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불교의 등장배경
불교의 창시자-석가모니의 생애
한국의 불교 - 역사
삼국(三國)시대의 불교
통일신라시대의 불교
고려시대의 불교
불교의 의의
우리나라 불교의 종류
불교의 실생활 적용
-참고-
불교의 중심사상
불교의 창시자-석가모니의 생애
한국의 불교 - 역사
삼국(三國)시대의 불교
통일신라시대의 불교
고려시대의 불교
불교의 의의
우리나라 불교의 종류
불교의 실생활 적용
-참고-
불교의 중심사상
본문내용
원증회고(怨憎會苦, 미워하는 이를 만나는 고통), 구부득고(求不得苦, 구하려 애써지만 얻지 못하는 고통), 오취온고(五取蘊苦, 5감으로 들어와 쌓여있는 모든 것) + 4고(苦)
2. 집성제(集聖諦) - 마음속의 번뇌와 갈등이 쌓여 고통이 생긴다는 진리. 현실 세계의 원인임. 고통의 원인- 정감(情感)의 측면: 애욕(愛慾) 이지(理智)의 측면: 무명(無明)
3. 멸성제(滅聖諦) - 고통의 원인이 소멸된 상태로서 해탈(解脫)과 열반(涅槃)의 경지에 이르는 것. 불교의 궁극 목적. 이상 세계의 결과임, 멸이란 해탈과 열반의 경지, 즉 절대 자유와 절대 평화의 세계.
4. 도성제(道聖諦) - 열반의 경지에 도달하는 수행 방법. 이상 세계의 원인임.
* 팔정도(八正道) : 지나친 쾌락과 지나친 계율, 고행을 금지한 중도(中道)로서의 8가지 바른 수행법.
正見(정견, 바른 견해), 正思惟(정사유, 바른 의사), 正語(정어, 바른 말),
正業(정업, 바른 행위), 正命(정명, 바른 생활), 正精進(정정진, 바른노력),
正念(정념, 바른 의식), 正定(정정, 바른 정신통일)
D. 삼법인(三法印)사상 - 세상의 모든 현상과 존재의 참모습에 대한 불타의 깨달음을 세가지로 설명.
1. 제행무상(諸行無常)- 모든 것은 항상 변한다. * 생멸, 변화의 만물 유전의 세계관
2. 제법무아(諸法無我)- 모든 현상의 존재는 인(因)과 연(緣)에 의해 생긴 것이어서
고정된 실체란 없다.
3. 일체개고(一切皆苦)- 인생 그 자체가 고통과 번뇌이다. 자아(自我)가 실재하며, 현실 세계는 고정된 것으로 착각하고 집착하게 됨으로써 인생의 모든 고뇌가 생긴다는 것.
. 윤회(輪廻)사상
생명이 있는 것, 즉 중생은 죽어도 다시 태어나 생이 반복된다고 하는 불교사상.불교에서는 윤회하는 세계에 지옥아귀(餓鬼)축생(畜生)아수라(阿修羅)인간천상(天上)의 육도(六道:六趣)가 있다고 말한다.
이에 따르면 현재 우리들 앞에 있는 축생, 예를 들어 파리나 모기 등도 전생에는 인간이었던 것이 바뀌어 태어났는지도 모르며, 또 장차 우리들이 저승에서 파리모기로 태어날 수도 있다는 것이다. 육도 중 어느 세계에 태어나느냐 하는 것은 우리들 자신의 행위와 그 행위의 결과와의 총체인 업(業)에 따라 결정되는 것이라 하며, 또한 이 업은 이승에 있는 우리들의 상식을 초월하여 판정되어, 선업(善業)에 의하여 선의 세계에, 악업에 따라 악의 세계에 태어난다고 한다.
2. 집성제(集聖諦) - 마음속의 번뇌와 갈등이 쌓여 고통이 생긴다는 진리. 현실 세계의 원인임. 고통의 원인- 정감(情感)의 측면: 애욕(愛慾) 이지(理智)의 측면: 무명(無明)
3. 멸성제(滅聖諦) - 고통의 원인이 소멸된 상태로서 해탈(解脫)과 열반(涅槃)의 경지에 이르는 것. 불교의 궁극 목적. 이상 세계의 결과임, 멸이란 해탈과 열반의 경지, 즉 절대 자유와 절대 평화의 세계.
4. 도성제(道聖諦) - 열반의 경지에 도달하는 수행 방법. 이상 세계의 원인임.
* 팔정도(八正道) : 지나친 쾌락과 지나친 계율, 고행을 금지한 중도(中道)로서의 8가지 바른 수행법.
正見(정견, 바른 견해), 正思惟(정사유, 바른 의사), 正語(정어, 바른 말),
正業(정업, 바른 행위), 正命(정명, 바른 생활), 正精進(정정진, 바른노력),
正念(정념, 바른 의식), 正定(정정, 바른 정신통일)
D. 삼법인(三法印)사상 - 세상의 모든 현상과 존재의 참모습에 대한 불타의 깨달음을 세가지로 설명.
1. 제행무상(諸行無常)- 모든 것은 항상 변한다. * 생멸, 변화의 만물 유전의 세계관
2. 제법무아(諸法無我)- 모든 현상의 존재는 인(因)과 연(緣)에 의해 생긴 것이어서
고정된 실체란 없다.
3. 일체개고(一切皆苦)- 인생 그 자체가 고통과 번뇌이다. 자아(自我)가 실재하며, 현실 세계는 고정된 것으로 착각하고 집착하게 됨으로써 인생의 모든 고뇌가 생긴다는 것.
. 윤회(輪廻)사상
생명이 있는 것, 즉 중생은 죽어도 다시 태어나 생이 반복된다고 하는 불교사상.불교에서는 윤회하는 세계에 지옥아귀(餓鬼)축생(畜生)아수라(阿修羅)인간천상(天上)의 육도(六道:六趣)가 있다고 말한다.
이에 따르면 현재 우리들 앞에 있는 축생, 예를 들어 파리나 모기 등도 전생에는 인간이었던 것이 바뀌어 태어났는지도 모르며, 또 장차 우리들이 저승에서 파리모기로 태어날 수도 있다는 것이다. 육도 중 어느 세계에 태어나느냐 하는 것은 우리들 자신의 행위와 그 행위의 결과와의 총체인 업(業)에 따라 결정되는 것이라 하며, 또한 이 업은 이승에 있는 우리들의 상식을 초월하여 판정되어, 선업(善業)에 의하여 선의 세계에, 악업에 따라 악의 세계에 태어난다고 한다.
추천자료
불국토 사상 : 신라 불국토사상의 전개양상과 역사적 의의
[사마천][사기][사마천의 사기][중국][사학사상][역사][봉건전제]사마천의 사기 분석(사마천,...
[중국][중국 전통사상][중국 역사][중국 산업][중국인][중국 농업][중국 경제][중국과 한국 ...
고전학파 경제학의 역사와 주요학자, 고전학파 아담스미스와 데이비드 리카도의 경제사상(경...
[북한문학][북한문학 원칙][북한문학 단계][주체사상][리얼리즘론][김시습]북한문학의 특징, ...
[자유주의사상] 자유주의 사상의 역사, 시대적 배경과 철학적 토대
사회학 기초이론, Karl marx, 사상적 원천, 인간을 보는 관점, 사회구성체론, 역사발전단계론...
[민주화운동][민주화][과거청산법][민본사상]민주화운동의 역사, 민주화운동의 이념, 민주화...
[보육학개론] 우리나라 보육의 역사에 대해 - 영유아 보육의 역사와 가치관, 발전단계, 우리...
(교육철학 및 교육사 - 제1차 연구과제) 이상주의 - 이상주의 교육사상의 관점에서 역사교육...
『안응칠역사(安應七歷史)』를 읽고 - 『안응칠역사』에 나타난 안중근의 사상적 배경과 세계...
시대별(서양) 보육사상의 특징에 대해 설명하고 자신의 보육철학 및 아동관을 논하시오. (서...
영유아 프로그램의 역사적 사상과 현대사상을 비교한 뒤 자신의 의견을 서술하시오.
영유아프로그램개발과평가)영유아프로그램의 역사적 사상과 현대사상을 비교한 뒤 자신의 의...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