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경대성 황정경 頭風 치병필구기본론 원문 및 한글번역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목경대성 황정경 頭風 치병필구기본론 원문 및 한글번역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頭風

치병필구기본론

본문내용

약의 힘이 빠지게 된다고 하고, 한량약을 증진케 하니 습설사와 복부창만의 질병이 일어나게 된다.
改用寬胸快氣。
다시 흉격을 넓게 하고 기를 상쾌하게 하는 약을 사용한다.
至此不敗,將待何時
이에 이르러서도 실패하지 않으면 장차 어떤 시기를 기다리겠는가?
是故咳嗽吐血,時時發熱,未必成,服四物、知柏之類不已,則成矣;
그래서 기침과 토혈과 때로 발열은 반드시 노채를 생성하지 않음이 없으니 사물탕에 지모 황백의 종류를 복용해도 그치지 않으면 노채가 생성함이다.
胸腹膨滿,不快,未必成脹,服山、曲麥不已,則脹成矣;
(근심할, 마음이 즐겁지 아니다하 읍; 心-총10획; yi)
흉부와 복부가 팽만하여 근심하여 불쾌하고 반드시 창만을 생성하는 것은 아니니 산사와 신곡 맥아를 복용하여도 그치지 않고 창만이 완성된다.
面浮腫,小便秘,未必成水,氣滯膈塞,食難入,未必成,八正、四利不已,則水成,皮、枳殼 消耗不已,則成矣;
얼굴과 발등이 부종이 되고 소변이 안 나가서 깔깔하여 반드시 수종을 생성함이 아니나 기가 횡격막에 정체하여 막혀 음식이 들어가기 어려우면 반드시 열격을 생성하지 않으니, 팔정산 사령산으로 삼리하면 그치지 않고 수종이 생성하니, 청피, 지각으로 소모케 함이 그치지 않으면 열격이 생성케 된다.
筋骨痛,渙散無用,未必成痺,睛久赤痛,沙難開,未必成障,
渙(흩어질, 어질다 환; 水-총12획; huan)
근골이 당기고 아파서 흩어져 쓸모가 없어서 반드시 비증을 생성함이 아니고 눈동자가 오래동안 충혈되고 아파서 모래들어가듯이 깔깔하고 뜨기 어렵다고 반드시 장애를 형성함이 아니다.
搜風化痰不已,則痺成,發表攻裡不已,則障成矣。
풍사를 쫓고 담을 변화함이 그치지 않아야 비증이 생성되고, 발표하고 속을 공하함을 그치지 않아야 예장이 생성된다.
成則不可複藥,乃曰病犯條款。
생성하면 다시 약을 먹으면 안되니 병이 벌여놓은 조목을 침범했다고 말함이다.
雖性命之重無可如何,是論眼目乎哉
비록 성명의 중요함이 무엇이라 할 수 없으나, 오히려 눈을 말함은 더 중요하다.
所以治病必求其本,良有以也。
그래서 병을 치료함은 반드시 그 근본을 추구해야 좋은 이유가 된다.
總而言之,死以生爲本,欲救其死,勿傷其生。
총괄하여 말하면 죽음은 탄생을 근본으로 삼으니 그 죽음을 구제하고자 하면 그 생명을 손상하지 말라.
邪以正爲本,欲攻其邪,必顧其正。
사기는 정기를 근본으로 삼으니 만약 그 사기를 공격하려고 하면 반드시 그 정기를 돌아보아라.
陰以陽爲本,陽存則生,陽盡則死。
음은 양을 근본으로 삼으니 양이 존재함은 탄생이고 음이 다함은 죽음이다.
靜以動爲本,有動則活,無動則止。
고요함은 움직임을 근본으로 삼으니 움직임이 있으면 활발하고 움직임이 없으면 정지한다.
血以氣爲本,氣來則行,氣去則凝。
혈은 기를 근본으로 삼으니 기가 오면 혈이 운행하고 기가 가면 응체한다.
症以脈爲本,脈吉則吉,脈凶則凶。
증상은 맥을 근본으로 삼으니 맥이 길하면 증상이 길하고 맥이 흉하면 흉하다.
先者後之本,從此來者須從此去。
먼저는 뒤의 근본이니 이것으로부터 오는 사람은 반드시 이로부터 가야한다.
內者外之本,宣明者順,潛蘊者逆。
안은 밖의 근본이니 펴서 밝히는 사람은 순증이고, 잠기게 하여 쌓은 사람은 역증이다.
上下迭爲本,病在上者,散之不得,必引而通之,使邪從下出;
상과 하가 번갈아가면서 근본이 되니 병이 위에 있으면 발산하여서 얻지 못하면 반드시 당겨서 통하게 하고 사기가 아래로부터 나오게 해야 한다.
病在下者,伐之不得,必提歸陽道,使邪從氣化。
병이 아래에 있으면 공벌하여도 얻지 못하면 반드시 양의 도를 당겨 돌아오게 하여 사기가 기로부터 변화하게 해야 한다.
緩急虛實互爲本,病屬于實,宜治以急.
완만과 급함, 허증과 실증이 상호 근본이 되니 병이 실증에 속하면 의당 급하게 치료해야 한다.
蓋實者邪盛,苟不逐,爲禍蔓延,故治實有巧法而無遲法;
실증은 사기가 왕성함이니 만약 바로 구축하지 않으면 화가 만연하므로 실증을 치료함에 교묘한 방법이 있음은 지체하는 방법이 없음이다.
病屬于虛,宜治以緩,蓋虛者精奪,惟一于補,且無近功.
병이 허증에 속하면 의당 완만하게 치료해야 하니, 허증은 정기가 허탈함으로 오직 보만 하면 또한 공로에 가까움이 없다.
故治虛無巧法,亦無速法。
그래서 허증을 치료하는데 교묘한 방법이 없고 또한 빠른 방법이 없다.
若夫醫家之本在學力。
만약 의사의 근본은 배움의 힘씀에 있다.
學力不到,不識現在,安能經方致遠。
학력이 이르지 않으면 현재를 알지 못하니 어찌 경전 처방까지 멀리 이르겠는가?
尤忌者,不矜而自是。
더욱 삼가야할 것은 긍지와 삼감이 없이 스스로만 믿음이다.
病家之本在隆師。
환자의 근본은 융성한 의사에 있다.
遇士無禮,不可以得賢,曷望回天轉日。
의사를 맞이함에 예의학 없으면 현명한 사람을 얻을 수 없으니, 어찌 돌아보아 해를 돌리겠는가?
尤忌者,好兼聽而無斷。
더욱 삼가야 할 것은 겸하여 듣기만 좋아하여 결단이 없음이다.
是故列子曰聖人不察已然,而察其所以然。
그래서 열자가 말하길 성인은 이미 그러함을 살피지 않고 그렇게 된 까닭을 살핀다고 말했다.
淮南子曰所以貴扁鵲者,知病之所由生;
회남자가 말하길 편작을 귀중하게 여김은 병이 유래하여 생기는 바를 알기 때문이라고 했다.
所以貴聖人者,知亂之所由起。
그래서 성인을 귀중하게 여김은 난리의 연유가 생김을 알기 때문이라고 했다.
此知本之言也。
이는 근본을 아는 말이다.
君不見栽花木乎?
그대는 꽃과 나무를 재배함을 보지 못하였는가?
根本被鋤,生機已損,未欲萎耳,不培植水土,而又修以刀剪,未有不槁而焚者。
근본이 호미질을 받으면 생기가 이미 손상하고, 시들지 않으려고 하면 식물의 수토를 북돋지 않고 또한 칼과 가위로 다듬어야 하니 마르지 않고서 불살라지는 것이 없다.
鄙見如此,不識有合于大道否。
이처럼 견해는 비천하니 대도리에 합함이 있음을 알지 못하는가?
家師心初薄之,至是亦瞿然而起,然而嘆曰
집의 스승의 마음이 초기에 엷었다가 이에 이르자 또한 놀라 일어나 한숨쉬듯이 탄식하여 말했다.
大哉論乎 闖然入軒岐之室矣。
闖(말이 문을 나오는 모양, 머리를 내미는 모양, 엿보다 틈; 門-총18획; chuang)
크구나 그 견해여! 엿보듯이 헌원과 기백의 집을 들어갔다.
命筆之書,以俟精醫學印正焉。
붓으로 책을 쓰길 명령하니 정밀한 의학이 바로 인쇄됨을 기다린다.
  • 가격2,0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06.07.14
  • 저작시기2006.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5893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