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on
[소아]
60~80mg/kg/day
1일 3~4회 분할투여
[미숙아, 신생아] 1회 체중 kg당 20mg(역가)을 생후 3일까지는 1일 2~3회, 4일 이후는 1일 3~4회 정맥내 주사 또는 점적정맥주사한다
2세대 Cepha계
항균제
Shock, 불퇘감, 구내 이상감, 천명, 발진, 소양감, 발열, 신장애, 혈액장애, GOT, GPT상승, 위막성 대장염, 호흡기장애, 균교대증, 비타민결핍증
4) 약물
[간호진단]
#1. 수술과 관련된 통증
자료 S : 아~~~ 아파~~~~
O : 수술 후 계속 신음소리를 낸다.
수술 후 얼굴을 찡그리고 있다.
목표 통증이 감소되어 편안하다고 말한다.
계획 통증부위, 지속시간, 양상 등을 사정한다.
필요시 진통제를 투여하고 부작용을 관찰한다.
진통제 투여 후 그 효과를 사정한다.
이완요법, 심상요법 등 전환요법을 적용한다.
수행 어디부위가 언제부터 아픈지, 얼마나 아픈지 물어보았다.
팔과 다리를 주물러 드렸다.
TV시청과 책을 권해드렸다.
진통제를 투여하였다.
평가 전보다 통증이 감소되어 많이 괜찮아지셨다고 말하셨다.
#2. 신체부분상실과 관련된 자존감저하
자료 S : 다리 있어봤자 뭐해.. 발도 없는데...
O : 상실된 신체일부를 보거나 만지려하지 않는다.
보조기구 사용을 거절한다.
목표 자신의 감정을 표현한다.
신체상의 변화를 수용한다고 말한다.
계획 절단에 대한 수용성 정도 및 태도를 사정한다.
신체부분 상실에 대한 공포, 부정적 감정, 슬픔을 표현하도록 한다.
절단에 대해 정확한 정보를 제공한다.
수술 전에 재활관련 팀을 만날 수 있도록 주선한다.
다른 절단 환자를 소개한다.
재활 보조기구를 신체의 일부로 받아들이도록 격려한다.
수행 신체부분상실에 대한 공포, 슬픔 등 감정을 표현하도록 대화를 나누었다.
다른 절단 환자를 소개하였다.
평가 환자는 더 이상 재활보조기구 사용을 거부하지 않았다.
다른 절단 환자들과 대화를 나우며 감정을 표현하였다.
#3. 절단과 관련된 잠재성 감염
자료 S : 머리아파.. 열이 안내려..
O : 체온 38.1℃, 맥박 103회/min로 측정되었다.
목표 감염증상이 없다.
계획 2시간마다 활력징후를 측정한다.
양쪽 액와에 ice bag을 대준다.
처방된 항생제를 투여한다.
백혈구 수, 적혈구 침강속도 등 감염과 관련된 임상결과를 확인한다.
절단부위 배액의 색과 특성을 사정한다.
절단부위의 발적과 종창유무를 관찰한다.
드레싱 교환 시 멸균법을 지킨다.
절단부위를 오염물질로부터 보호한다.
수행 2시간마다 활력징후를 측정했다.
열이 내리도록 양쪽 액와에 ice bag을 대주었다.
처방된 항생제를 투여하였다.
절단부위의 발적과 종창유무를 관찰하였다.
드레싱 교환 시 멸균법을 지키므로 절단부위를 오염물질로부터 보호하였다.
평가 체온이 38.1℃ → 37.8℃ → 37.2℃ → 36.9℃ → 36.7℃로 내려갔다.
더 이상 감염증상이 나타나지 않았다.
#4. 활동감소와 관련된 변비
자료 S : 몇 일동안 변이 안나와..
O : 4일동안 변을 보지못했다.
복부가 팽만되어 있다.
변의를 느끼지 못한다.
목표 정상적인 배변습관을 유지한다.
계획 배변양상을 사정한다.
장음을 청진한다.
수분섭취를 권장한다.
고섬유질 섭취를 권장한다.
배변 시 편안한 환경을 제공한다.
배변시간을 일정하게 갖도록 한다.
필요시 배변 완화제를 투여한다.
수행 물을 물 잔에 가득 담아서 하루에 10잔씩 마시라고 설명해 드렸다.
고섬유식이를 권해드리면서 카페인이 들어있는 커피는 피하는 게 좋다고 설명해드
렸다.
배변 완화제를 투여하였다.
평가 하루에 한번씩 변을 쉬원하게 보신다고 말하셨다.
[소아]
60~80mg/kg/day
1일 3~4회 분할투여
[미숙아, 신생아] 1회 체중 kg당 20mg(역가)을 생후 3일까지는 1일 2~3회, 4일 이후는 1일 3~4회 정맥내 주사 또는 점적정맥주사한다
2세대 Cepha계
항균제
Shock, 불퇘감, 구내 이상감, 천명, 발진, 소양감, 발열, 신장애, 혈액장애, GOT, GPT상승, 위막성 대장염, 호흡기장애, 균교대증, 비타민결핍증
4) 약물
[간호진단]
#1. 수술과 관련된 통증
자료 S : 아~~~ 아파~~~~
O : 수술 후 계속 신음소리를 낸다.
수술 후 얼굴을 찡그리고 있다.
목표 통증이 감소되어 편안하다고 말한다.
계획 통증부위, 지속시간, 양상 등을 사정한다.
필요시 진통제를 투여하고 부작용을 관찰한다.
진통제 투여 후 그 효과를 사정한다.
이완요법, 심상요법 등 전환요법을 적용한다.
수행 어디부위가 언제부터 아픈지, 얼마나 아픈지 물어보았다.
팔과 다리를 주물러 드렸다.
TV시청과 책을 권해드렸다.
진통제를 투여하였다.
평가 전보다 통증이 감소되어 많이 괜찮아지셨다고 말하셨다.
#2. 신체부분상실과 관련된 자존감저하
자료 S : 다리 있어봤자 뭐해.. 발도 없는데...
O : 상실된 신체일부를 보거나 만지려하지 않는다.
보조기구 사용을 거절한다.
목표 자신의 감정을 표현한다.
신체상의 변화를 수용한다고 말한다.
계획 절단에 대한 수용성 정도 및 태도를 사정한다.
신체부분 상실에 대한 공포, 부정적 감정, 슬픔을 표현하도록 한다.
절단에 대해 정확한 정보를 제공한다.
수술 전에 재활관련 팀을 만날 수 있도록 주선한다.
다른 절단 환자를 소개한다.
재활 보조기구를 신체의 일부로 받아들이도록 격려한다.
수행 신체부분상실에 대한 공포, 슬픔 등 감정을 표현하도록 대화를 나누었다.
다른 절단 환자를 소개하였다.
평가 환자는 더 이상 재활보조기구 사용을 거부하지 않았다.
다른 절단 환자들과 대화를 나우며 감정을 표현하였다.
#3. 절단과 관련된 잠재성 감염
자료 S : 머리아파.. 열이 안내려..
O : 체온 38.1℃, 맥박 103회/min로 측정되었다.
목표 감염증상이 없다.
계획 2시간마다 활력징후를 측정한다.
양쪽 액와에 ice bag을 대준다.
처방된 항생제를 투여한다.
백혈구 수, 적혈구 침강속도 등 감염과 관련된 임상결과를 확인한다.
절단부위 배액의 색과 특성을 사정한다.
절단부위의 발적과 종창유무를 관찰한다.
드레싱 교환 시 멸균법을 지킨다.
절단부위를 오염물질로부터 보호한다.
수행 2시간마다 활력징후를 측정했다.
열이 내리도록 양쪽 액와에 ice bag을 대주었다.
처방된 항생제를 투여하였다.
절단부위의 발적과 종창유무를 관찰하였다.
드레싱 교환 시 멸균법을 지키므로 절단부위를 오염물질로부터 보호하였다.
평가 체온이 38.1℃ → 37.8℃ → 37.2℃ → 36.9℃ → 36.7℃로 내려갔다.
더 이상 감염증상이 나타나지 않았다.
#4. 활동감소와 관련된 변비
자료 S : 몇 일동안 변이 안나와..
O : 4일동안 변을 보지못했다.
복부가 팽만되어 있다.
변의를 느끼지 못한다.
목표 정상적인 배변습관을 유지한다.
계획 배변양상을 사정한다.
장음을 청진한다.
수분섭취를 권장한다.
고섬유질 섭취를 권장한다.
배변 시 편안한 환경을 제공한다.
배변시간을 일정하게 갖도록 한다.
필요시 배변 완화제를 투여한다.
수행 물을 물 잔에 가득 담아서 하루에 10잔씩 마시라고 설명해 드렸다.
고섬유식이를 권해드리면서 카페인이 들어있는 커피는 피하는 게 좋다고 설명해드
렸다.
배변 완화제를 투여하였다.
평가 하루에 한번씩 변을 쉬원하게 보신다고 말하셨다.
추천자료
정신분열증 (schizophrenia) 문헌고찰 및 간호사정
아동간호학 간질 문헌고찰
간호학, 당뇨병문헌고찰연구사례,당뇨병, 당뇨병케이스,당뇨병케이스스터디,당뇨,DM
Malignant melanoma 케이스 - 자료 및 방법, 문헌고찰, 간호과정, 결론 및 제언
CASE STUDY(COPD) - 자료 및 방법, 문헌고찰, 간호과정, 결론 및 제언
뇌내출혈에 대한 문헌고찰 및 간호과정
임신오조(Hyperemesis gravidarum)증상과 치료,예방 및 간호사정,간호진단,간호중재 고찰 - ...
[기본간호학] 임종간호에 대한 문헌고찰
[모성간호학][자궁근종][myoma uteri][Uterine myoma]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문헌고찰
[성인간호학][HCC][간암][간세포암]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문헌고찰(hepatocellular ca...
만성폐쇄성폐질환의 문헌고찰 및 간호과정
폐암 lung cancer 문헌고찰, 간호과정 예시
[성인간호학 case study] rectal cancer 문헌고찰 및 간호과정
[아동] 정상신생아 문헌고찰 및 간호과정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