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오실로스코프의 정의
2.디지털 오실로스코프의 특징
3.전면판넬 단자의 설명
1) 궤적회전(Trace Rotation)
2) 커플링(Coupling)
3) 교번 및 절단(Alternate and Chop)
4) X-Y편향
5) 시간축 모드(Timebase Mode)
6) 동기(Triggering)
* 순차 샘플링
* 실시간 샘플링
* 대역폭
* 트리거링
* 스위프속도
*저 항
1.저항의 정의
2.저항선정시 고려할 사항
3.저항의 종류
2.디지털 오실로스코프의 특징
3.전면판넬 단자의 설명
1) 궤적회전(Trace Rotation)
2) 커플링(Coupling)
3) 교번 및 절단(Alternate and Chop)
4) X-Y편향
5) 시간축 모드(Timebase Mode)
6) 동기(Triggering)
* 순차 샘플링
* 실시간 샘플링
* 대역폭
* 트리거링
* 스위프속도
*저 항
1.저항의 정의
2.저항선정시 고려할 사항
3.저항의 종류
본문내용
류가 흐르므로 정격전력을 계산해서 안전한 정격의 저항을 사용해야 합니다.
2. 저항값
저항의 표시된 색깔로 저항값을 계산합니다.색의 순서는 무지개색인 빨주노초파남보에서 남색이 빠진 구성됩니다.
3.저항의 종류
1)탄소 피막 저항
가) 일반저항
가장 일반적으로 보급되어 있는 염가의 저항으로 저항값의 정밀도는 ±5%, 정격전력은 1/8W, 1/4W, 1/2 W가 주류를 이루고 있습니다. 회로에 사용시 노이즈 발생율이 높다는 결점이 있으나, 디지털 회로에서는 크게 문제될 정도는 아닙니다.
2) 금속 피막 저항
탄소계 저항보다 정밀도가 높은 저항값이 필요한 경우에 사용됩니다. 정밀도가 ±0.05%의 것도 있습니다. 우리가 보편적으로 취급하는 회로에서는 그렇게 고정밀도의 저항는 사용하지 않습니다. 정밀도를 요하는 부분일지라도 보통 ±1%정도의 정밀도면 충분합니다. 금속 피막 저항의 재료는 Ni-Cr(니크롬) 등이 사용 되고 있습니다. 이 저항의 용도는 브리지회로, 필터회로 등과 같이 저항값의 불균형이 회로의 성능에 크 게 영향을 주는 경우, 아날로그의 잡음이 걱정이 되는 회로등에 사용합니다.
3)가변저항
가변 저항은 볼륨이라고 불리기도 하는 것으로 라디오의 음량 조정처럼 용이하게 저항값을 바꿀 수 있는 것과, 전자 회로의 부품의 불균형에 의한 동작 상태를 조정(조절, Adj.)하기 위해 이용되는 반고정 저항이 있습니다. 통상의 가변저항, 반고정 저항은 회전할 수 있는 각도가 300도 정도지만 저항값을 미세하게 조정하기 위해서 기어를 조합한 다회전(10∼25회전) 구조로 설계 된 것(포텐쇼메타)도 있습니다.
*정격 용량에 대한 참고 사항
예를 들면 12V의 전원전압을 사용하고, 5V에서 동작하는 회로를 동작시키려는 경우를 생각해 보자. 이와 같은 경우, 보통은 3단자 레귤레이터 등을 사용하지만, 간단히 저항기만으로 전압을 떨어뜨리려고 한 경우, 저항기의 저항값 이외에, 정격전력도 계산해 둘 필요가 있다.이때, 5V에서 동작하는 회로의 소비전류를 모르면 계산할 수 없다. 부품의 규격표로에서 조사하거나, 시험 삼아 회로를 만들어 테스터로 측정해 보는 방법 등으로 구한다.
여기서는 그 소비전류가 100mA였다고 하자.저항값은 12V에서 5V로 낮추는 것이므로, 저항기에 7V가 걸릴 필요가 있기 때문에 7V÷0.1A=70Ω가 된다.이 저항기에서의 소비전력은 70Ω×0.1A×0.1A(또는 7V×0.1A)=0.7W로 된다. 계산상으로 구해진 소비전력보다 여유가 있는 정격전력의 저항기를 선택한다. 이 경우 1W가 적당할 것으로 생각한다.
기본적으로는 소비전력의 2배 정도에 해당하는 정격전력의 저항기를 사용하는 편이 무난하다. 1/8W의 저항기로는 어느 정도의 전류를 취급할 수 있는지를 계산해 보면,
47kΩ 저항의 경우, √0.125W÷47KΩ=√2.66×10-6=1.63×10-3
=1.63mA로 된다. 전자회로의 신호회로에서 47kΩ에 이러한 전류가 흐르는 경우는 드물다(흐를 때는 1.63mA×47kΩ으로 되어 76.6V가 걸리는 경우이다)>>
2. 저항값
저항의 표시된 색깔로 저항값을 계산합니다.색의 순서는 무지개색인 빨주노초파남보에서 남색이 빠진 구성됩니다.
3.저항의 종류
1)탄소 피막 저항
가) 일반저항
가장 일반적으로 보급되어 있는 염가의 저항으로 저항값의 정밀도는 ±5%, 정격전력은 1/8W, 1/4W, 1/2 W가 주류를 이루고 있습니다. 회로에 사용시 노이즈 발생율이 높다는 결점이 있으나, 디지털 회로에서는 크게 문제될 정도는 아닙니다.
2) 금속 피막 저항
탄소계 저항보다 정밀도가 높은 저항값이 필요한 경우에 사용됩니다. 정밀도가 ±0.05%의 것도 있습니다. 우리가 보편적으로 취급하는 회로에서는 그렇게 고정밀도의 저항는 사용하지 않습니다. 정밀도를 요하는 부분일지라도 보통 ±1%정도의 정밀도면 충분합니다. 금속 피막 저항의 재료는 Ni-Cr(니크롬) 등이 사용 되고 있습니다. 이 저항의 용도는 브리지회로, 필터회로 등과 같이 저항값의 불균형이 회로의 성능에 크 게 영향을 주는 경우, 아날로그의 잡음이 걱정이 되는 회로등에 사용합니다.
3)가변저항
가변 저항은 볼륨이라고 불리기도 하는 것으로 라디오의 음량 조정처럼 용이하게 저항값을 바꿀 수 있는 것과, 전자 회로의 부품의 불균형에 의한 동작 상태를 조정(조절, Adj.)하기 위해 이용되는 반고정 저항이 있습니다. 통상의 가변저항, 반고정 저항은 회전할 수 있는 각도가 300도 정도지만 저항값을 미세하게 조정하기 위해서 기어를 조합한 다회전(10∼25회전) 구조로 설계 된 것(포텐쇼메타)도 있습니다.
*정격 용량에 대한 참고 사항
예를 들면 12V의 전원전압을 사용하고, 5V에서 동작하는 회로를 동작시키려는 경우를 생각해 보자. 이와 같은 경우, 보통은 3단자 레귤레이터 등을 사용하지만, 간단히 저항기만으로 전압을 떨어뜨리려고 한 경우, 저항기의 저항값 이외에, 정격전력도 계산해 둘 필요가 있다.이때, 5V에서 동작하는 회로의 소비전류를 모르면 계산할 수 없다. 부품의 규격표로에서 조사하거나, 시험 삼아 회로를 만들어 테스터로 측정해 보는 방법 등으로 구한다.
여기서는 그 소비전류가 100mA였다고 하자.저항값은 12V에서 5V로 낮추는 것이므로, 저항기에 7V가 걸릴 필요가 있기 때문에 7V÷0.1A=70Ω가 된다.이 저항기에서의 소비전력은 70Ω×0.1A×0.1A(또는 7V×0.1A)=0.7W로 된다. 계산상으로 구해진 소비전력보다 여유가 있는 정격전력의 저항기를 선택한다. 이 경우 1W가 적당할 것으로 생각한다.
기본적으로는 소비전력의 2배 정도에 해당하는 정격전력의 저항기를 사용하는 편이 무난하다. 1/8W의 저항기로는 어느 정도의 전류를 취급할 수 있는지를 계산해 보면,
47kΩ 저항의 경우, √0.125W÷47KΩ=√2.66×10-6=1.63×10-3
=1.63mA로 된다. 전자회로의 신호회로에서 47kΩ에 이러한 전류가 흐르는 경우는 드물다(흐를 때는 1.63mA×47kΩ으로 되어 76.6V가 걸리는 경우이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