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들어가면서]
[1장 내용]
[감상]
[2장 내용]
[감상]
[3장 내용]
[감상]
[나가면서]
[1장 내용]
[감상]
[2장 내용]
[감상]
[3장 내용]
[감상]
[나가면서]
본문내용
실천에 적합한 내용을 선택해야 하는 부분도 이해가 가지 않는다. 역사는 과거의 여러 내용을 다양하게 다루어야 하며 그래야 역사를 다각도로 바라볼 수 있는 것이 아닐까 생각한다.
[나가면서]
젠킨스의 말대로 역사는 이데올로기적인 것 같다. 박정희 정권 때 이순신이 부각된 것과 전두환 정권 때 고려시대 무인집권기에 대한 긍정적 평가는 이를 증명하는 예이다. 그러나 이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되지 않는데 그렇다면 역사가 이데올로기적이라는 것을 증명하는 것으로 끝날 것이 아니라 그 대안이나 극복방법이 있어야 한다는 생각이 든다. 또 역사는 역사가의 주관일 뿐이라면 우리가 역사에서 무엇을 배워야 하는지, 역사는 지배계급의 생각을 불어넣는 것일 뿐인지, 역사학이 어떤 가치를 지니는지에 대해서 더 생각해 보아야겠다.
[나가면서]
젠킨스의 말대로 역사는 이데올로기적인 것 같다. 박정희 정권 때 이순신이 부각된 것과 전두환 정권 때 고려시대 무인집권기에 대한 긍정적 평가는 이를 증명하는 예이다. 그러나 이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되지 않는데 그렇다면 역사가 이데올로기적이라는 것을 증명하는 것으로 끝날 것이 아니라 그 대안이나 극복방법이 있어야 한다는 생각이 든다. 또 역사는 역사가의 주관일 뿐이라면 우리가 역사에서 무엇을 배워야 하는지, 역사는 지배계급의 생각을 불어넣는 것일 뿐인지, 역사학이 어떤 가치를 지니는지에 대해서 더 생각해 보아야겠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