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질 분석법
본 자료는 9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해당 자료는 9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9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수질 분석법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투명도

2. 수소이온농도(pH)

3. 염분(Salinity)

4. 부유물질(SS)

5. 용존산소(DO)

6. 생물화학적 산소요구량(BOD)

7. 화학적 산소요구량(COD)

8. 암모니아질소(NH4+-N)

9. 아질산질소(NO2--N)

10. 질산질소(NO3--N)

11. 인산인(PO43--P)

12. 총질소(Total-N), 총인(Total-P)

13. 규산규소(SiO2-Si)

14. 클로로필(Chlorophyll)

본문내용

iO2-Si
6) 규산규소 표준용액
표준원액 25mL를 취해 증류수를 더해 250mL 되게 희석하여 폴리에티렌병에 보관한다.
이용액 1mL = 1㎍-at SiO2-Si
라. 조작
50mL 시수를 취하여 1mL HCl(1+1)과 2mL 몰리브덴산 암모늄 용액을 넣고 잘 혼합 후 5-10분 정치한다. 여기에 2mL 옥살산 용액을 넣고 2-15분 후에 2mL 환원시약을 넣고 잘 혼합하고 5분 후에 증류수를 대조로 해서 815nm 파장에서 흡광도를 측정하고 따로 작성된 검정선으로부터 규산규소 농도를 구한다.
흡광도 측정치는 증류수를 이용한 바탕시험액의 흡광도로 보정한다.
마. 검정선 작성
규산규소 표준용액 0.2-5.0mL를 단계적으로 취하여 인공해수를 더하여 100mL 되게 희석하여 2~50㎍-at SiO2-Si/L 농도의 용액을 만든다. 이들 용액을 시수 조작과 동일한 방법으로 처리하여 흡광도를 측정한 후 바탕시험액이 흡광도를 보정한 후 검정선을 작성한다.
바. 비 고
1) 시수는 채수 즉시 측정하는 것이 좋으나 시료보존이 필요할 때는 폴리에틸렌병에 넣어 냉암소에 보관하는 것이 좋고 이것은 5일을 초과해서는 안된다. 동결보관을 하면 규소의 중합반응이 일어나므로 동결보관을 해서는 안된다.
2) 시수 중 인산인이 존재하면 몰리브덴산과 반응해서 인몰리브덴산 착제를 형성함으로 본 법에는 옥살산을 주입해서 인몰리브덴산 착체를 파괴하여 방해를 막는다.
3) 규산규소 표준물질로 이산화규소(SiO2)2)를 사용하고 있는데 이때 이산화규소를 탄산나트륨과 함께 혼합해서 백금 도가니에 넣어 전기로에서 1000℃ 정도로 강열하여 용해해야 하므로 조작이 까다롭다. 그래서 가용성인 메타규산나트륨(Na2Si3-9H2O) 또는 규소플로오르화 나트륨(Na2SiF6)을 사용한다.
4) 본 법은 염분영향이 크므로 검정선 작성때 인공해수로 표준용액을 희석해야 한다.
25g NaCl + 8g MgSO47H2O + → 1 L (28%)
5) 본 법은 Stadard methods1)의 몰리브덴 청법에 따랐다.
사. 참고문헌
1) APHAAWWA WPCF, 1985, Standard methods for the examination of water and wastewater
2) K. Grassfoff, M. Ehrfardf, K. KremLing, 1985, Method of Seawater analysis, Chemi
클로로필 (Chlorophyll)
가. 원리(흡광광도법)
수중에서의 클로로필양은 식물플랑크톤 현존량을 나타내는 지표로 사용되고 있다. 시수 일정량을 여과하여 식물플랑크톤이 부착되어 있는 여과지를 아세톤으로 처리하여 식물색소를 추출한 후 흡광광도법으로 정량한다.
나. 기기
흡광광도계, 흡인여과 장치. pore size 0.45㎛, 47mm dia., Milipore HA filter 또는 GF/C, 원심분리기
다. 시약
1) 90 V/V% 아세톤 용액
90 부피의 아세톤에 10 부피의 증류수를 혼합
2) 탄산마그네슘 현탁액
1g MgCO3 분말을 100mL 증류수에 넣고 사용하기 직전에 잘 흔들어서 사용한다.
라. 조작
1) 채수 및 여과
시수 적량(투명도 m수를 5로 나눈값을 L로 나타낸 양)을 채수하여 Millipore HA filter 47mm를 사용하여 흡인여과기로 여과한다. 시수여과가 끝날 즈음 시수가 20-300mL 여과기에 남았을 때 1mL 탄산마그네슘 현탁액을 주입하여 혼합 후 완전히 여과한다. 여과지를 집어내어 플랑크톤이 부착된 면을 내면으로 하여 두 번 접어 정성용 여과지에 싸서 연필로 정성용 여과지에 채수지점, 여과 시수량 등을 지재한 후 실리카겔 건조제가 들어있는 테시케이타에 넣고 냉암소에 보관한다.
2) 추출
Milipore HA filter을 15mL 용 눈금이 그어진 원심분리 침전관에 넣고 8mL 90% 아세톤을 주입한 후 마개를 하고 원심분리 침전관을 흔들어 여과지를 용해시킨다. 침전관을 냉장고에 넣고 20시간 정치하면서 색소를 추출시킨다. 침전관을 냉장고에 보관한 후 1-2시간 후에 다시 흔들어 주면 용출효과가 더 좋을 수 있다. 침전관을 냉장고에 꺼내어 암소에 두어 실온으로 맞춘 후 90% 아세톤을 추과로 주입하여 추출액 전량이 10mL 되게 맞춘다. 침전관을 원심분리기에 넣고 3000-4000 rpm에서 5-10분간 원심분리를 한다.
3) 흡광도 측정
흡수용기 길이가 5-10cm 되는 소용량 용기에 상충액을 피펫으로 조용히 취하여 넣고 90% 아세톤을 대조로 하여 750, 663, 645, 630, 480nm의 파장에서 각각 흡광도를 측정한다. 이때 750nm에서 측정된 흡광도는 식물색소 이외의 물질에 의한 탁도 때문에 나타나는 값이다. 1cm 흡수용기를 사용했을 때 750nm에서의 흡광도가 0.005를 초과하면 추출액을 다시 침전관에 붓고 90% 아세톤으로 전량이 10mL되게 조절한 후, 원심분리 시킨다. 각 파장에서 측정된 흡광도는 750nm에서 측정된 흡광도를 빼어 보정하여 준다. 식물 carotenoid 농도를 계산하기 위해 구한 480nm에서의 흡광도는 750nm 흡광도의 3배를 빼어 보정해 준다.
이렇게 보정된 흡광도를 E 라고 하면 chlorophyll a, b, c 및 식물 carotenoid 는 다음식으로 구한다. (SCOR/UNESCO 식)
C (Chlorophyll a) = 11.64E663 - 2.16E645 + 0.1E630
C (Chlorophyll b) = 20.97E645 - 3.94E663 - 3.66E630
C (Chlorophyll c) = 54.22E630 - 14.81E645 + 5.53E663
C (Plant carotenoid) = 10E480
위에서 구한 C 값에 f 값을 곱하면 chlorophyll a, b, c 는 각각 ㎎/m3 으로 표시되는 시수중의 식물색소 농도를 구할 수 있고 식물 carotenoid 농도는 m-SPU/m3 로 표시되는 농도를 구할 수 있다.
이때
마. 참고문헌
A Practical handbook of seawater analysis, Strickland and Parsons(1968)

키워드

  • 가격3,000
  • 페이지수28페이지
  • 등록일2006.09.10
  • 저작시기2006.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6356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