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정신 분석적 진로 상담
1. 프로이드의 정신분석
① 구강기(口腔期 : 생후 1년)
② 항문기 (肛門期 : 1~3세)
③ 남근기(男根期 : 3~5세)
④ 잠복기(潛伏期 : 5,6~11,12세)
⑤ 성기기(性器期 : 12세 이후) 나눈다.
2. Bordin의 정신분석적 진로상담
2) 상담의 목적과 과정
4) 검사의 활용
5) 현장 접근의 시사 점
6) 문제 논의
1. 프로이드의 정신분석
① 구강기(口腔期 : 생후 1년)
② 항문기 (肛門期 : 1~3세)
③ 남근기(男根期 : 3~5세)
④ 잠복기(潛伏期 : 5,6~11,12세)
⑤ 성기기(性器期 : 12세 이후) 나눈다.
2. Bordin의 정신분석적 진로상담
2) 상담의 목적과 과정
4) 검사의 활용
5) 현장 접근의 시사 점
6) 문제 논의
본문내용
상담의 현장 접근은
첫째, 현실적으로 너무 동떨어진 진로 선택에 심리적으로 부적응하는 학생에 대해 그 요인이 분명하게 규명되어야 할 필요를 갖을 경우 정신 분석 요법의 충분 한 이해와 수준을 갖고 접근해야 한다.
둘째, 인간의 본성적 성격 구조와 과거 경험의 전의식 포착도 중요하지만 가정, 사 회, 능력의 한도, 취미, 적성 등의 외부 환경에서 오는 결정 요인의 장애를 충분히 고려하여 해석이 명료하게 내려져야 한다.
셋째, 진로 문제는 정신적 성격의 재구성에 대한 심층 분석에만 얽매여 버릴 수 없고 의사 결정 요인, 직업 세계, 탐색의 인지적 요인, 여러 외부 환경 요인 이 교호 관계를 생각하며 임해야 한다.
넷째, 정신 분석 진로 상담의 새로운 통찰은 방어적인 정체감에서 벗어나 발전적인 정체감을 갖도록 하는 인성 재구성 과정임을 염두에 두고 상담에 임해야한 다.
다섯째, 진로 상담도 기본적으로 오래간 그의 생활 경험 속에 또 뿌리 깊은 고정 관념으로 잘못 인식된 진로 편견이 있으므로 이에 대한 기본적인 인식의 재 성을 필요로 함으로 이런 상황의 진로 상담에 충분한 대비와 준비성이 있어 야 한다.
여섯째, 건강하고 바른 자아실현을 할 수 있는 학생도 폭발적인 직업 세계 의 변화를 잘 몰라서 또 의사 결정의 과정을 정상적으로 밟지 못해서, 그리 고 뚜렷한 적성과 능력을 파악하지 못해서 진로의 문제에 부적응을 초래하 는 경우가 많으므로 부적응을 모두 정신 분석 진로 상담의 접근 방법으로 해결하려는 태도는 좋지 않은 일이다.
6) 문제 논의
정신 분석, 진로 상담은 직업 세계를 내다보는 기본적인 성격 구조의 시각에 대한 원초적인 재구성에서 시작되어 긍정적인 자아 개념을 통한 진로 탐색의 길 을 모색하는 점에 기여하였음에도 불구하고 몇 가지 진로 상담에 관한 논의점이 있다.
첫째, 철학적인 논의가 되는지는 모르지만 정신 분석 상담에서 가정하는 인간 에 대한 결정론과 무의식적 동기 충동에 대한 논의이다.
둘째, 정신 분석 진로 상담은 과거 경험의 의미와 그것이 자리 잡은 요인에 충 실하고 특히 성격 형성이 이루어진 생후 5년간의 생활 경험을 중시한 나 머지 현재의 문제에 미치는 중요한 영향을 놓칠 수가 있다는 논의이다.
셋째, 정신 분석 진로 상담은 진로 선택에서 진로를 결정하는 외적요인을 극소 화 하고 내적요인을 지나치게 강조한 것에 대한 논의이다.
넷째, 정신 분석 진로 상담은 무의식 적에 대한 진단과 해석이 어렵고 전문가적 수준의 원숙한 상담이 요구 되는데 대한 인력의 문제이다. 사실상 업무가 폭주한 진로 상담의 현장에도 요원한 기대이다.
* 정신 분석 진로 상담을 통해 이해된 점
① 생후 몇 년간의 체험이 성격 형성에 중요한 영향을 준다.
② 방어 기제의 남용은 현실에 대한 효과적 적응을 저해 한다.
③ 내담자가 약속을 지키지 않아서 일찍 상담을 포기하는 것은 저항을 이해하지 못한 것
④ 내담자는 치료자에 대해 전이 감정을 갖게 되는데 이러한 감정의 해소를 통 하여 내담자는 정서적 성숙을 기할 수 있는 점이다.
첫째, 현실적으로 너무 동떨어진 진로 선택에 심리적으로 부적응하는 학생에 대해 그 요인이 분명하게 규명되어야 할 필요를 갖을 경우 정신 분석 요법의 충분 한 이해와 수준을 갖고 접근해야 한다.
둘째, 인간의 본성적 성격 구조와 과거 경험의 전의식 포착도 중요하지만 가정, 사 회, 능력의 한도, 취미, 적성 등의 외부 환경에서 오는 결정 요인의 장애를 충분히 고려하여 해석이 명료하게 내려져야 한다.
셋째, 진로 문제는 정신적 성격의 재구성에 대한 심층 분석에만 얽매여 버릴 수 없고 의사 결정 요인, 직업 세계, 탐색의 인지적 요인, 여러 외부 환경 요인 이 교호 관계를 생각하며 임해야 한다.
넷째, 정신 분석 진로 상담의 새로운 통찰은 방어적인 정체감에서 벗어나 발전적인 정체감을 갖도록 하는 인성 재구성 과정임을 염두에 두고 상담에 임해야한 다.
다섯째, 진로 상담도 기본적으로 오래간 그의 생활 경험 속에 또 뿌리 깊은 고정 관념으로 잘못 인식된 진로 편견이 있으므로 이에 대한 기본적인 인식의 재 성을 필요로 함으로 이런 상황의 진로 상담에 충분한 대비와 준비성이 있어 야 한다.
여섯째, 건강하고 바른 자아실현을 할 수 있는 학생도 폭발적인 직업 세계 의 변화를 잘 몰라서 또 의사 결정의 과정을 정상적으로 밟지 못해서, 그리 고 뚜렷한 적성과 능력을 파악하지 못해서 진로의 문제에 부적응을 초래하 는 경우가 많으므로 부적응을 모두 정신 분석 진로 상담의 접근 방법으로 해결하려는 태도는 좋지 않은 일이다.
6) 문제 논의
정신 분석, 진로 상담은 직업 세계를 내다보는 기본적인 성격 구조의 시각에 대한 원초적인 재구성에서 시작되어 긍정적인 자아 개념을 통한 진로 탐색의 길 을 모색하는 점에 기여하였음에도 불구하고 몇 가지 진로 상담에 관한 논의점이 있다.
첫째, 철학적인 논의가 되는지는 모르지만 정신 분석 상담에서 가정하는 인간 에 대한 결정론과 무의식적 동기 충동에 대한 논의이다.
둘째, 정신 분석 진로 상담은 과거 경험의 의미와 그것이 자리 잡은 요인에 충 실하고 특히 성격 형성이 이루어진 생후 5년간의 생활 경험을 중시한 나 머지 현재의 문제에 미치는 중요한 영향을 놓칠 수가 있다는 논의이다.
셋째, 정신 분석 진로 상담은 진로 선택에서 진로를 결정하는 외적요인을 극소 화 하고 내적요인을 지나치게 강조한 것에 대한 논의이다.
넷째, 정신 분석 진로 상담은 무의식 적에 대한 진단과 해석이 어렵고 전문가적 수준의 원숙한 상담이 요구 되는데 대한 인력의 문제이다. 사실상 업무가 폭주한 진로 상담의 현장에도 요원한 기대이다.
* 정신 분석 진로 상담을 통해 이해된 점
① 생후 몇 년간의 체험이 성격 형성에 중요한 영향을 준다.
② 방어 기제의 남용은 현실에 대한 효과적 적응을 저해 한다.
③ 내담자가 약속을 지키지 않아서 일찍 상담을 포기하는 것은 저항을 이해하지 못한 것
④ 내담자는 치료자에 대해 전이 감정을 갖게 되는데 이러한 감정의 해소를 통 하여 내담자는 정서적 성숙을 기할 수 있는 점이다.
키워드
추천자료
프로이드의 정신분석이론과 도덕발달
[프로이드][프로이트][프로이드이론][심리성적 성격발달이론][정신분석이론][Freud]프로이드,...
[프로이드][프로이트][Freud][성격발달이론][정신분석이론][프로이드이론][정신분석]프로이드...
[프로이드][정신분석이론][프로이드이론][프로이드이론 비판적 검토]프로이드와 프로이드이론...
[인간과심리]프로이드의 정신분석 이론에 대하여 - 프로이드 정신분석 이론의 주요 개념 설명...
프로이드 정신분석이론의 특성과 기본구조, 프로이드 정신분석이론의 의식수준과 성격발달단...
프로이드 정신분석이론의 발달배경과 전제, 프로이드 정신분석이론의 성격발달5단계와 성격기...
프로이드 정신분석이론의 인간본성, 프로이드 정신분석이론의 성격구성과 성격발달, 프로이드...
프로이드 정신분석이론의 정의와 기본개념, 프로이드 정신분석이론의 성격발달단계와 성격발...
정신분석이론(프로이드)의 개념과 배경, 정신분석이론(프로이드) 기본적 본성과 단계별 내용,...
정신분석 상담기법
프로이드의 정신분석이론과 자아방어기제
[상담심리학 공통] 정신분석적 상담이론, 인지상담이론, 행동수정이론을 비교·설명한 후, 핵...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