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내분비계
1. 개념
2. 호르몬
Ⅱ. 내분비계와 호르몬
1. 뇌하수체
2. 갑상선 (Thyroid gland)
3. 부갑상선 (상피소체)
4. 부신 (신상체)
5. 췌장 (pancreas)
6. 성선 (Sexual gland)
7. 송과체
8. 흉선
9. 소화기의 주요 호르몬
Ⅲ. 내분비 조직의 노화 관련 변화
1. 호르몬 감소에 따른 증상
2. 뇌하수체
3. 갑상선
4. 부갑상선
5. 당대사
*참고자료
1. 개념
2. 호르몬
Ⅱ. 내분비계와 호르몬
1. 뇌하수체
2. 갑상선 (Thyroid gland)
3. 부갑상선 (상피소체)
4. 부신 (신상체)
5. 췌장 (pancreas)
6. 성선 (Sexual gland)
7. 송과체
8. 흉선
9. 소화기의 주요 호르몬
Ⅲ. 내분비 조직의 노화 관련 변화
1. 호르몬 감소에 따른 증상
2. 뇌하수체
3. 갑상선
4. 부갑상선
5. 당대사
*참고자료
본문내용
세크레틴 [secretin]
- 십이지장 점막에서 분비되는 이자액이나 쓸개즙의 분비를 촉진시키는 단백질 호르몬.
Ⅲ. 내분비 조직의 노화 관련 변화
1. 호르몬 감소에 따른 증상
① 신진 대사 저하
② 비만, 근육량의 감소
③ 콜라겐의 감소로 피부 건성화 ( 거칠어지고 주름짐 )
④ 식욕감퇴, 신체의 기능적 장애, 두뇌 활동과 뇌 기능 저하
⑤ 성기능 저하 및 성욕 감퇴
⑥ 면역력 저하 또는 부전 ( 감염 증가 등 )
⑦ 피로,무기력감, 우울증, 불면증, 시력, 청력저하 탈모
⑧ 골다공증
⑨ 심폐기능 감소, 혈중 콜레스테롤 증가
2. 뇌하수체
- 뇌하수체는 뇌에 위치하며 인체에서 모든 호르몬 분비조절의 사령관 역할을 하는 기관으로서 노령화함에 따라 서서히 기능이 감소하게 되며, 이로 인해서 호르몬 분비의 감소가 서서히 발생하며 만성질환이나 신체의 노화가 급속도로발생하게 된다. 뇌하수체에서 생성되는 노화에 관련된 대표적인 호르몬으로는 성장호르몬, 성호르몬, 갑상선호르몬, 부신호르몬과 멜라토닌 등이 있으며,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서 호르몬의 감소가 발생한다.
* 성장 호르몬
- 성장호르몬은 송과선에서 분비되어 간을 통해서 성장호르몬 인자로 바뀌어서 신체의 장기의 성장 및 유지에 관여한다. 그러나 노화함에 따라서 송과선에서 성장호르몬의 분비가 감소되고 성장호르몬 인자가 서서히 감소된다. 성장호르몬의 노화는 20대 이후부터 서서히 발생되며, 성장호르몬은 20대 이후 매 10년마다 14.4% 감소하여서 60대가 되면 20대의 50%이하로, 70세에 20% 이하로 감소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이와 같이 성장호르몬이 감소함에 따라서 노화의 다양한 현상이 발생한다. 여성의 경우 폐경으로 에스트로겐 생성이 중단됨에 따라 여포 자극 호르몬 (FSH), 황체 형성 호르몬 (LH) 이 증가하게 된다.
3. 갑상선
- 갑상선 호르몬이란 몸의 신진 대사의 속도를 조절하는 호르몬으로서 우리 몸이 엔진이라면 갑상선호르몬은 엔진의 속도를 조절하는 가속기라고 할 수 있다. 노화함에 따라서 갑상선은 기능이 서서히 감소되며, 갑상선 기능 저하증의 증상이 발생한다.
- 갑상선 기능 저하증 증상
① 피곤감
② 피부가 거칠어지고 물기가 없어짐.
③ 머리카락이 가늘어지고, 머리 숱이 적어짐.
④ 만성 변비
⑤ 언어가 느려짐.
⑥ 알 수 없는 체중의 증가
4. 부갑상선
- 남성 : 꾸준히 증가
- 여성 : 40세 이후에 점점 증가. 부갑상선 기능 항진증이 있으면 혈중 칼슘 농도가 올라가게 된다. 칼슘 농도가 약간 상승한 경우엔 특별한 증상이 없지만, 중등도(中等度) 이상 상승하면 오심, 구토, 변비, 갈증, 소변량 증가 등의 현상이 일어나고 심한 경우 신장결석이 생긴다. 또 뼈 속의 칼슘이 피 속으로 빠져나가므로 골절 가능성도 커진다.
ㅡ> 노화와 함께 골다공증 초래
5. 당대사
- 탄수화물에 대한 내성과 인슈린에 대한 민감성의 감소, 혈중 저밀도 지단백의 증가(LDL), triglycerides와 cholesterol 증가
- 포도당 내인성 장애(Impaired Glucose Tolerance)로 인해 포도당 농도가 비정상적으로 높긴 하지만, 당뇨병으로 진단을 내릴 정도는 아니다.
- 포도당 내인성 장애의 발생 빈도는 나이가 많아질수록 증가함.
예) 65-74세의40%, 세 에서는 50%가 IGT나 당뇨병을 갖고 있으며, 노인에게 제 2형 당뇨병이 많다.
- 공복시 혈중 포도당 농도가 40세부터 10년마다 약 1-2mg/100ml씩 증가하기 때문에 공복시 혈중 포도당 농도가 정상 노인에서도 식후에는 올라갈 수 있다.
* 노화 변화에 대한 간호적용
- 식이 요법으로 정상체중을 유지한다.
- 병변이나 궤양없이 말초순환을 유지한다.
- 정기적으로 혈압을 측정한다.
* 참고 기사
호르몬과 노화는 어떤 관련이 있을까? 호르몬은 몸의 활력을 조절하는 물질. 때문에 현대의학은 호르몬을 노화의 최핵심으로 파악한다. 노화를 연구하는 과학자들은 몇몇 호르몬의 감소가수명과도 비례한다는 점에서 호르몬이 노화 및 건강장수에 깊이 관련돼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성호르몬, 성장호르몬, DHEA, 멜라토닌 등은 노화와 직접 관련 있는 호르몬으로 알려져 있다.예컨대 성호르몬은 10대 후반이나 20대 초반에 가장 높은 수치를 나타낸다. 이 시기의 성욕 증가도 호르몬 분비의 결과. 그러나 25세부터 서서히 호르몬이 감소한다. 노화가 시작된 것이다. 호르몬 수치가 감소하면서 신체기능도 떨어지기 시작, 급격한 노화증세를 보인다. 피로에서 회복하고 주변의 환경에 적응하는 것 같은 생리적 능력이 떨어진다. 체중이 증가하지 않더라도 행동에 필요한 근육은 줄고 지방은 증가한다. 부족한 호르몬을 인위적으로 신체에 주입, 노화를 늦추는 것이 호르몬 보충요법이다. 여성호르몬은 뼈의 노화를 나타내는 골다공증이나 혈관의 노화를 의미하는 동맥경화의 예방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나이가 들어도 호르몬을 젊은 사람 수준으로 유지할 수 있다면 어떻게 될까? 신체 세포들이 자극돼 대사활동은 증가하고 젊음을 유지할 수 있게 될 것이다. 노화를 연구하는 과학자들이 회춘의 묘약을 호르몬에서 찾는 것도 바로 이 때문이다.
- 출처/매일신문/이종균기자 healthcare@imaeil.com
- 참고자료
http://www.medcity.com
http://blog.naver.com/riceblue?Redirect=Log&logNo=80023672432
http://www.hormone75.co.kr/old_2.html (노화방지와 호르몬)
http://web.kyunghee.ac.kr/~health/health/list.html
*목 차
Ⅰ. 내분비계
1. 개념
2. 호르몬
Ⅱ. 내분비계와 호르몬
1. 뇌하수체
2. 갑상선 (Thyroid gland)
3. 부갑상선 (상피소체)
4. 부신 (신상체)
5. 췌장 (pancreas)
6. 성선 (Sexual gland)
7. 송과체
8. 흉선
9. 소화기의 주요 호르몬
Ⅲ. 내분비 조직의 노화 관련 변화
1. 호르몬 감소에 따른 증상
2. 뇌하수체
3. 갑상선
4. 부갑상선
5. 당대사
*참고자료
- 십이지장 점막에서 분비되는 이자액이나 쓸개즙의 분비를 촉진시키는 단백질 호르몬.
Ⅲ. 내분비 조직의 노화 관련 변화
1. 호르몬 감소에 따른 증상
① 신진 대사 저하
② 비만, 근육량의 감소
③ 콜라겐의 감소로 피부 건성화 ( 거칠어지고 주름짐 )
④ 식욕감퇴, 신체의 기능적 장애, 두뇌 활동과 뇌 기능 저하
⑤ 성기능 저하 및 성욕 감퇴
⑥ 면역력 저하 또는 부전 ( 감염 증가 등 )
⑦ 피로,무기력감, 우울증, 불면증, 시력, 청력저하 탈모
⑧ 골다공증
⑨ 심폐기능 감소, 혈중 콜레스테롤 증가
2. 뇌하수체
- 뇌하수체는 뇌에 위치하며 인체에서 모든 호르몬 분비조절의 사령관 역할을 하는 기관으로서 노령화함에 따라 서서히 기능이 감소하게 되며, 이로 인해서 호르몬 분비의 감소가 서서히 발생하며 만성질환이나 신체의 노화가 급속도로발생하게 된다. 뇌하수체에서 생성되는 노화에 관련된 대표적인 호르몬으로는 성장호르몬, 성호르몬, 갑상선호르몬, 부신호르몬과 멜라토닌 등이 있으며,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서 호르몬의 감소가 발생한다.
* 성장 호르몬
- 성장호르몬은 송과선에서 분비되어 간을 통해서 성장호르몬 인자로 바뀌어서 신체의 장기의 성장 및 유지에 관여한다. 그러나 노화함에 따라서 송과선에서 성장호르몬의 분비가 감소되고 성장호르몬 인자가 서서히 감소된다. 성장호르몬의 노화는 20대 이후부터 서서히 발생되며, 성장호르몬은 20대 이후 매 10년마다 14.4% 감소하여서 60대가 되면 20대의 50%이하로, 70세에 20% 이하로 감소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이와 같이 성장호르몬이 감소함에 따라서 노화의 다양한 현상이 발생한다. 여성의 경우 폐경으로 에스트로겐 생성이 중단됨에 따라 여포 자극 호르몬 (FSH), 황체 형성 호르몬 (LH) 이 증가하게 된다.
3. 갑상선
- 갑상선 호르몬이란 몸의 신진 대사의 속도를 조절하는 호르몬으로서 우리 몸이 엔진이라면 갑상선호르몬은 엔진의 속도를 조절하는 가속기라고 할 수 있다. 노화함에 따라서 갑상선은 기능이 서서히 감소되며, 갑상선 기능 저하증의 증상이 발생한다.
- 갑상선 기능 저하증 증상
① 피곤감
② 피부가 거칠어지고 물기가 없어짐.
③ 머리카락이 가늘어지고, 머리 숱이 적어짐.
④ 만성 변비
⑤ 언어가 느려짐.
⑥ 알 수 없는 체중의 증가
4. 부갑상선
- 남성 : 꾸준히 증가
- 여성 : 40세 이후에 점점 증가. 부갑상선 기능 항진증이 있으면 혈중 칼슘 농도가 올라가게 된다. 칼슘 농도가 약간 상승한 경우엔 특별한 증상이 없지만, 중등도(中等度) 이상 상승하면 오심, 구토, 변비, 갈증, 소변량 증가 등의 현상이 일어나고 심한 경우 신장결석이 생긴다. 또 뼈 속의 칼슘이 피 속으로 빠져나가므로 골절 가능성도 커진다.
ㅡ> 노화와 함께 골다공증 초래
5. 당대사
- 탄수화물에 대한 내성과 인슈린에 대한 민감성의 감소, 혈중 저밀도 지단백의 증가(LDL), triglycerides와 cholesterol 증가
- 포도당 내인성 장애(Impaired Glucose Tolerance)로 인해 포도당 농도가 비정상적으로 높긴 하지만, 당뇨병으로 진단을 내릴 정도는 아니다.
- 포도당 내인성 장애의 발생 빈도는 나이가 많아질수록 증가함.
예) 65-74세의40%, 세 에서는 50%가 IGT나 당뇨병을 갖고 있으며, 노인에게 제 2형 당뇨병이 많다.
- 공복시 혈중 포도당 농도가 40세부터 10년마다 약 1-2mg/100ml씩 증가하기 때문에 공복시 혈중 포도당 농도가 정상 노인에서도 식후에는 올라갈 수 있다.
* 노화 변화에 대한 간호적용
- 식이 요법으로 정상체중을 유지한다.
- 병변이나 궤양없이 말초순환을 유지한다.
- 정기적으로 혈압을 측정한다.
* 참고 기사
호르몬과 노화는 어떤 관련이 있을까? 호르몬은 몸의 활력을 조절하는 물질. 때문에 현대의학은 호르몬을 노화의 최핵심으로 파악한다. 노화를 연구하는 과학자들은 몇몇 호르몬의 감소가수명과도 비례한다는 점에서 호르몬이 노화 및 건강장수에 깊이 관련돼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성호르몬, 성장호르몬, DHEA, 멜라토닌 등은 노화와 직접 관련 있는 호르몬으로 알려져 있다.예컨대 성호르몬은 10대 후반이나 20대 초반에 가장 높은 수치를 나타낸다. 이 시기의 성욕 증가도 호르몬 분비의 결과. 그러나 25세부터 서서히 호르몬이 감소한다. 노화가 시작된 것이다. 호르몬 수치가 감소하면서 신체기능도 떨어지기 시작, 급격한 노화증세를 보인다. 피로에서 회복하고 주변의 환경에 적응하는 것 같은 생리적 능력이 떨어진다. 체중이 증가하지 않더라도 행동에 필요한 근육은 줄고 지방은 증가한다. 부족한 호르몬을 인위적으로 신체에 주입, 노화를 늦추는 것이 호르몬 보충요법이다. 여성호르몬은 뼈의 노화를 나타내는 골다공증이나 혈관의 노화를 의미하는 동맥경화의 예방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나이가 들어도 호르몬을 젊은 사람 수준으로 유지할 수 있다면 어떻게 될까? 신체 세포들이 자극돼 대사활동은 증가하고 젊음을 유지할 수 있게 될 것이다. 노화를 연구하는 과학자들이 회춘의 묘약을 호르몬에서 찾는 것도 바로 이 때문이다.
- 출처/매일신문/이종균기자 healthcare@imaeil.com
- 참고자료
http://www.medcity.com
http://blog.naver.com/riceblue?Redirect=Log&logNo=80023672432
http://www.hormone75.co.kr/old_2.html (노화방지와 호르몬)
http://web.kyunghee.ac.kr/~health/health/list.html
*목 차
Ⅰ. 내분비계
1. 개념
2. 호르몬
Ⅱ. 내분비계와 호르몬
1. 뇌하수체
2. 갑상선 (Thyroid gland)
3. 부갑상선 (상피소체)
4. 부신 (신상체)
5. 췌장 (pancreas)
6. 성선 (Sexual gland)
7. 송과체
8. 흉선
9. 소화기의 주요 호르몬
Ⅲ. 내분비 조직의 노화 관련 변화
1. 호르몬 감소에 따른 증상
2. 뇌하수체
3. 갑상선
4. 부갑상선
5. 당대사
*참고자료
추천자료
환경관련...
환경호르몬이란
(노년학)주변의 노인 중에서 한 분을 선정하여 가정생활 및 사회생활을 관찰하여 노년기의 성...
[모성간호학]폐경과 노화
[노년의 성생활] 노화와 성기능 및 성활동, 노년기 성관계 상호작용
[21C]21C(21세기)의 리더십(리더쉽), 21C(21세기)의 사회변화, 21C(21세기)의 기업조직, 21C(...
[질병(질환)][성기능장애][음성장애]질병(질환)과 성기능장애, 질병(질환)과 음성장애, 질병(...
[국제관광][국제][관광][방문동기][거래행위][미국][국제관광 전략]국제관광의 변화추이, 국...
[화장품][화장][위해성][유통구조][수입품][노화방지][미백기능]화장품의 사용목적, 화장품의...
비뇨생식기泌尿生殖器계의 노화와 건강문제
생활과건강) 충분한 휴식을 취한 상태에서 혈압을 2회 측정 후 평균혈압 분석, 고혈압 진단기...
[골다공증骨多孔症] 골다공증 개념, 골다공증 원인, 골다공증 문제, 골다공증 증상, 골다공증...
폐경의 정의, 원인, 증상 및 징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