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사례>
【쟁점】
【해설】
1. 기본권 제한의 법률유보의 원칙과 위임입법
2. 신뢰보호의 원칙 위반 여부
3. 재산권과 직업선택의 자유
【쟁점】
【해설】
1. 기본권 제한의 법률유보의 원칙과 위임입법
2. 신뢰보호의 원칙 위반 여부
3. 재산권과 직업선택의 자유
본문내용
율을 1% 미만으로 강제하는 것이 첨가제의 본질에 합당한 첨가제의 제조를 불가능하게 하거나 매우 어렵게 한다면 그러한 비율 규정은 A의 직업선택이나 수행의 자유를 직접 침해한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첨가의 비율을 1% 미만으로 하여서는 첨가제의 본질에 합당한 첨가제의 제조가 불가능하다는 점에 대하여는 증거가 없다. 오히려 A의 제품들을 제외한 현재 시중에 유통되고 있는 자동차용 휘발유의 첨가제는 그 첨가비율이 휘발유 대비 0.08 내지 0.8%로서 전부 1% 미만이다. 따라서 A의 주장과 달리 실제의 상황은 반대라고 할 수 있다. 또한 동 사건의 비율조항이 연료에 첨가제를 사후적으로 첨가하는 행위를 규제하는 것이라고 보면 그 제한을 받는 사람은 첨가행위를 하는 사람이다. 다시 말해 연료 및 첨가제의 구입·사용자가 제한을 받는 사람이지 첨가제를 제조·판매하는 사람은 아니다.
결론적으로 A가 이 비율조항으로 인하여 직업의 자유가 침해된다는 주장은 인정하기 어렵다. 그러므로 이 비율조항이 A의 직업의 자유를 직접 침해한다는 주장은 이유가 없다.
【관련 내용은 헌법재판소 전원재판부 2005.02.03. 2003헌마603; 한국석유품질검사소 홈페이지 참조】
그러나 첨가의 비율을 1% 미만으로 하여서는 첨가제의 본질에 합당한 첨가제의 제조가 불가능하다는 점에 대하여는 증거가 없다. 오히려 A의 제품들을 제외한 현재 시중에 유통되고 있는 자동차용 휘발유의 첨가제는 그 첨가비율이 휘발유 대비 0.08 내지 0.8%로서 전부 1% 미만이다. 따라서 A의 주장과 달리 실제의 상황은 반대라고 할 수 있다. 또한 동 사건의 비율조항이 연료에 첨가제를 사후적으로 첨가하는 행위를 규제하는 것이라고 보면 그 제한을 받는 사람은 첨가행위를 하는 사람이다. 다시 말해 연료 및 첨가제의 구입·사용자가 제한을 받는 사람이지 첨가제를 제조·판매하는 사람은 아니다.
결론적으로 A가 이 비율조항으로 인하여 직업의 자유가 침해된다는 주장은 인정하기 어렵다. 그러므로 이 비율조항이 A의 직업의 자유를 직접 침해한다는 주장은 이유가 없다.
【관련 내용은 헌법재판소 전원재판부 2005.02.03. 2003헌마603; 한국석유품질검사소 홈페이지 참조】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