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질병의 정의 및 원인
2. 질병의 병태생리
3. 경막할혈종의 진단방법
4. 증상
5. 치료
6. 예후
2. 질병의 병태생리
3. 경막할혈종의 진단방법
4. 증상
5. 치료
6. 예후
본문내용
서 동측의 동공이 산대되고 제3뇌신경 마비증상을 보이며 반대측 추체로 징후가 뚜렷해지고 더 진행되면 뇌간마비 증상을 나타내는데 이런 경우는 응급 수술을 하지 않으면 사망하게 된다.
5. 치료
드물게 자연치유가 되었다는 보고가 있고, 탈수제를 대량 투여하여 내과적으로 치료한 보고도 있으나, 장기간을 요하면서 실패율이 높아, 뇌손상이나 후유증을 줄이려면 조기에 수술을 하는 것이 원칙이다. 수술방법은 천공배액술(burr hole drainage), 소천공배액술(twist drill drainage), 개두술(craniotomy), 경막하-복강간 단락술(subduro-peritoneal shunt)등이 있는데 천공배액술을 많이 이용한다. 유아에서는 twist drill을 이용한 두개 조루술로 혈종을 제거 할 수 있다.
6. 예후
수술전 의식이 청명한 경우는 예후가 아주 좋지만 혈종피막에서 출혈이 되어 재수술을 요하는 경우가 있으므로 수술후 경과가 불량하거나 호전이 없는 경우는 일단 재발(8~20%)을 의심하여 뇌 CT촬영을 한다. 수술후 간질발작이 약 10%에서 나타나므로 수술후 항경련제를 투여하여야 한다. 수술사망률은 10%이하로 약 75%가 치유된다.
5. 치료
드물게 자연치유가 되었다는 보고가 있고, 탈수제를 대량 투여하여 내과적으로 치료한 보고도 있으나, 장기간을 요하면서 실패율이 높아, 뇌손상이나 후유증을 줄이려면 조기에 수술을 하는 것이 원칙이다. 수술방법은 천공배액술(burr hole drainage), 소천공배액술(twist drill drainage), 개두술(craniotomy), 경막하-복강간 단락술(subduro-peritoneal shunt)등이 있는데 천공배액술을 많이 이용한다. 유아에서는 twist drill을 이용한 두개 조루술로 혈종을 제거 할 수 있다.
6. 예후
수술전 의식이 청명한 경우는 예후가 아주 좋지만 혈종피막에서 출혈이 되어 재수술을 요하는 경우가 있으므로 수술후 경과가 불량하거나 호전이 없는 경우는 일단 재발(8~20%)을 의심하여 뇌 CT촬영을 한다. 수술후 간질발작이 약 10%에서 나타나므로 수술후 항경련제를 투여하여야 한다. 수술사망률은 10%이하로 약 75%가 치유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