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Brain scan
2. Caloric study
3. Cerebral angiography
4. Computed Tomography of the brain
5. Electroencephalography(EEG)
6. 유발전위검사
2. Caloric study
3. Cerebral angiography
4. Computed Tomography of the brain
5. Electroencephalography(EEG)
6. 유발전위검사
본문내용
아야 함을 알려 줌
- 검사 후 진정제 효과가 사라지기 전에 침상난간을 올려주는 등 대책을 마련해줌
6. 유발전위검사
ⅰ. 목적
: 유발전위 파형이 제대로 잘 나타나는지, 또한 나타났다 하더라도 자극 후 그 뇌파반응이 최고점까지 도달하는데 걸리는 시간이 지연되었는지를 판단함으로써 감각기관계의 신경 생리학적 이상 평가, 시신경, 시신경 경로, 시각중추 및 눈 등의 병변 발견, 척수손상환 자 평가, 수술 중 혹은 다발성 경화증과 같은 질병치료 중에 척수의 기능 관찰, 두부손 상 후 뇌 기능 장애 영역의 위치 및 범위 평가, 초기 단계 종양 발견, 꾀병, 히스테리성 무감각증 확인
ⅱ. 방법
: 시각의 경우 전극을 두정부와 대뇌피질 엽을 따라 두피에 부착 후 번쩍이는 불빛, 바둑 판 모양의 무의 또는 망막자극 사용하여 자극
청각의 경우 두정부와 각 귓바퀴에 전극을 부착하고 이어폰을 통해 시계소리와 같은 소 리나 폭발음으로 자극하여 반응 탐지
감각의 경우 반대편 대뇌반구의 감각피질 두피에 전극을 부착하고 손목이나 무릎 신경에 전기자극을 주고 반응 탐지
ⅲ. 간호중재
- 검사절차에 대해 설명
- 검사 전에 머리를 감게 하고 스프레이나 머리 기름 바르게 않게 함
- 검사 후 진정제 효과가 사라지기 전에 침상난간을 올려주는 등 대책을 마련해줌
6. 유발전위검사
ⅰ. 목적
: 유발전위 파형이 제대로 잘 나타나는지, 또한 나타났다 하더라도 자극 후 그 뇌파반응이 최고점까지 도달하는데 걸리는 시간이 지연되었는지를 판단함으로써 감각기관계의 신경 생리학적 이상 평가, 시신경, 시신경 경로, 시각중추 및 눈 등의 병변 발견, 척수손상환 자 평가, 수술 중 혹은 다발성 경화증과 같은 질병치료 중에 척수의 기능 관찰, 두부손 상 후 뇌 기능 장애 영역의 위치 및 범위 평가, 초기 단계 종양 발견, 꾀병, 히스테리성 무감각증 확인
ⅱ. 방법
: 시각의 경우 전극을 두정부와 대뇌피질 엽을 따라 두피에 부착 후 번쩍이는 불빛, 바둑 판 모양의 무의 또는 망막자극 사용하여 자극
청각의 경우 두정부와 각 귓바퀴에 전극을 부착하고 이어폰을 통해 시계소리와 같은 소 리나 폭발음으로 자극하여 반응 탐지
감각의 경우 반대편 대뇌반구의 감각피질 두피에 전극을 부착하고 손목이나 무릎 신경에 전기자극을 주고 반응 탐지
ⅲ. 간호중재
- 검사절차에 대해 설명
- 검사 전에 머리를 감게 하고 스프레이나 머리 기름 바르게 않게 함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