (비 폐색과 비루 증상은 드물다)
③ 접형동-사골동 점액낭종
후두부나 윗머리, 코안 깊숙이 통중을 느끼며 다양한 안구증상 ( 복시나 시 야 이상, 안구 비대칭), 드물게 놔하수체 이상이 생기기도 한다.
(4) 합병증: 골벽의 미란
(5)치료: 전두동이나 상악동의 점액낭종은 수술적으로 낭종의 완전한 제거가 가 능한데 반해 기술적인 제약으로 비강내로 넓은 배액구를 만들어 주는 것으로 치료 될 수 있다.
(6) 수술명: Carldwell
(7)수술전 간호
① 간호력을 작성하고 병실로 안내한다.
-입원 안내문에 따라 병동 생활 안내와 수술 동의서 받게됨을 설명한다.
② Anti AST를 시행한다
③ Fluid start한다. (성인 :Angio 18G 사용, 소아 22G 이상 )
- 40kg 이상 H/S 1L, 40kg 미만시 1:4 500ml , 당뇨의 경우 N/S 1L
④ 처방된 항생제 투여한다.(처방 용량대로)
⑤ MN NPO를 설명한다.
(8) 수술시 간호
① MN NPO 상태를 재확인.
② Full voiding 확인.
③ 의치, 보청기, 장신구, 머리핀, 매니큐어을 모두 제거 확인.
④ V/S check 함.(이상시 주치의 call 하여 처치)
⑤ 환자를 Strecher cart 에 태운 후 Pre medi. injection 시행함..
- 전신 마취시(성인) - Dormicum 3mg , Tabinul 1A IM
- 부분 마취시(성인) - Valium 1A , Atropine 0.5A IM
⑥ 환자 Chart내 permission 확인 후 환자와 함께 수술실로 내림.
(9) 수술후 간호
① 부종 완화를 위해 semi-fowler's position을 취해준다.
② 전신마취인 경우, 밤12시까지 금식 후, S.O.W하도록 하고, 국소 마취인 경 우, 3시간 금식 후 S.O.W하도록 한다.
③ 항생제와 지혈제를 투여한다.
④ nasal packing & compress가 있는지 확인한다.(nasal packing은 수술 후 48 시간 후에 제거 한다.)
⑤ 수술부위의 출혈이 있는지 관찰한다.(부종이 증가하는지, 인후 뒤로 피가 넘 어 가는지 확인함→penlight & 설압자를 이용)
⑥ compress를 수시로 갈아준다.(출혈은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것이 정상임)
⑦ 가습기를 사용한다.
⑧ 심호흡과 이완요법을 권한다.
⑨ 코를 푸는 대신 휴지로 분비물을 닦아 내도록 한다.
⑩ 구강으로 호흡으로 입안이 건조 할 수 있으므로 금식 해제후, 수분섭취를 권 장한다.
⑪ 재채기를 참을 수 없는 경우 입을 벌리고 할 것을 교육한다.
⑫ 콧잔등이나 이마에 ice ball apply 한다.
⑬ 담배나 다른 자극 물질을 피하도록 한다.
⑭ 통증호소시 진통제를 투여한다.
⑮ nasal packing를 제거하고, 2일 후부터 코 세척을 실시한다.
9. Mumps ( 볼거리 )
(1) 정의: mumps virus에 의해 생기는 염증으로 주로 이하선이 종창된다.
(2) 증상: 30-40%는 무증상으로 경과한다.
전신권태, 두통, 인후통, 이하선 부위의 동통, 고열, 통증, 심하면 난청,
이통 이 온다.
(3) 잠복기: 전염기간은 타액선의 종창이 나타나기 2일전~ 종창이 가라앉을 때 (잠복기 동안은 격리한다.)
(4) 합병증: 고환, 부고환염, 뇌수막염, 난소염이 생길 수 있다.
(5) 치료
① 치료하지 않아도 저절로 치유되어 항생제의 사용이 없고 대중 요법을 한다.
② 고열 시 해열제 사용
③ Ice ball apply
④ 분비물로 인해 전파됨으로 무균 법으로 시행하고 처치 시 손을 닦는다.
⑤ 분비물로 인해 전파됨으로 무균 법으로 시행하고 처치 시 손을 닦는다.
⑥ 퇴원 후 방을 소독한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