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색
Ⅱ. Design
Ⅱ. Design
본문내용
유기화를 위한 하나의 도구, 설득을 위한 매체, 대중에 관계되는 대상수단, 안전과 능률을 도모하는 방법.
② 문제의 제한 속에서 문제의 최선 해결책을 찾아내는 작업이다.
2. 디자인의 원리
① 통일과 변화
② 조화 : 상호간의 공간 조화
③ 균형 : 시각적인 힘의 균형
④ 리듬
3. 디자인 요소
점, 선, 면, 입체, Texture, 명암
4. 디자인의 필요성
① 의사 결정과 의견 차이를 줄임으로서 시간 절약을 가능케 함
② 의사소통을 원활히 해준다.
③ 사용, 제조, 유지 등을 단순화하고 인간 생활을 더욱 편리하게 만든다.
시각디자인(visual design)
1. 시각디자인의 개념
① 인간생활에 필요한 정보와 지식을 넓히고 보다 신속 ·정확하게 전달하기 위한, 시각을 중심으로 한다.
② 문자에 의한 전달과는 달리 이미지나 심벌 등에 의한 전달, 논 버벌 커뮤니케이션(non verbal communication:언어에 의하지 않은 전달)에 관련된 것이 중심이다.
③ 포스터, 팜플렛, 디스플레이, 패키지, 교통표지 등.
2. 시각디자인의 조건
① 합목적성 : 실용적인 목적에서의 기능을 말함. 실용성, 효용성.
② 심미성 : 아름답다는 느낌, 즉 미의식에 기초한다. 대중이 공통적으로 느끼는 미의식.
③ 경제성 : 최소의 노력으로 최대의 효과를 얻고자 하는 것.
④ 독창성 : 창조적인 것이어야 함.
⑤ 질서성 : 합목적성, 심미성, 경제성, 독창성이 서로 유기적 관계를 유지하도록 도와
주는 것.
www.zinodesign.co.kr 웹디자인정보센터
편집디자인(Editorial Design)
1. 편집디자인의 개념
책이 만들어지기까지 여러 단계를 거쳐 원고가 활자화되도록 하는 것을 편집 이라고 한다. 이렇게 편집된 원고들을 보기 좋게 시각적으로 구성하여 신문, 잡지, 책 등의 인쇄물들로 만들 수 있게 하는 것.
2. 편집디자인의 구성요소
① 레이아웃
편집디자인의 가장 중요한 부분 중 하나이다. 각 내용들을 서로 간에 기능적이고 시각적으로 조화있게 배열, 배치하는 계획 또는 작업을 말한다.
- 라인업(line-up) : 책의 내용을 잘 파악하여 그 내용과 중요도에 따라 각각 배열과 분할을 하는 것을 말한다.
- 포맷(format) : 책의 크기, 방향, 페이지수, 분량 등을 말한다. 현실적, 경제적인 상황을 고려하여 책의 외형을 설계하는 것을 말한다.
- 여백(margin) : 책의 테두리 부분의 빈 공간을 말하는데 보통 안쪽과 위쪽의 여백을 더 많이 잡는다. 여백은 전혀 다른 내용이나, 특별한 의도 등 특별한 이유가 없는 한 처음부터 끝까지 일관성을 주는 것이 대부분이다. 여백은 본문 내용의 시작과 끝을 알려주며 주목성과 편안함 통일감을 준다.
② 타이포그라피(Typography)
편집디자인 요소 중에서 메시지를 전달하는 가장 확실한 요소이다. 따라서 '가독성'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글자체의 선정 및 글자의 크기, 조판형식, 글자위치, 글자 간격, 줄간의 간격, 각 줄의 길이 등이 서로 조화를 이루어야 좋은 레이아웃을 만든다.
③ 서체(Font)
글자꼴이라고도 하며 글자의 이름을 말한다. 글자의 선정과 결정에서 가독성이 있어서 메세지를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어야 하며 흥미와 시각적인 돋보임도 필요하다.
- 명조체 : 본문 기본서체로 많이 이용되고 가장 자연스럽게 읽혀진다. 짜임새, 균형미, 여성적이며 섬세하고 우아한 고전적인 느낌을 준다. 주로 문화, 예술, 오락성 내용에 많이 쓰인다.
- 고딕체 : 강한 자극을 주어 남성적으로 힘차고 강력한 판촉메시지와 최근에는 세고딕체가 본문서체로도 많이 쓰이며 정치, 경제, 사회적인 내용에 주로 쓰인다.
② 문제의 제한 속에서 문제의 최선 해결책을 찾아내는 작업이다.
2. 디자인의 원리
① 통일과 변화
② 조화 : 상호간의 공간 조화
③ 균형 : 시각적인 힘의 균형
④ 리듬
3. 디자인 요소
점, 선, 면, 입체, Texture, 명암
4. 디자인의 필요성
① 의사 결정과 의견 차이를 줄임으로서 시간 절약을 가능케 함
② 의사소통을 원활히 해준다.
③ 사용, 제조, 유지 등을 단순화하고 인간 생활을 더욱 편리하게 만든다.
시각디자인(visual design)
1. 시각디자인의 개념
① 인간생활에 필요한 정보와 지식을 넓히고 보다 신속 ·정확하게 전달하기 위한, 시각을 중심으로 한다.
② 문자에 의한 전달과는 달리 이미지나 심벌 등에 의한 전달, 논 버벌 커뮤니케이션(non verbal communication:언어에 의하지 않은 전달)에 관련된 것이 중심이다.
③ 포스터, 팜플렛, 디스플레이, 패키지, 교통표지 등.
2. 시각디자인의 조건
① 합목적성 : 실용적인 목적에서의 기능을 말함. 실용성, 효용성.
② 심미성 : 아름답다는 느낌, 즉 미의식에 기초한다. 대중이 공통적으로 느끼는 미의식.
③ 경제성 : 최소의 노력으로 최대의 효과를 얻고자 하는 것.
④ 독창성 : 창조적인 것이어야 함.
⑤ 질서성 : 합목적성, 심미성, 경제성, 독창성이 서로 유기적 관계를 유지하도록 도와
주는 것.
www.zinodesign.co.kr 웹디자인정보센터
편집디자인(Editorial Design)
1. 편집디자인의 개념
책이 만들어지기까지 여러 단계를 거쳐 원고가 활자화되도록 하는 것을 편집 이라고 한다. 이렇게 편집된 원고들을 보기 좋게 시각적으로 구성하여 신문, 잡지, 책 등의 인쇄물들로 만들 수 있게 하는 것.
2. 편집디자인의 구성요소
① 레이아웃
편집디자인의 가장 중요한 부분 중 하나이다. 각 내용들을 서로 간에 기능적이고 시각적으로 조화있게 배열, 배치하는 계획 또는 작업을 말한다.
- 라인업(line-up) : 책의 내용을 잘 파악하여 그 내용과 중요도에 따라 각각 배열과 분할을 하는 것을 말한다.
- 포맷(format) : 책의 크기, 방향, 페이지수, 분량 등을 말한다. 현실적, 경제적인 상황을 고려하여 책의 외형을 설계하는 것을 말한다.
- 여백(margin) : 책의 테두리 부분의 빈 공간을 말하는데 보통 안쪽과 위쪽의 여백을 더 많이 잡는다. 여백은 전혀 다른 내용이나, 특별한 의도 등 특별한 이유가 없는 한 처음부터 끝까지 일관성을 주는 것이 대부분이다. 여백은 본문 내용의 시작과 끝을 알려주며 주목성과 편안함 통일감을 준다.
② 타이포그라피(Typography)
편집디자인 요소 중에서 메시지를 전달하는 가장 확실한 요소이다. 따라서 '가독성'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글자체의 선정 및 글자의 크기, 조판형식, 글자위치, 글자 간격, 줄간의 간격, 각 줄의 길이 등이 서로 조화를 이루어야 좋은 레이아웃을 만든다.
③ 서체(Font)
글자꼴이라고도 하며 글자의 이름을 말한다. 글자의 선정과 결정에서 가독성이 있어서 메세지를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어야 하며 흥미와 시각적인 돋보임도 필요하다.
- 명조체 : 본문 기본서체로 많이 이용되고 가장 자연스럽게 읽혀진다. 짜임새, 균형미, 여성적이며 섬세하고 우아한 고전적인 느낌을 준다. 주로 문화, 예술, 오락성 내용에 많이 쓰인다.
- 고딕체 : 강한 자극을 주어 남성적으로 힘차고 강력한 판촉메시지와 최근에는 세고딕체가 본문서체로도 많이 쓰이며 정치, 경제, 사회적인 내용에 주로 쓰인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