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문학연습]호랑이 소재 민담과 민화의 유형 분류와 무의식 분석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고전문학연습]호랑이 소재 민담과 민화의 유형 분류와 무의식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머리말

2. 호랑이 소재 민담과 민화의 유형학
(1) 호랑이를 동물로 보는 관점
(2) 동물과 인간이 복합된 관점
(3) 호랑이를 인간화하여 보는 관점

3. 호랑이 소재 민담과 민화의 정신분석과 서민적 상상력
(1)감정적 동일시에 의한 전위 현상
(2) 보여짐의 응시(gaze)작용으로서 전위현상
(3) 서민적 상상력의 특징

4. 맺음말

본문내용

머릿말
한국인에게 호랑이란?
-공포의 대상이자 친근함의 존재
민담과 민담사이의 소통회로
-<설화도><고사도><행실도>를 통하여 알아보자
호랑이 소재 민담과 민화의 유형학
향유 집단을 파악하기 위한 세가지 구분
호랑이를 동물로 보는 관점:
보는 위치가 멀리 설정, 객관화 지향
(2) 동물과 인간이 복합된 관점
(3) 호랑이를 인간화하여 보는 관점:
보는 위치가 가까이 설정, 주관화된 감정을 지님.
민담의 유형학
첫째, 호랑이를 사나운 동물로 관점의 이야기는 호환(虎患)과 호식(虎食), 또는 그에 근접한 경험을 말하는 이야기와, 호랑이를 사냥하는 이야기류
둘째, 동물과 인간이 혼재된 양상을 보여주는 이야기류
셋째, 호랑이를 의인화된 관점에서 바라보는 이야기류
-의인화 양상에 따른 5가지 구분
①어려움에서 구해주자 은혜를 갚는 호랑이
②인간의 설득에 감화 받는 호랑이
③인간의 선행을 포상하는 호랑이
④남의 속임에 잘 속아 넘어가는 호랑이
⑤자기 꾀에 자기가 넘어가는 호랑이

키워드

호랑이,   민담,   고전,   문학,   의식

추천자료

  • 가격2,000
  • 페이지수16페이지
  • 등록일2006.07.31
  • 저작시기2006.5
  • 파일형식파워포인트(ppt)
  • 자료번호#36042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