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입양 문화가 나아가야 할 방향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우리나라 입양 문화가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현재 입양의 실태

2. 입양을 하는 목적

3. 국내입양을 반대하는 입장

4. 해외입양을 반대하는 입장

5. 입양을 찬성하는 입장(국내, 해외)

6. 결론

본문내용

때문이다. 그렇다면 보다 근본적으로 입양의 단점을 보완할 수 있는 방법에는 어떠한 것들이 있을까.
입양사업은 도움을 필요로 하는 아이들을 돕는 복지 사업의 하나이며 아이의 성격은 양 육 환경에서 비롯되는 후천적인 요인이 더욱 중요하다는 것을 널리 홍보해야 한다. 그럼으로써 아이들을 수단으로 대하는 행위를 근절하고 아이도 인간적인 대우를 마땅히 받아야한다는 의식을 강화시킬 수 있을 것이다. 또 우리 나라 입양 대상 아이들은 거의 85%가 미혼모의 자녀이기 때문에 입양아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하여 청소년기에 올바른 성교육과 사회는 청소년들이 건강한 성 의식을 갖고 성장할 수 있도록 바른 환경을 제공 해야할 것이다. 형식적이고 딱딱한 내용의 성교육 때문에 아이들은 제대로 된 교육을 받지 못한다. 좀더 재미있고 아이들이 쉽게 알아들을 수 있는 성교육을 통해서 미혼모나 사생아들이 발생하지 않도록 해야할 것이다. 그리고 우리 나라의 아동이 해외로 입양되고 있는 현실 가운데 해외 입양을 금지하고 국내입양을 촉진시키는 것이다. 무조건 외국으로 보내자는 생각을 버리고 우리 사회에서 그들을 맞이하는 것이다. 그렇다면 국내 입양에 대한 안좋았던 시각도 누그러뜨릴 수 있고 해외에서 낯선 생활에 적응하지 못해 방황할 수 있는 문제점은 줄일 수 있지 않을 까 생각된다.
또 아이들을 입양하기 꺼려하는 이유중의 하나가 양부모들의 경제적인 어려움으로 볼 때 아이를 입양하는 양부모를 지원하는 정부의 정책이 필요하다. 양부모에 대한 사회적, 정서적, 경제적 지원뿐만 아니라 법적 보호책도 강구되어야 한다. 그렇다면 우리 아이들이 해외로 나가지 않고 우리 사회에서 잘 적응 할 수 있을 것이다.
해외 입양과 국내입양, 이 두 가지는 문제는 사회에 많은 논란거리를 제시했고 최근까지도 논란이 되고 있다. 하지만 우리 사회의 보다 나은 시각과 정부의 훌륭한 제도가 뒷받침된다면 머지않아 입양은 단순한 문제 거리에서 벗어 날 수 있을 것이다.
-참고문헌-
논문: 1) 황승연, 1998년, 『해외 입양의 현황과 지원대책』, 한국사회학회, 서울
2) 유선정, 2004년,『우리 나라 입양의 현황, 한국아동복지학회, 서울
3) 박인순, 1997년,『해외입양인의 자아정체감의 입양실천현장의 과제』,한국아동복지 학회, 서울
인터넷: 1) 2004,5,12 중앙일보(이승녕 기자)
2)1999,6,16, 동아일보 사회면
3)1998,3,30, 동아일보 사회면
  • 가격1,2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6.08.20
  • 저작시기2004.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6175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