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머리말
Ⅱ. 작품 분석
1. 원문 해독
2. 어휘 풀이
Ⅲ. 문학적 해석
1. 작자 문제
2. 창작 연대
3. 내용적 특성
4. 형식적 특성
Ⅳ. 맺음말
Ⅱ. 작품 분석
1. 원문 해독
2. 어휘 풀이
Ⅲ. 문학적 해석
1. 작자 문제
2. 창작 연대
3. 내용적 특성
4. 형식적 특성
Ⅳ. 맺음말
본문내용
어진 최고의 현존 작품으로서, 경기체가의 전범을 보여주는 작품이다. 경기체가의 특성은 형식에서 잘 나타나고 있는데 각 장은 전대절과 후소절로 나뉘어지며 공통된 후렴구가 있다. 음보는 3음보가 중심이며 3 . 3 . 4 , 3 . 3 . 4 , 4 . 4 . 4의 기본 율조는 후세에 가사 탄생의 바탕이 되고 되었다. 형식을 살펴보면 크게 전대절과 후소절로 나뉘어 진다.
제 1 행 : 3 . 3 . 4 …… ( 3 음 보)
전대절 제 2 행 : 3 . 3 . 4 …… ( 3 음 보)
제 3 행 ; 4 . 4 . 4 …… ( 3 음 보)
제 4 행 : (위) (0 0경) (긔엇더) (니잇고 ) …… (4음보 )
후소절 제 5 행 : 4 . 4 . 4 . 4 …… ( 4 음 보 )
제 6 행 : (위) (0 0경) (긔엇더) (니잇고) …… ( 4음보)
위의 구조는 대체로 유지하고 있는 작품 유형을 정격 또는 기본형이라 하고, 그 나머지를 여기서 벗어난 정도에 따라 변격형과 파격형으로 구분하고 있다.
Ⅳ. 맺음말
전형적인 경기체가 작품인 <한림별곡>은 전통적으로 방탕하고 외설스런 가곡이라고 부정적인 평가를 받기도 하고, 반대로 새로운 정치 세력으로 부상한 신흥 사대부들의 속임없는 생활상을 담은 긍정적인 작품으로도 평가받고 있다. <한림별곡>의 평가에 대해선 여러 가지 다양한 견해가 있지만 그 시대의 역사적 배경과 연관시켜 비판적인 시각을 지닐 때 이 작품에 대해 새로운 접근을 할 수 있고 올바른 판단이 내려질 수 있으리라 생각되어 진다.
경기체가라는 형식은 <한림별곡>을 시작으로 하여 안축의 <관동별곡>, <죽계별곡>으로 이어지고, 조선 초기의 악장으로 대거 창작되면서 서서히 하나의 갈래고 관습화되고 다양한 내용으로 발전해 간 것으로 볼 수 있다.
【참고문헌】
김대행외, 『 고려 시가의 정서』 개문사, 1986.
김열규,신동욱, 『고려 시대의 가요 문학』, 새문사, 1987.
김준영, 『 한국고시가 연구』, 형설 출판사, 1990.
김창규, 『한국한림시 평역』, 국학자료원, 1996.
송재주, 안동주. 『한국 고전 시가론』 국학자료원, 1997.
이명구, 『고려 가요 연구』, 신아사, 1980.
임기중, 『시로 읽는 노래 문학』,도서 출판 화동, 1994.
정병욱 성생 10주기 추모 논문집 간행위원회, 『한국 고전 시가 작품론』, 집문당, 1992
조동일, 『한국 문학 통사 2 』, 지식 산업사, 1991.
제 1 행 : 3 . 3 . 4 …… ( 3 음 보)
전대절 제 2 행 : 3 . 3 . 4 …… ( 3 음 보)
제 3 행 ; 4 . 4 . 4 …… ( 3 음 보)
제 4 행 : (위) (0 0경) (긔엇더) (니잇고 ) …… (4음보 )
후소절 제 5 행 : 4 . 4 . 4 . 4 …… ( 4 음 보 )
제 6 행 : (위) (0 0경) (긔엇더) (니잇고) …… ( 4음보)
위의 구조는 대체로 유지하고 있는 작품 유형을 정격 또는 기본형이라 하고, 그 나머지를 여기서 벗어난 정도에 따라 변격형과 파격형으로 구분하고 있다.
Ⅳ. 맺음말
전형적인 경기체가 작품인 <한림별곡>은 전통적으로 방탕하고 외설스런 가곡이라고 부정적인 평가를 받기도 하고, 반대로 새로운 정치 세력으로 부상한 신흥 사대부들의 속임없는 생활상을 담은 긍정적인 작품으로도 평가받고 있다. <한림별곡>의 평가에 대해선 여러 가지 다양한 견해가 있지만 그 시대의 역사적 배경과 연관시켜 비판적인 시각을 지닐 때 이 작품에 대해 새로운 접근을 할 수 있고 올바른 판단이 내려질 수 있으리라 생각되어 진다.
경기체가라는 형식은 <한림별곡>을 시작으로 하여 안축의 <관동별곡>, <죽계별곡>으로 이어지고, 조선 초기의 악장으로 대거 창작되면서 서서히 하나의 갈래고 관습화되고 다양한 내용으로 발전해 간 것으로 볼 수 있다.
【참고문헌】
김대행외, 『 고려 시가의 정서』 개문사, 1986.
김열규,신동욱, 『고려 시대의 가요 문학』, 새문사, 1987.
김준영, 『 한국고시가 연구』, 형설 출판사, 1990.
김창규, 『한국한림시 평역』, 국학자료원, 1996.
송재주, 안동주. 『한국 고전 시가론』 국학자료원, 1997.
이명구, 『고려 가요 연구』, 신아사, 1980.
임기중, 『시로 읽는 노래 문학』,도서 출판 화동, 1994.
정병욱 성생 10주기 추모 논문집 간행위원회, 『한국 고전 시가 작품론』, 집문당, 1992
조동일, 『한국 문학 통사 2 』, 지식 산업사, 1991.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