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산별노조의 발전과 그 영향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우리나라 산별노조의 발전과 그 영향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산별노조의 개요
1. 산별노조의 의의
2. 산별교섭과 기업별 교섭의 관계
1) 산별노조와 기업별노조의 비교
2) 현행 산별교섭의 특징

Ⅱ. 산별노조의 현황
1. 현황
2. 산별노조 전환 배경과 추세
3. 교섭주체

Ⅲ 노사 간 쟁점

Ⅳ 현실적 대응책

Ⅴ 기타 특징들 및 평가
1. 산별노조와 근로관계법
1) 근로기준법상 근로자 대표
2) 참여법상 근로자 대표

참고자료

본문내용

산별교섭을 중요한 운동목표로 삼고 있는 한 산별교섭은 지속될 것이며 사용자들도 이를 회피할 수 없는 상황이다. 게다가 앞에서 본 바와 같이 산별교섭은 기층 조합원의 지지를 기초로 발전되고 있으며, 기존의 기업내 타협의 한계의 반영이기도 하고 있다. 또한 현재 금속노조의 주축을 이루고 있는 자동차부품업체의 경우, 개별교섭 하에서는 납품을 둘러싼 사용자간 경쟁으로 인해 사용자가 취약할 수밖에 없기 때문에 사용자 스스로 집단교섭이나 공동교섭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다는 것도 무시할 수 없다. 따라서 사용자측에서도 산별교섭을 수세적으로 반대하기보다 산별교섭이 사회적 효용성을 높일 수 있는 방향으로 발전될 수 있는 방안을 적극 모색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것은 한국의 노사관계와 교섭구조가 업그레이드되는 계기가 될 수도 있을 것이다. 산별교섭에서 나타나는 혼란은 산별교섭이 아직 도입단계에 있다는 사실에서도 유래하고 있다. 그간 노조는 사용자의 반대를 무릅쓰고 일단 산별교섭의 틀을 만드는 데에 노력을 기울여왔던 것이고, 앞으로는 산별교섭이 보다 정리된 양상으로 진행될 수도 있을 것이다. 단, 앞으로 산별교섭이 정착되기 위해서는 지금까지 산별교섭을 주도해 온 노조측의 노력이 열쇠일 것이다. 노조에서는 한국의 상황에 적합한 산별교섭의 전망을 명확히 하고 이를 기초로 사용자를 설득해야 할 것이다. 무엇보다도 산별교섭을 통해 교섭비용이 감소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어야 할 것이며, 이를 위해 산별교섭이 질서있게 이루어질 수 있는 내적 조직력을 갖추어가야 할 것이다.
참고자료
- 김황조(1995) 세계 각국의 노사관계 : 그 변신과 몰락, 世經社
- 김상호(1999) 산별조직화와 산별노사관계에 관한 법적 고찰, 한국노총중앙연구원
- 이승길(2002) 외국 사례에서 본 노사관계 안정을 위한 교훈, 한국경제연구원
- 이학춘(2004) 노동법. 2 집단적 노사관계법, 大明
- 이주희(2004) 산별교섭의 실태와 정책과제, 한국노동연구원
- 박덕제(2005) 노사관계의 이해,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부
- 산별노조운동연구팀(2004) 산별노조운동의 역사와 현재, 현장에서미래를
-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1997) 산별노조의 이해,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
- 한국노동연구원(2001) 1987년 이후 한국의 노동운동, 한국노동연구원
- 한국노동사회연구소(2004) 노동관계법, 한국노동사회연구소
- 노사신문사(2004) (2004 최신 개정판) 노동법편람 : 법 령 규칙 대사식, 노사신문사 - 2004 해외노동통계, 한국노동연구원
- 한국노동사회연구소 "금융노조 조직진단 및 발전방안", 전국금융산업노동조합
- 이정원(2003) 노조와 산별 교섭정착방안 = Establishing industry union and industry-level negotiation, 연세대학교 경제대학원
- 최석원(1992) 기업-노조간 임금-고용 결정의 효율성에 대한 연구 : 한국1차 금 속산업에 대한 실증분석, 연세대학교 대학원
- 손창희(1996) 노사관계 (勞使關係)의 개혁 (改革) (Innovation of the Korean Industrial Relations;Is President Kim's New Idea on IR Genuine Enough?), 한국노사관계학회
- 윤광희(2003) 현행 노동법 체계하에서의 산별노조 법리 (The Principle of Industrial Trade Union on Korea Labor Law) / (産業關係硏究, Vol.13 No.1), 한국노사관계학회
- 한국자원연구소(2000) 노사관계 발전을 위한 정책방향에 관한 연구, 한국자원연 구소

키워드

  • 가격1,2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06.09.07
  • 저작시기2006.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6326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