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도요타의 개혁방향
2. 사무직의 생산성 향상
3. 연공서열 요소의 불식
4. 프로 인재로 육성
5. 새로운 관리자 모델 제시
6. 기능직의 활성화
7. 그 밖의 도요타가 시행한 전략
8. 도요타 조직 개혁의 성공 포인트
2. 사무직의 생산성 향상
3. 연공서열 요소의 불식
4. 프로 인재로 육성
5. 새로운 관리자 모델 제시
6. 기능직의 활성화
7. 그 밖의 도요타가 시행한 전략
8. 도요타 조직 개혁의 성공 포인트
본문내용
정에서 가장 눈에 띄는 측면이라 할 수 있다. 새로운 인력들의 변화하는 needs에 발 맞추어 보다 도전적이고 성취감을 느낄 수 있는 직위를 신설하고 새로운 승진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동시에 인사적체의 영향으로 나타나는 관리직의 비대를 과감하게 단축하고 실무인력의 확보를 꾀했다. 이 과정에서도 관리직에서 스텝으로 밀려나는 그룹이 가능한 박탈감을 느끼지 않도록 업무는 바뀌되 현재의 처우를 당분간 유지한다 정책을 취하는 배려도 보이고 있다. 위에서 언급한 것처럼 전문 기능직의 신설로 인한 관리직이 되지 못한 것에 대한 사기 저하를 방지 하였다. 마지막, 직원의 일하는 즐거움과 보람의 상실 측면이다. 도요타는 자동화/ 표준화로 자신들의 입지가 줄어들었다고 느끼는 기능직에 대하여 "보람을 느끼며 일할 수 있는 환경"에 대한 조사를 수행하고 이에 기반한 개혁을 실시함으로써 기업에 실지로 필요한 우수한 실무인력을 확보할 수 있었다.결국, 도요타는 미국식 성과주의 경영방식을 무리하게 도입하지 않고, 도요타가 가지고 있던 일본식 인사 시스템을 새로운 환경에 적절히 변화, 개선시킴으로써 도요타가 추구하는 구성원들의 고통을 최소화하는 개혁을 성공적으로 마칠 수 있었다.
추천자료
공기업의 내부직원만족도조사를 통한 조직활성화 방안
[조직행위론]자율성향상을 통한 기업의 혁신사례연구
호텔기업의 지식경영 도입이 종사원의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조직문화][현대기업의 조직문화]조직문화의 구성, 유형, 특징과 비교론 및 현대기업의 조직...
조직문화의 이론적 배경과 삼성테스코의 기업문화에 대해 알아보시오.
학습조직의 개요 패러다임 변화 기업교육담당자의 역할과 사명
DHL vs FedEx - 조직구조 비교, 기업소개 및 결론
중소기업의 조직관리(조직문제의 중요성, 중소기업의 분권화, 팀조직의 도입활용, 중소기업 ...
프랜차이즈 기업 불평등 사례, 조직 구조, 수익 구조, 우리나라 사회구조, 불평등 구조 사회...
[구조조정][노사관계]구조조정과 노사관계, 구조조정과 노동조합, 구조조정과 노동유연성, 구...
P&G의‘조직구조의 발전 방향’,P&G 조직문화-P&G 조직구조 성공사례,P&G기업...
≪네슬레 (Nestlé)≫ 「 네슬레 오프닝 케이스 보고서 」 기업 소개, 해외진출 전략...
경영학개론_기업문화란 무엇이며 경영자는 조직문화에 대해 어떻게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 논...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