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작가 소개 - 레이첼 카슨
Ⅱ. 책의 목차에 대한 한마디
Ⅲ. 줄거리
1. 내일을 위한 우화
2. 참아야하는 의무
3. 지구의 녹색외투
4. 불필요한 파괴
5. 죽음의 강
6. 자연의 반격
7. 밀려오는 비상사태.
8. 가지 않는 길
Ⅳ. 이 책을 읽고 느낀 감상 및 결론
Ⅱ. 책의 목차에 대한 한마디
Ⅲ. 줄거리
1. 내일을 위한 우화
2. 참아야하는 의무
3. 지구의 녹색외투
4. 불필요한 파괴
5. 죽음의 강
6. 자연의 반격
7. 밀려오는 비상사태.
8. 가지 않는 길
Ⅳ. 이 책을 읽고 느낀 감상 및 결론
본문내용
만을 없앨 뿐이다. 살아남은 곤충에게는 위험으로부터 자신을 지킬 수 있는 형질이 전해진다. 이들이 퍼뜨린 후손은 선조로부터 강인함을 물려받았다. 이들을 없애기 위해 더욱 강력한 살충제를 사용하면 할수록 문제는 더욱 심각해지고 만다. 몇 세대가 지나면 강하고 약한 종이 섞여서 나타나는 대신 외부자극에 강한 내성을 지닌 곤충만 남게 될 것이다. 정말 실용적인 충고는 가능한 한 독성이 강한 살충제를 뿌려라 가 아니라 가능한 한 화학살충제를 적게 사용하라 는 것이다.
8. 가지 않는 길
그 선택은 우리 자신에게 달려있다. 우리에게 남아있는 최후의 자연 생태계를 위헌에 빠뜨릴 수 있는 이런 부자연스러운 기만은 당장 중지되어야 한다. ‘자연을 통제한다.’ 는 말은 생물학과 철학의 네안데르탈 시대에 태어난 오만한 표현으로, 자연이 인간의 편의를 위해 존재한다는 의미로 이해된다. 응용곤충학자들의 사고와 실행 방식을 보면 마치 석기시대로 거슬러 올라간듯한 느낌을 준다. 그렇게 원시적인 수준의 과학이 현대적으로 끔찍한 무기로 무장하고 있다는 사실, 곤충을 향해 겨누었다고 생각하는 무기가 시실은 이 지구 전체를 향하고 있다는 사실이야말로 크나큰 불행이 아닐 수 없다.
Ⅳ. 이 책을 읽고 느낀 감상 및 결론
1962년 자그마한 체구의 한 여성이 Silent Spring이라는 책을 발간했는데 그것이 세상을 바꾸는 혁명의 기폭제였다. 당시까지만 해도 각종 인류에 해악이 되는 살충중 등을 밝혀냄으로써 이것이 세계 환경에 대해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과 재앙이 될 수 도 있다는 것을 깨달음으로써 세계는 경악했다. 계절이 바뀔 때 계절의 변화를 볼 수 있다면 그것이 어떻게 자연이라 할 수 있겠는가? 이 한권의 책은 40 년전에 발간된 책을 현재의 시점에서 평가하기랑 쉬운 일은 아니겠지만 작자는 현재의 시점으로 이 책을 해석하려 한다.
이 책은 인류가 발전하면서 점점 더 심화되어온 환경오염에 대해 논하고 있다. 자연이 주는 선물을 그대로 받아드리지 못하고 뿌리까지 뽑아 쓰려는 인간의 욕심에 의해 자연은 인간에게 드디어 그 욕심에 대한 대가를 되돌려주고 있다. 농업에서의 무분별한 살충제 살포와 DDT의 사용, 공업에서의 대기와 강의 오염을 이 책에서는 인간이 자연에 대한 화학전으로 표현하고 그 화학전에서 결코 인간은 승리를 할 수 없다는 것과 인간도 자연의 일부로써 조화를 이루고 자연과 동화되어야 한다는 것일 일깨워 주고 있다.
8. 가지 않는 길
그 선택은 우리 자신에게 달려있다. 우리에게 남아있는 최후의 자연 생태계를 위헌에 빠뜨릴 수 있는 이런 부자연스러운 기만은 당장 중지되어야 한다. ‘자연을 통제한다.’ 는 말은 생물학과 철학의 네안데르탈 시대에 태어난 오만한 표현으로, 자연이 인간의 편의를 위해 존재한다는 의미로 이해된다. 응용곤충학자들의 사고와 실행 방식을 보면 마치 석기시대로 거슬러 올라간듯한 느낌을 준다. 그렇게 원시적인 수준의 과학이 현대적으로 끔찍한 무기로 무장하고 있다는 사실, 곤충을 향해 겨누었다고 생각하는 무기가 시실은 이 지구 전체를 향하고 있다는 사실이야말로 크나큰 불행이 아닐 수 없다.
Ⅳ. 이 책을 읽고 느낀 감상 및 결론
1962년 자그마한 체구의 한 여성이 Silent Spring이라는 책을 발간했는데 그것이 세상을 바꾸는 혁명의 기폭제였다. 당시까지만 해도 각종 인류에 해악이 되는 살충중 등을 밝혀냄으로써 이것이 세계 환경에 대해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과 재앙이 될 수 도 있다는 것을 깨달음으로써 세계는 경악했다. 계절이 바뀔 때 계절의 변화를 볼 수 있다면 그것이 어떻게 자연이라 할 수 있겠는가? 이 한권의 책은 40 년전에 발간된 책을 현재의 시점에서 평가하기랑 쉬운 일은 아니겠지만 작자는 현재의 시점으로 이 책을 해석하려 한다.
이 책은 인류가 발전하면서 점점 더 심화되어온 환경오염에 대해 논하고 있다. 자연이 주는 선물을 그대로 받아드리지 못하고 뿌리까지 뽑아 쓰려는 인간의 욕심에 의해 자연은 인간에게 드디어 그 욕심에 대한 대가를 되돌려주고 있다. 농업에서의 무분별한 살충제 살포와 DDT의 사용, 공업에서의 대기와 강의 오염을 이 책에서는 인간이 자연에 대한 화학전으로 표현하고 그 화학전에서 결코 인간은 승리를 할 수 없다는 것과 인간도 자연의 일부로써 조화를 이루고 자연과 동화되어야 한다는 것일 일깨워 주고 있다.
소개글