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환경분석 (회사 소개 포함)
1. 내부환경분석
2. 외부환경분석
3. SWOT 분석
Ⅱ. STP
1. MARKETING OBJECTIVE
2. 시장세분화(Segmentation)
3. 표적시장 선정(Targeting)
4. 포지셔닝(Positioning)
Ⅲ. 4P MIX
1. 제품전략(Product)
2. 가격전략(Price)
3. 유통전략(Place)
4. 촉진전략(Promotion)
Ⅳ. 문제점 및 결론
1. 샴푸
2. 왁스
3. 염모제
4. 헤어 토탈 브랜드, 미쟝센
1. 내부환경분석
2. 외부환경분석
3. SWOT 분석
Ⅱ. STP
1. MARKETING OBJECTIVE
2. 시장세분화(Segmentation)
3. 표적시장 선정(Targeting)
4. 포지셔닝(Positioning)
Ⅲ. 4P MIX
1. 제품전략(Product)
2. 가격전략(Price)
3. 유통전략(Place)
4. 촉진전략(Promotion)
Ⅳ. 문제점 및 결론
1. 샴푸
2. 왁스
3. 염모제
4. 헤어 토탈 브랜드, 미쟝센
본문내용
일이 샴푸를 구매하기 보다는 주부들이 대형할인 마트에 가서 가족들이 쓸 제품을 사오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미쟝센 펄 샤이닝 샴푸는 젊은 층을 타게팅하여 그들을 위한 마케팅 전략을 펼치고 있다. 2,30대의 구매층만 겨냥해서는 안 된다. 따라서 실질 구매층인 30,40대의 여성을 위한 마케팅 전략이 요구된다. 광고 모델을 조인성, 하지원과 같이 젊은 모델만 쓸 것이 아니라, 중년층 여성에 자극이 될 모델을 이용하는 것도 한 가지 방법이 될 수 있겠다.
2. 부족한 제품군
: 프리미엄 샴푸로써 선매품의 경향도 띄기는 하지만 편의 제품인 샴푸임에도 불구하고 제품의 종류가 타 경쟁브랜드에 비해 부족하다. 다른 경쟁 브랜드들은 모발의 상태에 따라 다양한 상품 구색을 갖추고 있는데 미쟝센은 아직까지 2가지 종류의 제품뿐이다.
소비자의 추구 편의에 따라 좀 더 구체적인 시장세분화가 요구되며 그에 따른 다양한 제품라인 확장 전략으로 더욱 많은 제품을 시장에 선보일 필요가 있다.
3. 새로운 고객을 끌어들이기에 한정되어 있는 시장.
: 시장의 크기 자체가 한정되어 있고 새로운 고품질 고가 제품을 내놓는다고 해도 한정되어 있는 시장의 규모는 지속적인 성장을 원하는 입장에서는 문제점으로 지적할 수 있다.
4. 경쟁사들의 공략과 불투명한 차별화
: 고급 고품질의 제품들을 내놓은 이후, 시장 점유율은 급속도로 올렸지만, 이후 타사들의 제품들 또한 유사한 제품들을 선보였으며, 광고나 PR 정책에 있어서도 유사하다는 점에서 차별화를 이루기가 매우 어렵다. 또한 소비자들이 그다지 많은 신경을 쓰면서 사지 않는 소비재라는 점에서 그 차별화에 대한 어려움들이 존재한다.
2) 대책
1. 다양한 연령대의 고객에게 어필할 수 있도록 정책의 전환이 이루어져야 한다.
2. 제품군의 숫자를 늘려 소비자들의 선택의 기회를 넓힘으로써 판매에 더욱더 신경 써야 한다. 3. 지속적인 투자를 통해 고품질의 제품만을 생산하여 타제품과의 차별화에 주력해야 한다.
4. 화장품들과의 기술 연계를 통해 여러 다양하고 색다른 제품군을 선보여야 한다.
2. 왁스
1) 문제점
1. 고급 이미지 인식 미비
: 헤어 토탈 브랜드인 미쟝센은 전체적으로 고급화 전략을 내세우고 있다. 그러나 다른 주력 상품인 샴푸나 염모제에 비해 왁스는 소비자들에게 고급의 제품이라는 인식이 미비하다.
2. 시장 성장률에 비해 상대적으로 좁은 타겟
: 미쟝센 헤어왁스는 젊은 남성들을 주 타겟으로 하여 남성 중심의 마케팅 전략을 행해왔다. 그러나 최근 헤어 왁스 시장이 커지고 여러 가지 경쟁상품이 쇄도하고 있다. 더 이상은 남성들을 중심으로 한 왁스를 강조하기보다는 다양한 머리 스타일의 여성시장을 공략하여 그 시장을 점진적으로 넓혀가는 것 또한 중요한 과제이다.
2) 대책
1. 현재 시장 점유율 1위를 고수하고 있지만 많은 경쟁 상품들 속에서 시장 우위를 지속적으로 이끌어 가기 위해서, 그리고 미쟝센 토탈 브랜드의 일관성 유지를 위해서 소비자들에게 고급이미지를 심어주는 것이 가장 시급한 과제이다. 구체적으로 품질의 개선과 제품 디자인을 들 수 있다. 고급 이미지를 부각시키기 위해 제품의 디자인을 기존의 다른 제품들과 차별화된 디자인으로 시각적으로 소비자들에게 어필할 수 있겠다. 또한 경쟁 제품들을 두피와 모발에 자극이 심한 데 비해 미쟝센은 두피와 모발에 손상이 덜 가도록 만들어진 제품이라는 품질의 우위를 알리는 노력이 필요할 것이며 지속적으로 품질을 개선해 나가야 할 것이다. 고급화 전략의 일환으로 가격 전략도 매우 중요한데 액면 가격을 올리는 것보다는 제품의 용량을 줄여 고급화하는 것도 검토해 볼 만한 시안이다.
2. 더 이상은 남성들을 중심으로 한 왁스를 강조하기보다는 다양한 머리 스타일의 여성시장을 공략하여 그 시장을 점진적으로 넓혀가는 것 또한 중요한 과제이다.
3. 염모제
1) 문제점
1. 고급 이미지 인식 미비 및 기술 부족
2. 외국계 브랜드에 비해 제품 차별화 미흡
2) 대책
1. 염색약 역시 왁스와 마찬가지로 고급스런 이미지 구축을 그 바탕으로 하며 염색약은 모발을 손상시킨다는 소비자들의 걱정을 덜어줄 수 있는 기술적인 보완이 필요하다. 우리의 생활 전 영역에 걸쳐 웰빙 바람이 불고 있는 현 시점에서 모발의 손상이 덜 가는 제품의 개발은 다른 경쟁 브랜드와의 차별화된 전략의 핵심이 될 수 있다. 태평양의 유리한 기술력을 바탕으로 제품의 품질에 초점을 맞추는 것이다.
2. 왁스나 샴푸에 비해 염색약은 특히 웰라와 로레알이라는 외국계 브랜드와 경쟁이 치열한데 이를 극복하기 위한 방안으로 동양적인 외모 즉, 피부색과 얼굴형에 어울리는 컬러를 연구, 개발하는 것이 있다. 미쟝센은 국내 브랜드로서 하얀 피부의 갸름한 얼굴, 파란색 눈동자를 가진 소비자를 중심으로 연구하고 개발한 컬러의 염색약과는 달리, 동양적인 외모에 잘 어울리는 컬러임을 강조하는 것이다.
4. 헤어 토탈 브랜드, 미쟝센
1) 문제점
1. 고급적 이미지의 비일관성
: 미쟝센은 고급 이미지를 강조하고 있다. 그러나 주력 상품인 샴푸, 왁스, 염색약의 고급화 이미지의 일관성이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제시되고 있다.
2. 헤어 앰플과 에센스 시장에 대한 대책 미흡
: 세 가지의 주력 상품 이외에도 미쟝센에는 헤어 앰플과 에센스 등이 출시되고 있다. 아직까지 그 시장의 규모가 크지 않지만 웰빙 열풍과 함께 이 시장은 그 성장 가능성이 크다.
2) 대책
1. 각 제품별 마케팅 전략도 중요하겠지만 일관성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미쟝센’을 떠올리면 헤어 토탈 고급 브랜드라는 인식이 될 수 있는 강력한 슬로건을 내세우는 것이 한 가지 대안이 될 수 있겠다.
2. 주력 상품에만 주의를 기울일 것이 아니라 앰플과 에센스의 시장에도 차츰 비중을 늘려가야 할 것이다. 화장품 회사의 다년간 축적된 기술을 바탕으로 제품의 품질을 높이는 것이 아직까지는 가장 중요하다.
앰플과 에센스의 사용에 있어서 제품의 향 또한 무시할 수 없는 요소이다. 게다가 최근 소비자들은 개성을 추구하는 경향이 강한데 태평양의 조향 기술과 접목하여, 향수의 기능도 함께 할 수 있는 향기나는 앰플과 에센스의 개발을 제안해 본다.
미쟝센 펄 샤이닝 샴푸는 젊은 층을 타게팅하여 그들을 위한 마케팅 전략을 펼치고 있다. 2,30대의 구매층만 겨냥해서는 안 된다. 따라서 실질 구매층인 30,40대의 여성을 위한 마케팅 전략이 요구된다. 광고 모델을 조인성, 하지원과 같이 젊은 모델만 쓸 것이 아니라, 중년층 여성에 자극이 될 모델을 이용하는 것도 한 가지 방법이 될 수 있겠다.
2. 부족한 제품군
: 프리미엄 샴푸로써 선매품의 경향도 띄기는 하지만 편의 제품인 샴푸임에도 불구하고 제품의 종류가 타 경쟁브랜드에 비해 부족하다. 다른 경쟁 브랜드들은 모발의 상태에 따라 다양한 상품 구색을 갖추고 있는데 미쟝센은 아직까지 2가지 종류의 제품뿐이다.
소비자의 추구 편의에 따라 좀 더 구체적인 시장세분화가 요구되며 그에 따른 다양한 제품라인 확장 전략으로 더욱 많은 제품을 시장에 선보일 필요가 있다.
3. 새로운 고객을 끌어들이기에 한정되어 있는 시장.
: 시장의 크기 자체가 한정되어 있고 새로운 고품질 고가 제품을 내놓는다고 해도 한정되어 있는 시장의 규모는 지속적인 성장을 원하는 입장에서는 문제점으로 지적할 수 있다.
4. 경쟁사들의 공략과 불투명한 차별화
: 고급 고품질의 제품들을 내놓은 이후, 시장 점유율은 급속도로 올렸지만, 이후 타사들의 제품들 또한 유사한 제품들을 선보였으며, 광고나 PR 정책에 있어서도 유사하다는 점에서 차별화를 이루기가 매우 어렵다. 또한 소비자들이 그다지 많은 신경을 쓰면서 사지 않는 소비재라는 점에서 그 차별화에 대한 어려움들이 존재한다.
2) 대책
1. 다양한 연령대의 고객에게 어필할 수 있도록 정책의 전환이 이루어져야 한다.
2. 제품군의 숫자를 늘려 소비자들의 선택의 기회를 넓힘으로써 판매에 더욱더 신경 써야 한다. 3. 지속적인 투자를 통해 고품질의 제품만을 생산하여 타제품과의 차별화에 주력해야 한다.
4. 화장품들과의 기술 연계를 통해 여러 다양하고 색다른 제품군을 선보여야 한다.
2. 왁스
1) 문제점
1. 고급 이미지 인식 미비
: 헤어 토탈 브랜드인 미쟝센은 전체적으로 고급화 전략을 내세우고 있다. 그러나 다른 주력 상품인 샴푸나 염모제에 비해 왁스는 소비자들에게 고급의 제품이라는 인식이 미비하다.
2. 시장 성장률에 비해 상대적으로 좁은 타겟
: 미쟝센 헤어왁스는 젊은 남성들을 주 타겟으로 하여 남성 중심의 마케팅 전략을 행해왔다. 그러나 최근 헤어 왁스 시장이 커지고 여러 가지 경쟁상품이 쇄도하고 있다. 더 이상은 남성들을 중심으로 한 왁스를 강조하기보다는 다양한 머리 스타일의 여성시장을 공략하여 그 시장을 점진적으로 넓혀가는 것 또한 중요한 과제이다.
2) 대책
1. 현재 시장 점유율 1위를 고수하고 있지만 많은 경쟁 상품들 속에서 시장 우위를 지속적으로 이끌어 가기 위해서, 그리고 미쟝센 토탈 브랜드의 일관성 유지를 위해서 소비자들에게 고급이미지를 심어주는 것이 가장 시급한 과제이다. 구체적으로 품질의 개선과 제품 디자인을 들 수 있다. 고급 이미지를 부각시키기 위해 제품의 디자인을 기존의 다른 제품들과 차별화된 디자인으로 시각적으로 소비자들에게 어필할 수 있겠다. 또한 경쟁 제품들을 두피와 모발에 자극이 심한 데 비해 미쟝센은 두피와 모발에 손상이 덜 가도록 만들어진 제품이라는 품질의 우위를 알리는 노력이 필요할 것이며 지속적으로 품질을 개선해 나가야 할 것이다. 고급화 전략의 일환으로 가격 전략도 매우 중요한데 액면 가격을 올리는 것보다는 제품의 용량을 줄여 고급화하는 것도 검토해 볼 만한 시안이다.
2. 더 이상은 남성들을 중심으로 한 왁스를 강조하기보다는 다양한 머리 스타일의 여성시장을 공략하여 그 시장을 점진적으로 넓혀가는 것 또한 중요한 과제이다.
3. 염모제
1) 문제점
1. 고급 이미지 인식 미비 및 기술 부족
2. 외국계 브랜드에 비해 제품 차별화 미흡
2) 대책
1. 염색약 역시 왁스와 마찬가지로 고급스런 이미지 구축을 그 바탕으로 하며 염색약은 모발을 손상시킨다는 소비자들의 걱정을 덜어줄 수 있는 기술적인 보완이 필요하다. 우리의 생활 전 영역에 걸쳐 웰빙 바람이 불고 있는 현 시점에서 모발의 손상이 덜 가는 제품의 개발은 다른 경쟁 브랜드와의 차별화된 전략의 핵심이 될 수 있다. 태평양의 유리한 기술력을 바탕으로 제품의 품질에 초점을 맞추는 것이다.
2. 왁스나 샴푸에 비해 염색약은 특히 웰라와 로레알이라는 외국계 브랜드와 경쟁이 치열한데 이를 극복하기 위한 방안으로 동양적인 외모 즉, 피부색과 얼굴형에 어울리는 컬러를 연구, 개발하는 것이 있다. 미쟝센은 국내 브랜드로서 하얀 피부의 갸름한 얼굴, 파란색 눈동자를 가진 소비자를 중심으로 연구하고 개발한 컬러의 염색약과는 달리, 동양적인 외모에 잘 어울리는 컬러임을 강조하는 것이다.
4. 헤어 토탈 브랜드, 미쟝센
1) 문제점
1. 고급적 이미지의 비일관성
: 미쟝센은 고급 이미지를 강조하고 있다. 그러나 주력 상품인 샴푸, 왁스, 염색약의 고급화 이미지의 일관성이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제시되고 있다.
2. 헤어 앰플과 에센스 시장에 대한 대책 미흡
: 세 가지의 주력 상품 이외에도 미쟝센에는 헤어 앰플과 에센스 등이 출시되고 있다. 아직까지 그 시장의 규모가 크지 않지만 웰빙 열풍과 함께 이 시장은 그 성장 가능성이 크다.
2) 대책
1. 각 제품별 마케팅 전략도 중요하겠지만 일관성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미쟝센’을 떠올리면 헤어 토탈 고급 브랜드라는 인식이 될 수 있는 강력한 슬로건을 내세우는 것이 한 가지 대안이 될 수 있겠다.
2. 주력 상품에만 주의를 기울일 것이 아니라 앰플과 에센스의 시장에도 차츰 비중을 늘려가야 할 것이다. 화장품 회사의 다년간 축적된 기술을 바탕으로 제품의 품질을 높이는 것이 아직까지는 가장 중요하다.
앰플과 에센스의 사용에 있어서 제품의 향 또한 무시할 수 없는 요소이다. 게다가 최근 소비자들은 개성을 추구하는 경향이 강한데 태평양의 조향 기술과 접목하여, 향수의 기능도 함께 할 수 있는 향기나는 앰플과 에센스의 개발을 제안해 본다.
추천자료
[서비스][서비스마케팅 사례][귀족마케팅 전략]서비스의 정의와 금융기관의 서비스마케팅 사...
[경제불황]경제불황의 개념, 경제불황기 기업경쟁력 제고를 위한 경영전략, 경제불황기 탈출...
노키아(NOKIA) 국제마케팅전략,노키아마케팅전략,노키아한국실패와중국성공,NOKIA마케팅전략,...
롯데 마트의 마케팅 전략분석 - 기업분석,마케팅전략,브랜드마케팅,서비스마케팅,글로벌경영,...
이랜드와 롯데의 사회적마케팅전략과성과,이랜드,이랜드기업분석,이랜드사회적마케팅,이랜드...
가전제품의 색채가 소비자에게 미치는 영향 - 가전제품컬러마케팅,컬러마케팅전략,컬러마케팅...
Emotional Marketing - 감성마케팅,감성마케팅전략,감성마케팅사례,스타벅스의감성전략,스타...
매스티지(masstige) 마케팅 - 매스티지마케팅,매스티지마케팅전략,매스티지마케팅사례및분석,...
신세계 이마트 - 글로벌 시장전략 및 글로벌 마케팅 전략 분석 (이마트해외진출,이마트중국시...
[창업기업 전략][창업][기업][아웃소싱][마케팅]창업기업의 아웃소싱전략, 창업기업의 경영전...
[현대중공업] 현대중공업 경영전략분석과 현대중공업 마케팅전략분석 및 새로운마케팅전략 제...
『HITE 하이트진로 마케팅전략 분석』 하이트진로 기업경영분석과 하이트진로 마케팅 SWOT,ST...
≪ 클라우드맥주 (Kloud) 마케팅전략 ≫ 클라우드맥주 브랜드분석과 마케팅전략 분석 및 클라우...
필립스(PHILIPS) 경영분석과 필립스 글로벌마케팅전략분석 및 필립스 브랜드확장전략분석 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