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가. 대학생의 사교육비 개념
나. 대학생의 교육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3. 연구 방법
가. 조사내용
나. 조사 대상 및 조사 기간
다. 조사 대상 표집 및 조사 방법
라. 통계처리
4. 연구 결과 및 논의
가. 대학생의 교육비에 대한 인식
나. 개인배경별 교육비의 차이 비교
다. 대학생의 지출 항목별 교육비와 구성비
5. 결론
6. 참고문헌
2. 이론적 배경
가. 대학생의 사교육비 개념
나. 대학생의 교육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3. 연구 방법
가. 조사내용
나. 조사 대상 및 조사 기간
다. 조사 대상 표집 및 조사 방법
라. 통계처리
4. 연구 결과 및 논의
가. 대학생의 교육비에 대한 인식
나. 개인배경별 교육비의 차이 비교
다. 대학생의 지출 항목별 교육비와 구성비
5. 결론
6. 참고문헌
본문내용
교육비 사용 항목별 차이가 나고 있다. 우선 남학생은 여학생보다 단체활동비를 많이 사용하는 반면 여학생은 남학생보다 수업준비비를 많이 지출하고 있다. 아르바이트 여부에 따라 학원비 지출도 다르게 나타났고, 부모의 학력에 따라 문화비 사용도 다르게 나타났다. 특히 학부모가 전문가이거나 가정의 월 평균 가계소득이 400만원 이상인 부모의 학생들은 학원비, 교통비, 문화비 등에서 더 많아서, 교육비 부담에 있어서 가정의 경제적 능력이 상당한 영향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대학원을 졸업한 부모의 학생들은 문화비를 상대적으로 더 많이 지출하고 있었는데, 이들 부모의 학력은 동시에 가정의 경제적 능력과도 상관이 있을 것으로 유추된다.
셋째, 대학생들의 사교육비 규모는 월 평균 가계 소득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우선 가정의 사회경제적 환경(SES)이 좋은 학생들은 그 만큼 용돈의 여유도 많을 것으로 보이며, 학생들 중에서 용돈 때문에 아르바이트를 하는 경우도 있는 점을 감안하면, 대학생들의 사교육비와 용돈 규모 사이에는 깊은 연관이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넷째, 학생들의 사교육비 규모는 한 달 평균 약 38만원 정도이며, 학교 바깥 생활에서 더 많이 지출하고 있다. 한 달 평균 약 38만원에는 학기당 경비인 등록금과 교재비 그리고 주거생활비를 제외한 금액이다. 학생들은 휴대폰 사용료 등의 기타 잡비가 전체의 약 1/3을 차지하고 있고, 다음으로 문화비 등이었으며, 실제로 수업준비비에는 약 9%정도만 지출하고 있었다.
앞으로 추후 연구를 위해서 이 연구의 한계점과 더불어 후속 연구를 수행하는 데 필요한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 대상의 표집에 보다 세심한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다. 이번 연구에서도 표집에서 다소 불균형을 보인 경우가 있다. 어떤 경우에는 학생의 사례수가 너무 적어서 연구결과에 일반화에 많은 제약이 있었다. 그러므로 후속 연구에서는 표집에 적정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사전에 유층표집에 더욱 고려해야할 것이다.
둘째, 교육비를 정확히 산출하기 위해서는 1년간의 사교육비 지출을 조사하여야 한다. 이 연구에서는 연구 여건상 1학기의 2개월(3월과 4월)을 조사하였기 때문에 실제와는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셋째, 사교육비 규모를 추정하기 위해서 항목을 보다 세심하게 고려할 필요가 있다. 대학에 직접 낸 비용을 정량자료를 수집해야하며, 대학생활에서 주거생활비도 포함하야야 할 것이다. 그리고 가정의 소득과 부모의 직업 그리고 부모의 학력 등과 같은 가정배경이 학생의 교육비 수준을 결정하는데 중요한 변인임을 고려할 때 SES를 보다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전문성이 필요하다.
6. 참고문헌
강경석(1997). “대학생의 대학교육비 지출과 재원조달에 관한 연구”, 학생생활연구, 제17권 제1호.
곽영우외(1993). “모델대학의 대학교육비 추계연구”, 한국대학교육협의회.
공은배, 천세영(1990). 한국의 교육비 수준, 한국교육개발원.
_____________(1989). 한국 교육투자정책의 진단, 한국교육개발원.
김병주(1996). 대학교육비와 등록금, 교육과학사.
김성기, 조동섭(1992). 교육에 관한 국민 의식조사. 한국교육정책자문회의.
김성희(1996). “인적자본으로 본 자녀에 대한 투자행동”,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김인숙, 여정성(1996). “사교육비 지출과 관련 요인”.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4(3).
김흥주(1998), 한국의 교육비 조사연구, 한국교육개발원.
노국향(1997). 대학지원양상에 기초한 한국 고등교육인구의 편포분석. 고등교육연구, 제9권 제1호.
민혜리(2002). “대학생 취업준비 과외학습의 유형과 비용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박명희(1996). “사교육비 현황과 가계”. 대학가정학회지, 14(1).
박찬석(2003). “새정부 지방대학 육성 정책방향 모색을 위한 심포지엄”, 2003년 2월 18일. 한국대학교육협의회.
서울YMCA(1991). 교육정상화와 과외실태 조사 보고서.
오성삼(1999), 세계 대학의 이해, 건국대학교.
이동원(1996). 대학입시와 한국가족. 서울: 다산출판사.
이순형, 류정순(1998). “한국 도시 학부모 가계의 교육비 지출의 계층적 불평등”, 건국대학교 한국문제연구원(편), 교육과 삶의 질 심포지움 자료집.
천세영(2002), 학부제 대학에서의 인문학 분야 학사조직 모형 연구, 인문사회연구회 한국교육개발원.
______(2001). “교육비 개념 및 분류체계 연구: 국제적 관점에서”, 교육재정경제연구 10(2).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한국소비자보호원(1997). 사교육비 지출 실태 및 경감 방안.
C. Charle, J. Verger(1999, 김정인 역). 대학의 역사, 한길사.
Rosovsky, Henry (1996, 이형행 역). 대학, 갈등과 선택, 삼성경제연구소.
Arimoto, Akira (2002). University Reforms and Academic Governance Reconsidered, Research Institute for Higher Education Hiroshima University.
Berliner, David C., Biddle, Vruce J. (1995). The Manufactured Crisis: Myths, Fraud, and the Attack on America's Public Schools, Perseus Book.
Bolick, Clint (2003). Voucher Wars: Waging the Legal Battle over School Choice, CATO.
Etzkowitz, Henry and Leydesdorff, Loet (1997). Universities and the Global Knowledge Economy.
OECD(1992). Alternatives to Universities.
Vesey, Laurence R (1965). The emergence of The American University, University of Chicago Press.
셋째, 대학생들의 사교육비 규모는 월 평균 가계 소득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우선 가정의 사회경제적 환경(SES)이 좋은 학생들은 그 만큼 용돈의 여유도 많을 것으로 보이며, 학생들 중에서 용돈 때문에 아르바이트를 하는 경우도 있는 점을 감안하면, 대학생들의 사교육비와 용돈 규모 사이에는 깊은 연관이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넷째, 학생들의 사교육비 규모는 한 달 평균 약 38만원 정도이며, 학교 바깥 생활에서 더 많이 지출하고 있다. 한 달 평균 약 38만원에는 학기당 경비인 등록금과 교재비 그리고 주거생활비를 제외한 금액이다. 학생들은 휴대폰 사용료 등의 기타 잡비가 전체의 약 1/3을 차지하고 있고, 다음으로 문화비 등이었으며, 실제로 수업준비비에는 약 9%정도만 지출하고 있었다.
앞으로 추후 연구를 위해서 이 연구의 한계점과 더불어 후속 연구를 수행하는 데 필요한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 대상의 표집에 보다 세심한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다. 이번 연구에서도 표집에서 다소 불균형을 보인 경우가 있다. 어떤 경우에는 학생의 사례수가 너무 적어서 연구결과에 일반화에 많은 제약이 있었다. 그러므로 후속 연구에서는 표집에 적정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사전에 유층표집에 더욱 고려해야할 것이다.
둘째, 교육비를 정확히 산출하기 위해서는 1년간의 사교육비 지출을 조사하여야 한다. 이 연구에서는 연구 여건상 1학기의 2개월(3월과 4월)을 조사하였기 때문에 실제와는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셋째, 사교육비 규모를 추정하기 위해서 항목을 보다 세심하게 고려할 필요가 있다. 대학에 직접 낸 비용을 정량자료를 수집해야하며, 대학생활에서 주거생활비도 포함하야야 할 것이다. 그리고 가정의 소득과 부모의 직업 그리고 부모의 학력 등과 같은 가정배경이 학생의 교육비 수준을 결정하는데 중요한 변인임을 고려할 때 SES를 보다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전문성이 필요하다.
6. 참고문헌
강경석(1997). “대학생의 대학교육비 지출과 재원조달에 관한 연구”, 학생생활연구, 제17권 제1호.
곽영우외(1993). “모델대학의 대학교육비 추계연구”, 한국대학교육협의회.
공은배, 천세영(1990). 한국의 교육비 수준, 한국교육개발원.
_____________(1989). 한국 교육투자정책의 진단, 한국교육개발원.
김병주(1996). 대학교육비와 등록금, 교육과학사.
김성기, 조동섭(1992). 교육에 관한 국민 의식조사. 한국교육정책자문회의.
김성희(1996). “인적자본으로 본 자녀에 대한 투자행동”,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김인숙, 여정성(1996). “사교육비 지출과 관련 요인”.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4(3).
김흥주(1998), 한국의 교육비 조사연구, 한국교육개발원.
노국향(1997). 대학지원양상에 기초한 한국 고등교육인구의 편포분석. 고등교육연구, 제9권 제1호.
민혜리(2002). “대학생 취업준비 과외학습의 유형과 비용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박명희(1996). “사교육비 현황과 가계”. 대학가정학회지, 14(1).
박찬석(2003). “새정부 지방대학 육성 정책방향 모색을 위한 심포지엄”, 2003년 2월 18일. 한국대학교육협의회.
서울YMCA(1991). 교육정상화와 과외실태 조사 보고서.
오성삼(1999), 세계 대학의 이해, 건국대학교.
이동원(1996). 대학입시와 한국가족. 서울: 다산출판사.
이순형, 류정순(1998). “한국 도시 학부모 가계의 교육비 지출의 계층적 불평등”, 건국대학교 한국문제연구원(편), 교육과 삶의 질 심포지움 자료집.
천세영(2002), 학부제 대학에서의 인문학 분야 학사조직 모형 연구, 인문사회연구회 한국교육개발원.
______(2001). “교육비 개념 및 분류체계 연구: 국제적 관점에서”, 교육재정경제연구 10(2).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한국소비자보호원(1997). 사교육비 지출 실태 및 경감 방안.
C. Charle, J. Verger(1999, 김정인 역). 대학의 역사, 한길사.
Rosovsky, Henry (1996, 이형행 역). 대학, 갈등과 선택, 삼성경제연구소.
Arimoto, Akira (2002). University Reforms and Academic Governance Reconsidered, Research Institute for Higher Education Hiroshima University.
Berliner, David C., Biddle, Vruce J. (1995). The Manufactured Crisis: Myths, Fraud, and the Attack on America's Public Schools, Perseus Book.
Bolick, Clint (2003). Voucher Wars: Waging the Legal Battle over School Choice, CATO.
Etzkowitz, Henry and Leydesdorff, Loet (1997). Universities and the Global Knowledge Economy.
OECD(1992). Alternatives to Universities.
Vesey, Laurence R (1965). The emergence of The American University, University of Chicago Press.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