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영양화와 적조현상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부영양화
1.정의
2.원인
1) 농·축산 폐수
2) 생활하수 중 합성 세제
3.영향
1)직접적인 영향
2) 간접적인 영향
4.대책
1) 영양물질 유입량을 줄이기
2) 호소내 대책

*적조현상
1.정의
2.원인
3. 영향
4.대책
1) 사전대책
2)사후 대책

본문내용

돌려주고, 이것이 박테리아에 의해 수중에 용출된다. 이렇게 수중에서는, 비 생물환경과 각 계층의 생물을 연결한 물질순환이 이루어진다.
식물성 플랑크톤은 수역생산에 있어 가장 중요한 위치를 점하고 있지만, 이 가운데 어떤 것이 대증식하여 적조가 되는 경우, 물질순환이나 수역생산에 주는 영향이 크게 된다. 식물성 플랑크톤에 의한 적조가 대규모로 발생한 경우, 물질순환의 관점에서는 그 적조 플랑크톤이 대량으로 수중의 영양염류 등을 소비하면서 제 2차 생산에 연결되지 않고, 적조 플랑크톤의 죽음에 의해 물질이 한꺼번에 물속에 되돌려 진다. 즉 각 영양단계를 포함한 많은 물질순환의 고리에 의해 전체로서 큰 고리로 형성되어 있는 수역생산이 가장 중요한 부분에서 단절되게 된다. 그 해역에서 다른 생물의 존재를 불가능하게 하므로, 고차계층의 수역생산이 정지된다.
적조는 해수 속의 조류가 과잉번식하게 하여 조류들이 호흡하는 과정 중 용존산소를 고갈시켜 해수 중의 동식물의 사멸을 초래한다. 또 조류들은 물고기의 아가미에 침착되어 호흡곤란을 유발시켜 죽게 한다. 조류들이 성장하면서 방출해낸 치명적인 독소에 의해서 어패류의 사멸을 초래한다.
4.예방대책
1) 사전대책
- 과도한 부영양의 해소 : 질소, 인의 부하규제와 유기오염니(有機汚染泥)의 제거
- 자극물질의 제거 : 유기물 중금속 등. 수질, 저질의 정화
- 천해매립의 제한 : 매립에 의한 정체 수역의 출현, 새로운 부하의 유입 등의 방지
- 유입되는 물의 엄격한 관리
- 폐기물을 비롯한 오염물질의 투기 제어
- 해저 퇴적물 제거
- 다발지역에의 공기주입
2) 사후대책
- 담수의 경우 취수과정에서 살조제인 황산동을 투여한다.
- 해수의 경우 진흙, 황토 등을 투입하여 조류를 흡착, 침전시킨다.
- 기계적 장치로서 미세여과장치를 통해 해수 중의 조류를 여과, 제거시킨다.
- 조류의 천적인 원생생물을 개발, 투입한다.
<참고> 황토 살포
황토의 입자는 가급적 1mm 이하로 미세하게 분쇄한 다음 해수와 혼합하여 살포한다. 적조생물이 어장으로 이동, 접근해 오는 경우 오는 쪽으로 살포하고, 이미 어장내에 적조생물이 유입되었을 경우 가두리 주위를 돌면서 살포한다. 살포량은 가로, 세로 1m 인 곳 당 100~400g 정도이다.
참고 문헌 - 환경 생태학 ( 대학 서림 출판 )
환경 생태학 ( 신광 문화사 )
브리태니커백과
동아 대 백과 사전
참고 싸이트 - 한국 수자원 공사
  • 가격1,3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6.07.11
  • 저작시기2006.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5859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